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3,976 (370 페이지)
  • 최저임금 인상론, 어떻게 보아야 할까?

    • 이원덕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15년 03월 12일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난 3월 4일 “최저임금을 빠른 속도로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제부총리로서는 대단히 이례적인 발언이다. 그리고 금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아직 시작도 …
  • 규제개혁은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아니다

    • 심영섭
    • 인하대학교 초빙교수
    • 2015년 03월 11일
    “규제완화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어서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얼마 전 유승민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언급한 내용이다. 박근혜 정부가 경제 활력의 회복을 위해 규제개혁 작업에 …
  • 정치의 존재이유: 사회적 합의를 통한 백성 잘살게 하기

    • 이영선
    • 前 한림대 총장, (사)코피온총재
    • 2015년 03월 11일
    최근 정치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있다. 대통령은 소통이 불통이란 비판이 나돌고, 국회의원들은 자기들만의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난이 언론에 회자되고 있다. 왜 이리 된 것일가? …
  • 통일대박! 상생의 관점에서 동등한 교류로 풀어본다.- -부제: 제3지역의 만남-

    • 전완식
    • 한성대 ICT디자인학부교수
    • 2015년 03월 10일
    통일은 한민족이라면 누구를 막론하고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 할 것이다. 나 또한 한민족이기에 많은 관심과 고민의 시간들이 있었다. 특히 국가미래연구원의 위클리 카툰을 그리고 있는 동…
  •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시장 개입이 문제야

    • 이덕환
    •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 2015년 03월 09일
    대통령이 보기에도 우리 경제가 불쌍한 모양이다. 애써 마련한 정부의 경제 살리기 정책과 법안이 퉁퉁 불어터지고, 텁텁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물론 비효율적인 국회의 문제도 심각하고…
  • 분노와 열정 사이

    • 나은영
    •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장
    • 2015년 03월 08일
    “행복의 씨앗을 키워요! 나은영의 소통과 나눔”이라는 블로그 시리즈의 첫 내용으로 ‘편법과 융통성 사이’에 관한 글을 올렸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아홉 번째 글로 이번에는 ‘분노와 …
  • 여성근대의 시작, 1898년 여성인권선언 ‘여권통문’ 발표

    • 정현주
    • (사) 역사ㆍ여성ㆍ미래 상임대표
    • 2015년 03월 06일
    876년 운양호사건으로 조선은 반강제적으로 개항하였다. 이후 조선은 반봉건 · 반외세가 시대적 과제인 가운데 근대로 진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개화사상과 개화운동이 등장하였다.…
  • 아프리카, 눈물 밖에 마실 물이 없는 생명들

    • 하지원
    • (사)에코맘코리아 대표·지구환경학박사
    • 2015년 03월 06일
    UNEP 회의로 케냐를 방문하며 아프리카를 만나다.나이로비와 마사이족공항에서 나이로비 시내로 들어오는데 거리 곳곳에서 소나 염소떼를 몰고 온 목동들이 보였고, 시내의 잔디화단까지 …
  •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의 위헌성

    • 한만수
    •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변호사
    • 2015년 03월 05일
    1. 공직자의 100만 원 이상의 금품 수수행위를 일률적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떠한 법익도 침해하지 않는 ‘순수한 증여’ 행위까지 처벌하는 위헌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엄밀히 …
  • 사드(THAAD) 논쟁의 허(虛)와 실(實)

    • 김태우
    • 前 통일연구원 원장, 前 국방선진화추진위원
    • 2015년 03월 05일
    한국 “특별히 협의된 것 없다” ‘전략적 모호성’ 유지반대 주장에 이념적 편향성 따른 고의적인 왜곡 있다. 사드(THAAD)를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