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게시글 보기

정책연구

보고서

브렉시트 5년: 평가와 시사점

<주요 내용>▶ 2020년 2월 1일 영국이 공식적으로 EU를 탈퇴한 이후 5년간 영국 경제는 G7 및 EU에 비해 저조한 성과를 보였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음.  - 영국은 주요국과 비교하여 ① 팬데믹의 경제 피해를 더 크게 받았고, ②…
보고서

자국 중심의 경제안보 전략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축방안 연구

▶ 최근 글로벌 산업정책 경쟁 격화로 한국형 산업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  - 산업정책은 각국의 전략산업 경쟁력 확보, 공급망 강화, 기후 변화 대응 등 복합적인 경제안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  - 산업정책의 글로벌 동학에 대한 이해와…
보고서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주요 내용과 우리의 대응 방향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 新 국제무역체제 개막 (開幕)- 트럼프, 무역수지 적자 축소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 가져오라” 지시  * 4월 1일(화)까지 재무‧상무‧국무‧국토안보장관 등에 美 무역‧통상 전략 전면 개편 명령&nbs…
보고서

산업연 발표, 대규모 점포 영업규제 완화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대형마트 규제 완화, 지역 상권과 공존 가능성 높여​-  산업연구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의 경제적 영향 분석-  대구·청주 지역 대형마트 주말영업 상권영향 분석 결과, 주변 상권 매출 증가-  대형마트 영업규제 완화 후, 대형마트 주변상권 매출 증가 효과 3.1%-  대형마…
보고서

지역 소프트웨어산업 현황과 지역 주력산업 연계 성장 가능성 탐색

<내용 요약> 1. 지방은 인구 소멸과 지방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소프트웨어(SW)산업 역량 강화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있다. SW산업은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원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보고서

KDI, 2025 경제전망 수정: 내수부진 완화되지만 수출 둔화로 성장률 1.6%로 둔화

민간소비는 금리인하의 영향이 반영되는 가운데 정국 불안의 영향도 점차 완화되면서 전년(1.1%)보다 높은 1.6%의 증가율을 기록할 전망설비투자는 금리인하와 반도체경기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전년(1.8%)과 유사한 2.0%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건설투자…
보고서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한 멕시코의 최근 조치와 함의

<주요 내용>▶ 불법 이민과 펜타닐 유입 문제 이외에 멕시코를 통한 중국의 대(對)미국 우회수출 역시 미국의 주요 우려 사항인바, 트럼프 정부에서 향후 멕시코에 대한 통상 조치를 통해 압박할 개연성이 있음. ▶ 중국 우회수출을 겨냥해 멕시코가 시행한 것으로 보이는 최…

김광두의 1년 후

정치 · 경제

전체영상 보러가기 전체 게시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