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1,560 (136 페이지)
  • 노동개혁 입법, 「9.15대타협」을 존중해야 한다

    • 이원덕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15년 11월 29일
    정부와 여당은 지난 11월 16일 노동개혁 5대 입법안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상정하였다. 지난 9월 15일 노사정이 어렵사리 성공한 노동시장개혁을 위한 대타협의 후속 조치이다.새…
  • 정부가 존재하는 한 규제개혁은 영원한 숙제다

    • 심영섭
    • 인하대학교 초빙교수
    • 2015년 11월 23일
    지난 11월 6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4차 규제개혁장관회의 및 민관합동 규제개혁점검회의가 열렸다. 이번 회의를 눈여겨보면 이전과는 사뭇 다른 몇 가지의 차이가 발견된다.…
  • 왜 일본은 노벨상을 잘 타고 한국은 못 타는가?

    • 국중호
    • 요코하마시립대 경제학 교수
    • 2015년 11월 19일
    노벨상을 잘 타기 위한 세 요건한우물 파기, 세대간 연속성, 이타자리(利他自利)라는 세 요건을 들어가며 일본이 노벨상을 잘 타는 이유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노벨상 수상에는 철새처럼…
  • 시장은 중국의 6% 성장에 순응해야 한다

    • 이경태
    • 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前 OECD 대사
    • 2015년 11월 12일
    세계경제의 주역이 뇌관으로 변해현재 세계경제를 위협하는 최대의 위험은 중국경제의 불안이다. 중국 경제성장률의 하락은 자원가격의 하락을 초래하여 자원수출국들의 성장률을 끌어 내리고 …
  • state capitalism과 금융정책을 통한 기업구조조정

    The Economist는 2012년초 중국과 브라질 등 개발도상국의 state capitalism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는 특집기사를 실은 바 있다. state capitali…
  • 한국 노벨 문학상, 또 내년

    • 김낙회
    • 서강대 초빙교수, 前제일기획 대표이사 사장
    • 2015년 11월 10일
    해마다 시월 이맘 때쯤이면 혹시나 하고 기다려지는 게 있다. 노벨상 소식이다. 언론에서는 언제나 그래 왔듯이 시인 고은 씨가 올해도 노벨 문학상 유력 후보자 상위 리스트에 올라 있…
  • 수능시험을 위한 변명

    • 이기정
    • 구암고등학교 교사
    • 2015년 11월 08일
    1993년(1994학년도 입시)에 처음 실시된 수능시험은 그 후 이십여 년 동안 입시의 세계를 지배했다. 1993년 이후 이십여 년은 가히 수능시험의 시대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 기부활성화를 위한 세법개정이 진짜 필요한 이유는?

    • 오문성
    • 한양여대 세무회계과 교수, 한국조세정책학회 회장,법학박사/경영학박사/공인회계사
    • 2015년 11월 05일
    2014년 소득세법 개정 내용 중 기부금에 대한 세제혜택을 소득공제방식에서 세액공제방식으로 개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정부가 소득공제방식보다는 세액공제방식이 고소득자의…
  • 대한민국 해군 관함식

    • 김태우
    • 前 통일연구원 원장, 前 국방선진화추진위원
    • 2015년 10월 26일
    2015년 10월 19일 부산 앞바다에서는 수십 척의 함정과 항공기가 참가하는 관함식이 펼쳐졌다. 해군은 건국 50주년을 맞은 1998년과 건국 60주년인 2008년에 관함식을 가…
  • G2와 한국

    • 최영진
    • 연세대 특임교수, 前주미대사
    • 2015년 10월 14일
    미국과 중국은세계적으로 G2로 불린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두 개의 국가가 되었다. 어느 한 쪽도 소홀이 할 수 없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만 G2 중 한나라와 군사동맹을 맺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