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5개
게시물
12,991개

1,299/1,300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해킹코리아 새창

    사이버보안 정책 제언o 통합 컨트롤타워 구축/강화- 국가 사이버안보 마스터플랜의 세부 추진계획의 수립 시행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하되, 특히,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 최상위 수준에서 책임있는 형태의 독립된 기구로서의 권과 책임을 명확화하고 정보보호 정책을 국가정책의 일부분으로 체계화할 수 있도록 지원- 동 조직이 정책조정, 유관기관간의 정보공유, 분석 등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사고발생시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실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관리 시스템을 마련- 동 조직은 또 민간기업이 가진 자원과 역량을 활용…

    장 흥순, 서강대 교수(admin) 2013-03-02 12:26:49
  • 북핵 문제 새창

    의 연이은 핵실험으로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이는 심각 우리의 생존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일부 국민들은 이에 대 안이 안보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안보는 우리 스스로 강력 군사력과 억지정책을 기반으로 추진해야 할 사안이다.

    김 영목, 전 이란대사(admin) 2013-03-02 12:21:45
  • 부동산 정책 새창

    부동산 거래 위축이 장기간 지속되어 자칫 일본식의 복합불황으로 빠질 위험성이 높다. 부동산 가격 급등 시기에 만들어졌던 부동산 세제를 포함하여 관련 규제를 과감히 풀어 하루속히 시장이 정상화되도록 해야 다.

    김 갑성, 연세대 교수(admin) 2013-02-27 09:13:47
  • 대국민 소통 새창

    국민 소통은 기본적으로 국민의 정보욕구에 타이밍을 맞추는 일이다. 불확실성이 높을 때 가장 강 정보욕구가 발생다. 국민이 신뢰하는 언론을 통해 정부가 국민의 정보욕구를 채워주지 못하면 바로 정부 불신과 국민 분열로 이어진다.

    김 학수, 서강대 교수(admin) 2013-02-26 09:21:11
  • 특허전쟁시대의 국가경영전략 새창

    창조경제의 핵심적 기반은 특허와 같은 지식재산이다. 과거 50년간의 수출주도형 제조업 성장 모델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창조경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경영에 주력하여야 다.

    백 만기,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admin) 2013-02-26 09:00:11
  • 세종의 소통 리더십 새창

    세종의 국정 기본철학은 ‘국민을 위 정치’입니다. 국민을 위하는 세종정치의 첫 걸음은 정치의 잘못을 국민에게 묻는 것이었습니다. 전국에 방을 내려 보내 묻기도 하고,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도 하고, 때로는 과거시험에 출제하는 방법으로 묻기도 했습니다. 항상 국민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국민을 설득하고 그래도 반대하면 기다릴 줄 알았던 것이 세종대왕의 소통리더십의 핵심이었습니다.

    신 세돈, 숙명여대 교수(admin) 2013-02-25 09:36:14
  • 엔화가치의 급변과 국경제 새창

    일본의 엔저정책으로 인해 국제품의 수출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엔저로 인해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결국에는 외환시장이 혼란에 빠졌던 90년대 중반의 경험을 발판삼아 적절 대책 수립에 나서야 할 때다.

    이 종윤, 한일경제협회 부회장(admin) 2013-02-18 20:48:39
  • 대기업정책 새창

    대기업집단들에 의 경제력 집중과 남용 및 지배주주·경영자들의 부당 행위를 제대로 규율하기 위 법·제도를 갖추고, 법을 엄정히 집행해야 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제시스템과 규범을 구축해야만 우리 경제가 새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신 광식, 연세대 초빙교수(admin) 2013-02-18 20:41:51
  • 미래경쟁력으로서의 소프트웨어 새창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경쟁의 법칙을 바꾸면서 시장을 석권하는 것을 “소프트웨어 혁명”이라고 다. 이러 혁명이 여러 산업에서 일어나고 있다. 모든 산업의 경쟁력 제고 도구이며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소프트웨어산업을 육성해야 다.

    김 진형, KAIST 교수(admin) 2013-02-15 21:42:08
  • 국민소통의 길 새창

    국민소통은 기본적으로 정부와 언론 및 국민과의 삼각관계가 원활하게 돌아갈 때 성공할 수 있다. 정권 교체기처럼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을 때 국민의 “정보욕구(information need)"는 어느 때보다 높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국민은 정부보다 언론을 더 믿는 것이 민주주의 사회의 특징이다. 이럴 때 정부가 언론을 기피하면 곧 바로 국민 소통을 거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것은 온갖 루머를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국민에게 불확실성과 정부 불신을 심화시킨다. 따라서 정부는 언론을 통

    김 학수, 서강대 교수(admin) 2013-02-13 03: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