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5,358 (492 페이지)
  • 시간제 일자리 성공의 조건은?

    • 유경준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학과 교수
    • 2015년 04월 30일
    현 정부의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로드맵'의 핵심은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확대다. 집권초 로드맵에서는 향후 성장과 소득 분배 개선의 핵심 요소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
  • 중년의 직업절벽, 임금체계 개선 없이 넘기 어렵다

    • 이원덕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15년 04월 30일
    우리나라 사람들은 중년에 접어들어 생애 두 번째의 직업절벽에 직면한다. 첫 번째 직업절벽은 학교 졸업과 함께 청년기에 경험하였다. 중년의 직업 절벽은 아득한 깊이의 낭떠러지와도 같…
  • 장롱에 쌓인 돈을 끌어내자 - -경기활성화와 서민복지의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는 법-

    • 강건욱
    •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장
    • 2015년 04월 29일
    경기가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유가하락이라는 호재가 나왔는데도 말이다. 최근 일간 신문에서 이런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장롱에 쌓인 돈이 경제 좀 먹는다.”(…
  • 논어 언행비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2015년 04월 29일
    [치궁불체(恥躬不逮)]공자는 “옛 성현들이 말을 함부로 하지 않았던 이유는말이 행동을 따라가지 못해서스스로 부끄러워지지 않기 위해서이다.(古者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里仁22)”라고…
  • 국정운영 패러다임을 바꿔야 경제가 산다

    • 김병균
    •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 2015년 04월 28일
    현 정부가 경제개혁 기치를 내걸고 나선지도 벌써 2년째이다. 하지만 경제주체들의 상호 불신과 연이은 대형 사고로 인한 사회 혼란으로 대통령이나 관계 장관의 목소리만 들리지 개혁의 …
  • 왜 성장률 전망을 믿을 수 없는가?

    • 김동원
    • 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2015년 04월 28일
    한국은행이 제시한 201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작년 10월 3.9%에서 금년 1월 3.4%로, 4월에는 3.1%로 다시 하향 조정 되었다. 한편 금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
  • 진정한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는 비례대표제 확대가 답이다

    • 이영선
    • 前 한림대 총장, (사)코피온총재
    • 2015년 04월 28일
    민주주의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정치를 하자는 제도이다. 그렇다면 사회적 합의는 어떻게 이루어야 하나?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대의민주주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해 냈다. 모든 국…
  • 노동시장 개혁, 그 끝나지 않은 꿈을 위하여

    • 이원덕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 2015년 04월 27일
    노동시장 개혁을 위한 100여 일간의 노사정 대화가 막을 내렸다. 한국노총이 4월 8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협상결렬을 선언함으로써 더 이상 노사정 대화가 이어지지 않고 있다. 노…
  • ‘성완종 사태’가 말하는 것들

    • 윤평중
    • 한신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 2015년 04월 27일
    자고로 정치의 근본은 공공성을 실현하는 데 있다. 우리사회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는 ‘성완종 사태’는 21세기 한국정치의 핵심이 그 정반대 지점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그림처럼 선…
  • 동양적 혁신 없이 한국의 미래 없다

    • 이각범
    • 카이스트 교수, 한국미래연구원 원장
    • 2015년 04월 26일
    중국 알리페이가 곧 국내 편의점 2만 곳에 모바일 결제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 금융산업이 각종 규제에 발목이 잡혀서 금융과 IT의 융합추세에 쉽게 다가서지 못하는 사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