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5,342 (436 페이지)
  • ‘0%’대 금리시대 대비하자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2016년 06월 12일
    중장기적으로 금리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머지않아 우리나라에서도 시장금리가 ‘0%’대로 떨어지고 각 경제주체에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금융회사들은 해외로 나가 돈을 벌고, …
  • 일본의 구조조정 실패와 부실채권 누적의 교훈

    • 이지평
    • 한국외국어대학교 특임강의교수
    • 2016년 06월 09일
    1990년대 이후 일본경제의 장기불황을 흔히 ‘잃어버린 20년’이라 부른다. 일본이 장기불황에 허덕이는 사이에 우리 기업은 세계시장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하고 선진국을 따라잡는…
  • 작은 불씨에 거는 희망

    • 김낙회
    • 서강대 초빙교수, 前제일기획 대표이사 사장
    • 2016년 06월 09일
    작은 행동과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 60년대 초까지만 해도 미국은 불평등하고 인종 차별이 심한 나라였다. 미국 백화점 점원으로 일하던 흑인 여성 로자 파크스의 작은 용기가 이러한 …
  • 英 파운드화, 블렉시트(Brexit) 지지 늘어나자 변동폭 증대 FT(6월 5일);잔류 45% vs 탈퇴 43%로 좁혀져

    영국의 역사적인 Brexit(EU 탈퇴) 여부에 대한 국민투표가 18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간에 캐머런 총리를 필두로 하여 잔류를 주장하는 캠페인에서는 다소의 우세를 믿고 내심 안…
  • 금융불안의 초대장 : 한국의 금리인하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2016년 06월 08일
    (1) 확실해진 미국의 금리인상미국의 Fed(연준)가 금명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도 공공연히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FOMC 회원이 있었지…
  • 허상의 경제·실상의 경제, 1997년의 데자뷰

    • 김동원
    • 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2016년 06월 07일
    <사례 1> 금융위원회 홈 페이지의 ‘카드뉴스’: “우리 가계부채 수준이 위험하다고요? 걱정할 정도는 아니고 점차 나아지는 중입니다”.‘최근 가계부채 동향 및 향후 관…
  •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 2016년 말까지 협상타결 가능한가?

    • 신용대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 前 건국대학교 석좌교수
    • 2016년 06월 06일
    지난 4월 독일 하노버산업박람회에서 회동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
  • 국책으로 정한 문화 융성. 그러나 예술인은 빈민이다.

    • 전완식
    • 한성대 ICT디자인학부교수
    • 2016년 06월 05일
    “6조6,000억 원”웬만한 부자라도 상상하기 힘든 큰돈이다. 그러나 누구의 돈이고, 그 돈의 용도를 따져 보면 ‘어처구니없이 작은 금액’이라는 데에도 동의할 수밖에 없다. 왜 그…
  • 지하경제 어떻게 해야 하나?

    • 노기성
    • KDI 정책대학원 초빙교수
    • 2016년 06월 02일
    지하경제는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재정여건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지하경제 양성화를 통한 조세 수입 증대가 주 재원조달 수단으로 부각되었다. 복지지출 수요…
  • 국제투기자본과 토빈세

    • 조대환
    • 법무법인 대오 고문변호사
    • 2016년 06월 01일
    1. 국제투기자본의 행태, 실물과 동떨어진 금융 가. 모건-그렌펠의 적대적 인수업무를 둘러싼 투기 “고도금융은 더 이상 산업발전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업의 소유권 변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