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2,019 (190 페이지)
  • 아시아의 미래와 한국의 전략

    • 박진
    • 한국외대 석좌교수, 아시아미래연구원 상임대표
    • 2015년 03월 01일
    1.2015년의 세계2015년의 세계는 한 마디로 불확실성이 높은 한 해가 될 것이다. 영국의 더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지는 2015년을 낙관할 수 없다고 예측하면…
  • 부산국제영화제의 불편한 진실

    • 김진해
    •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장
    • 2015년 02월 27일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축제 중 하나가 영화제다. 영화제는 국가의 영화산업을 견인하고 영화를 예술로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세계 최대의 영화제로 칸, 베를린, 베니스를 일컫는다. …
  • 보이지 않는 정부혁신

    • 옥동석
    •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 2015년 02월 26일
    재정편법, 다양한 창작회계(creative accounting)의 활용민주화 이후 많은 정부는 재정총량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다양한 형태의 창작회계(creative accountin…
  • 꿩 먹고 알 먹는 교육부분 구조개혁

    • 이기정
    • 구암고등학교 교사
    • 2015년 02월 25일
    필자는 지난 블로그 글에서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가을학기제’가 교육부분 구조조정의 핵심 내용으로 제시된 것에 대해 강한 비판을 했다. 효과에 비해 투입되는 사…
  • 대한민국경제는 빨대경제다.

    • 최정표
    • 건국대학교 교수, (전)경실련 대표
    • 2015년 02월 23일
    한국경제는 빨대식 구조가 너무 심해졌다. 강자가 약자에게 빨대를 꼽고 쭉쭉 빨아들이는 구조가 경제 전체에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 가장 강한 자와 가장 약한 자 사이에는 중간 강…
  • 한국 금융계 후진성, 과연 규제만의 문제인가?

    • 이재우
    • 보고펀드자산운용 대표
    • 2015년 02월 22일
    한국의 금융의 성숙도가 아프리카의 어느 나라보다도 못하다는 이야기가 얼마 전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한국의 경제 수장을 지냈던 한 분으로부터 어떤 모임에서 참석자들이 우리나라 금…
  • 교육 백년대계 정립의 방향

    • 김진표
    • 전 경제부총리, 전 민주당 원내대표
    • 2015년 02월 19일
    올해로 광복 7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은 2차 대전이후 신생국 중에서 경제발전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한 유일한 나라다. 한국전쟁의 폐허를 딛고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뤄 원조를 받던 …
  •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수상

    • 국중호
    • 요코하마시립대 경제학 교수
    • 2015년 02월 12일
    강성 이미지로 나타나는 이유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수상 두 사람 다 애국심이 골수에 박혀 있습니다. 박 대통령의 『절망은 나를 단련시키고 희망은 나를 움직인다』라는 …
  • [기획특집] 복지와 재정의 새 틀을 짜자 -④피할 수 없는 증세와 복지개혁

    • 김원식
    • Georgia State University 객원교수, 건국대 명예교수
    • 2015년 02월 11일
    포퓰리즘 선거공약이 낳은 무상급식, 기초연금, 무상보육, 무상의료 등 무상시리즈가 현실화됨에 따라 이에 따른 예산 부족으로 중앙정부와 자치단체간 갈등이 붉어지더니 드디어 증세론이 …
  • 법인세 인상은 기업 투자를 저해하는가

    • 김상조
    • 한성대 교수, 경제개혁연대 소장
    • 2015년 02월 11일
    새누리당 發 증세 논의가 뜨겁다. 요즘 대한민국의 모든 일이 그렇듯이, 시작도 뜻밖이고 끝도 알 수 없다. 2012년의 경제민주화 및 복지국가 열풍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로부터 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