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1,655 (158 페이지)
  • 아프리카, 눈물 밖에 마실 물이 없는 생명들

    • 하지원
    • (사)에코맘코리아 대표·지구환경학박사
    • 2015년 03월 06일
    UNEP 회의로 케냐를 방문하며 아프리카를 만나다.나이로비와 마사이족공항에서 나이로비 시내로 들어오는데 거리 곳곳에서 소나 염소떼를 몰고 온 목동들이 보였고, 시내의 잔디화단까지 …
  • 무엇이 건강을 결정하나?

    • 조경희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2015년 03월 04일
    건강이란 ? 무병장수하고 활력이 넘치는 생활이 곧 건강한 생활이다. 온전하게 건강하다는 의미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으로 건전해야 한다. 건강은 단순한 무병의 상태만…
  • [특별 대담] 경직성 해소가 핵심이다

    • 김광두
    •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GFIN 이사장
    • 2015년 03월 03일
    김광두 교수.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였다. 대선 때는 박근혜 캠프의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을 만들어 후보를 도왔다. 말하자면 현 정권 창출의 특1등 공신이다.대…
  • 보이지 않는 정부혁신

    • 옥동석
    • 인천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 2015년 02월 26일
    재정편법, 다양한 창작회계(creative accounting)의 활용민주화 이후 많은 정부는 재정총량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다양한 형태의 창작회계(creative accountin…
  • 편법과 융통성 사이

    • 나은영
    •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장
    • 2015년 02월 20일
    “인간의 욕망은 사회라는 엔진을 가동하는 증기다.” 이 말은 대중관계(Public Relations), 즉 홍보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드워드 버네이스가 1928년에 <프로파간다…
  • 재밌을 영화가 재미없는 이유

    • 김진해
    •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장
    • 2015년 02월 17일
    영화는 두 종류가 있다. 재밌는 영화와 재미없는 영화. 제7의 예술인 영화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895년 뤼미에르가 만든 <열차의 도착&…
  • 건강보험료 논란, 공평한 부과가 대안이다

    • 김진현
    •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2015년 02월 10일
    건강보험제도는 고액의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가계파탄을 방지하여 모든 국민이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권리와 존엄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가가 시행하는 사회안전망이며, 경제적 능력에 비례하여…
  • 2015 CES, 디트로이트 모터쇼로 보는 Car Life Trend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2015년 1월6일부터 9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가전박람…
  • 구조개혁, 타이밍이 관건이다.

    • 최운열
    • 서강대학교 석좌교수
    • 2015년 02월 05일
    대통령은 12일 신년 기자회견 모두 발언 중 65% 정도를 경제문제에 할애하여 경제활성화 기반을 다진 대통령으로 남고 싶다고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자회견 후 대통령 지지율은 3…
  • 연말정산, 무엇이 납세자를 화나게 하는가?

    • 오문성
    • 한양여대 세무회계과 교수, 한국조세정책학회 회장,법학박사/경영학박사/공인회계사
    • 2015년 02월 04일
    2013년 개정된 소득세법이 처음 적용되는 2014년 근로소득의 연말정산문제로 세간이 시끄럽다. 그 이유의 핵심은 납세자들이 세법개정으로 인해 추가로 납부하는 세금이 기대했던 것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