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1,655 (153 페이지)
  • 소프트웨어 생태계 육성,골든타임이 지나고 있다

    • 김진형
    • 중앙대학교 석좌교수, 전 인공지능연구원장
    • 2015년 06월 12일
    인터넷 검색회사인 구글이 2017년까지 시장에 무인자동차를 내 놓겠다고 선언했다. 이미 미국 여섯 개 주에서 운전면허증을 획득했고 시속 100Km 이상의 속도로 복잡한 도로에서 성…
  • 기금운용공사설립은 정답이 아니다

    • 오성근
    • 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
    • 2015년 06월 11일
    국민연금기금은 기금운용원칙으로 안정성 유동성 수익성 공공성 독립성을 열거하고 있다. 기금운용의 기본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용실적을 유지하는데 두어야 한다. 영속적인 연금지급의무 …
  • 상고법원제 법안은 위헌이다

    • 임지봉
    •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2015년 06월 09일
    법원의 ‘상고심’이란 최종심인 제3심을 말한다. 원래 이 상고심은 대법원에서 담당해왔지만, 대법원의 업무 경감을 이유로 별도의 상고법원을 두어 대부분의 상고심 사건을 처리하게 하자…
  • 황당한 백수오 논란의 정체: ‘짝퉁’이 ‘원조’를 ‘가짜’로 만들어버린 사연

    • 이덕환
    •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 2015년 06월 08일
    백수오 탓에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나 버렸다. ‘몸에 좋은 것은 확실한데 설명할 방법이 없다’는 수준의 황당한 주장에 선뜻 자신의 건강을 통째로 맡겨 버리는 소…
  • ‘관피아’ 이후의 혁신과제

    • 이달곤
    • 前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前행정안전부 장관
    • 2015년 06월 07일
    관피아 척결만이 능사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발전국가(development)의 후속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박정희 정부 이후 제도화된 한국의 발전국가 핵심에는 정부가 있었다. 경…
  • “말,글,술” 이 세 글자가 화근이다

    • 김낙회
    • 서강대 초빙교수, 前제일기획 대표이사 사장
    • 2015년 06월 05일
    옛말에 무릇 군자는 세 끝을 조심(君子避三端)해야 한다고 했다. 붓끝에 맞으면 필화(筆禍)요 혀끝에 맞으면 설화(舌禍)요 칼끝에 맞으면 살화(殺禍)가 되니 이를 피함으로써 몸을 지…
  • 소통과 소신 사이

    • 나은영
    •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학장
    • 2015년 06월 05일
    소통을 할 것인가, 소신을 지킬 것인가. 크든 작든 어떤 조직을 이끌어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했을 것이다. 소통도 하고 소신도 지키면 금상첨화라 하겠으나, 그…
  • 론스타(Lone Star) ISD 소송 (II) -‘철저한 진상규명 및 단죄가 최선의 대응책이다’

    론스타는, 2003년 우리 정부로부터 불법 취득한 외환은행 지분을 약 9년 만에 하나금융에 매각하여 수 조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의 차익을 거머쥐고 표표히 이 땅을 떠났다. 떠…
  • 박수 받으며 떠난 대통령이 없는 나라

    • 이석연
    • 변호사, 전 법제처장
    • 2015년 06월 03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후 70여년 가까이 된 현재까지 우리는 열 분의 대통령이 물러나는 것을 지켜봤습니다. 불행히도 국민의 박수갈채를 받으면서 청와대를 떠난 대통령은 한 분도 없었습…
  • 국가재정운영계획 이대로 좋은가?

    • 김홍균
    •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 2015년 05월 31일
    지난 5월 20일 한국개발연구원은 『최근 우리 경제의 동향 및 전망』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내수가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하게 회복되겠으나 수출 부진이 지속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