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기자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4개
게시물
2,342개

46/235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인터뷰 <문화일보> 새창

    문화일보는 지난 2월9일자에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의 인터뷰 기사를 실었다. 현 정부의 경제정책은 물론 한국경제의 전망에 대해 의미 있는 내용을 많이 담고 있어 그 인터뷰 내용을 옮겨 싣는다. <편집자>“노동개혁, 독일식 ‘노사통합주의’가 바람직,사람중심경제에서 미국식 자유 원칙기반 해고제는 안 맞아““최저임금 인상 취지 좋았지만 혼란, 로드맵 다시 생각해야”“경제 체력 키우는 구조조정 … 체질개선 규제혁파·4대개혁 추진”국민경제자문회의(자문회의)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한 중요 정책의 수립에 관해 대통령의 자문에 …

    김광두(kidoo) 2018-02-15 01:27:14
  • 퇴직기자의 유쾌한 명상 체험기 쉐우민 이야기, 서른세 번째 이야기 ‘화는 들불처럼 번진다’ 새창

    화, 존재의 번뇌 동물의 뇌에는 아미그달라(Amigdala 편도체)라는 부분이 있다고 한다. 외부대상과 접할 때 그것이 자기개체에게 위협이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 부분이라고 한다. 뇌 생리학자들이 동물실험을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는데, 아미그달라가 마비된 쥐는 고양이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한다. 물론 사람의 뇌에도 아미그달라가 있다. 아미그달라의 작동원리는 단순하다. 자기 개체에게 이로운지, 해로운지, 이롭지도 해롭지도 않은지를 판단한다. 해롭다고 판단되면 아미그달라에 경고등이 ‘팍’ 켜진다. 아비담마에서 웨…

    김용관(yong1234) 2018-02-10 17:04:00
  • 새로운 도시의 탄생, 스마트시티 새창

    현대인들이 매일 매일 일하고 잠자고 살아가는 ‘도시’라는 공간 역시 엄청난 에너지 소모와,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거대한 또 하나의‘공장’이다.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2/3와 온실가스의 70%가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현재의 도시 정책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2050년까지 도시의 에너지 수요와 배출량은 현재 수준에서 각각 70%와 5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급속히 증가하는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두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스마트시티(Smart City)다. 정치, 경제, 사회의 글로벌 리더들이 스마…

    김성우(sungwoo123) 2018-01-30 17:00:00
  • 퇴직기자의 유쾌한 명상 체험기 쉐우민 이야기, 서른한 번째 이야기 누가 윤회하는가? 새창

    그래도 ‘나’는 소중하잖은가? “거꾸로 매달려도 살아있는 이승이 좋다”라는 우리 속담이 있다. 생사를 거듭하며 12개의 고리로 된 윤회의 바퀴를 돌지만, 그래도 나는 여전히 소중하다.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엄연한 사실이다. 붓다도 결코 이런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다. 붓다의 신도 가운데 빠세나디 왕이 있었다. 그가 자신의 왕비 말리까와 나눈 대화의 결론을 갖고 붓다를 찾아왔다. ‘누구에게나 이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존재는 바로 자기 자신’이라는 결론이었다. 이 말을 듣고 붓다는 이런 게송을 읊었다. “마음으로 사방을 찾아…

    김용관(yong1234) 2018-01-20 19:05:38
  • 인터넷 시대의 언론사와 네이버 새창

    #인터넷, 모바일 시대에 언론사들과 포털의 관계가 미묘하다. 특히 언론과 국내 포털의 대표기업인 네이버와의 관계가 그렇다.사회의 의제설정이라는 ‘권력’을 갖고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하던 언론사들은 인터넷 시대의 뉴스 플랫폼을 선점한 포털에 주도권을 빼앗기고 끌려 다니고 있다. 그래서인가, 언론사들에게 포털, 특히 네이버의 동향은 최고의 관심사다. 네이버는 때로는 협조를 받아 방문자 수를 늘려야하는 ‘우군’이, 때로는 광고를 빼앗아가 재정적 어려움을 초래한 ‘적’이 된다.#네이버가 지난해 말 ‘요약봇’ 서비스를 시작했다. 바빠서 언론사…

    예병일(fb858745669107885) 2018-01-15 16:57:00
  • 정부의 보유세 인상논의 어떻게 볼 것인가? 새창

    정부는 부동산 경기가 과열되었다는 판단 하에 보유세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보유세 인상은 1세대 다주택자의 투기를 막자는 의도에서 구상된 것이다. 작년에 개정되어 올해 1월과 4월에 시행되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나 양도소득세 강화가 예정되어 있음에도 시장은 정부가 의도한대로 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에 마지막 카드로 나온 것이 보유세 개편 논의이다.보유세는 거래세와 달리 현실적인 양도차익이 존재하지 않아도, 그 대상자산의 보유만으로 과세되기 때문에 보유세 인상은 거래세 인상에 비하여 시장의 충격이 더 크다. 그러므로 보유세…

    오문성(cpaos) 2018-01-14 17:07:38
  • 퇴직기자의 유쾌한 명상 체험기 쉐우민 이야기, 서른 번째 이야기 인생의 비밀은 ‘12개의 고리’ 새창

    윤회의 이유 도올 선생이 달라이라마를 만나고 와서 대중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내가 달라이라마에게, ‘당신은 부처의 화신입니까?’, 이렇게 물었지. 그랬더니 그가 이렇게 대답했어. ‘I'm incarnation of my previous life.' ... 그래서 내가 그를 존경하게 되었어” 대략 이런 내용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스스로를 깨달은 자라고 내세우지 않고, 다만 전생의 화신이라고 말한 달라이라마의 정신세계를 존중한다는 그런 뜻이었을 게다. 아무튼 불교도들은 윤회를 믿는다. 미심쩍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윤회를 믿지 …

    김용관(yong1234) 2018-01-13 17:04:00
  • 비트코인의 투기광풍, 두고만 볼 일인가? -향후 전망과 한국의 정책방향- 새창

    [1] 머 리 말[2] 화폐의 진화[3] 블록체인의 개념과 비트코인의 한계[4] 비트코인의 투기광풍과 버블붕괴 불안[5] 비트코인의 채굴과 수직공급선[6] 정규화폐로서 비트코인의 향후 전망[7] 주요국의 비트코인 규제와 한국의 정책방향 [1] 머 리 말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가상화폐 (Virtual currency)” 또는 “암호화폐 (Cryptocurrency)”라고 불리는 비트코인 (Bitcoin)의 투기광풍이 불었다가 정부의 규제가 시작될 기미가 보이자 일단 잠잠해졌다. 그러나 언제 다시 투기열풍이 불어 우리경제를 어렵게…

    김인철(chul12) 2018-01-07 17:48:00
  • 퇴직기자의 유쾌한 명상 체험기 쉐우민 이야기, 스물아홉 번째 이야기 삶은 왜 괴로운가? 새창

    “삶 속에 결코 행복은 없다.” 사람 사는 것이 모조리 괴로움이고 진정한 행복이란 적어도 삶 속에는 없다는 것이 붓다의 통찰이었다.(보통 불교에서 ‘괴로움’으로 번역되는 ‘dukkha’는 몸이나 마음의 아픔을 의미하는 ‘괴로움’보다는 ‘불완전함’의 개념에 가깝다. 우리가 일상에서 행복이라고 여기는 것들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속성을 갖고 있어서 완전하지 않다. 지고의 행복이나 영광, 축복 따위는 그래서 결코 없다.) 의사가 병을 치료하는 데는 병의 원인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원인을 모르고 나타난 증상만 완화시키는 치료법을…

    김용관(yong1234) 2018-01-06 17:29:00
  • 퇴직기자의 유쾌한 명상 체험기 쉐우민 이야기, 스물여덟 번째 이야기 공덕의 시간들 새창

    유도명상 사야도의 아침 9시는 하루 일정의 시작으로 미얀마 신도들을 위한 시간이다. 한 시간 동안 미얀마 말로 유도명상을 주도한다. 유도명상이란 마치 최면술사가 특정한 행동이나 말로 피최면자를 최면상태로 이끌 듯 말을 통해 수행자들을 명상으로 이끌어 주는 명상의 기법이다. 이를테면 “마음에 실린 모든 짐을 내려놓으십시오. 그리고 활짝 마음을 열어보십시오. 마음에 들어오는 모든 것을 저항하지 말고 받아들이십시오. 다만 알아차리십시오....” 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행자들의 명상을 돕는다. 오전 9시가 되면 담마홀 스피커가 작동한다. …

    김용관(yong1234) 2017-12-30 18:2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