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혁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8개
게시물
4,317개

398/432 페이지 열람 중


문화예술 게시판 내 결과

  • 신적 사고와 현대미술과의 관계 (1) 새창

    저번 주 연재에서 거론한바와 같이 현대미술은 신, 왕족, 귀족 등등의 계급사회 체제에 반기를 들면서 발전해왔다. 그 정신의 발전은 거대한 사회 담론에서 분화되고 미세화 되면서 최근의 현대미술은 개인의 사고를 일깨우는데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이번 연재는 현대미술을 통하여 우리는 어떻게 자기를 신하는 훈련도구로 삼을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현대미술의 탄생 배경1789년 7월 14일부터 1794년 7월 28일까지 일어난 프랑스 명에 앞서 계몽사상은 프랑스의 사회적 변화를 견인하였다. 특히 루소의 문명에 대한 격렬한 비판과 인민주권…

    전완식(na2na3) 2020-06-29 07:03:31
  • ‘21세기 정신을 전통의 산수화에 담기’ 프로젝트 NO.1 새창

    전통을 현대적 재료와 기법으로 재해석한다.‘21세기 정신을 전통의 산수화에 담기’ 프로젝트 NO.1 Kai Jun 등용문01 150호M 227.3cm X 145.5cm Acrylic on Canvas 2020년​프로젝트를 왜 시작하였는가?현대미술은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장르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현대미술에 대한 인식은 ‘어려운 것이다.’ 또는 ‘나는 문외한이다.’라는 식으로 기피하려한다. 전시장에서 보이는 감상의 상태도 매우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즉, 깊이 있는 사색의 시간이 …

    전완식(na2na3) 2020-06-22 07:17:41
  • 그들이 만드는 나라<그림이 있는 단편소설-제9화NO.4> 새창

    Kai Jun, 희망의 창NO.1​​, Oil on Canvas, 116.7cm X 72.7cm, 2011년 작 정진은 진진한 태도로 말하기 시작했다.“우선 우리나라가 포지티브 법체계로 발전한 것이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나라는 광복이후에 할 일이 엄청나게 많았습니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세계에서 3번째의 극빈국이 경제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했죠. 자원도 없고 힘도 없는 나라는 선택지가 별로 없습니다. 그런 이유로 정치, 행정에 있어 자율성보다는 국가의 발전방향성에 국민…

    전완식(na2na3) 2019-12-08 19:52:49
  • 그들이 만드는 나라<그림이 있는 단편소설-제9화NO.3> 새창

    Kai Jun, 희망의 창NO.3​​, Oil on Canvas, 116.7cm X 72.7cm, 2011년 작창수가 네거티브 법체계 전환의 의견을 내었고 참석자들은 대체적으로 동의를 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동의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우리나라의 법체계는 포지티브 법체계로 되어있다. 법으로 허락된 것만 할 수 있는 방식이어서 법 환경이 산업보다 선제적인 구성이 되어야하는데 산업의 발달 속도가 더뎠던 과거에는 이 방식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이뤄지고 있는 융복합적인 산업과 4차산업 명에 포함되는 산업들은 …

    전완식(na2na3) 2019-11-24 22:39:53
  • 그들이 만드는 나라<그림이 있는 단편소설-제9화NO.2> 새창

    Kai Jun, 희망의 창NO.9​​, Oil on Canvas, 135cm X 135cm, 2011년 작​창수는 태성이네 포장마차에서 미영이를 소개받는다. 미영이는 태성이네 학교의 법대를 다니는 수재인데 태성과 같이 국가의 미래를 발전시키기 위해 고민하는 사람이다. “이렇게 만나서 반가워. 태성이에게 얘기 많이 들었어. 마초 같은 남자라고 하하하”미영이는 창수에게 인사를 하는데 창수는 왠지 부끄러웠다. 하지만 자신이 남성미가 있다는 뜻으로 생각하고 인사를 받아들였다.“나도 태성이에게 얘기 들었어. 생각이 무척 깊고 현명한 사…

    전완식(na2na3) 2019-11-17 12:02:59
  •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는 곳. 제주! 새창

    급변하는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어디에서 영감을 찾아야하나?"나는 진리라는 거대한 바닷가에서 노는 소년"이라 말했던 아이작 뉴튼은 당시의 과학계에서는 상상하기도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였다.그의1687년<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책에는‘관성의 법칙’, ‘운동의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과 만유인력,천체의 운동에 관한 내용 등을 담았다.이런 초월적 업적을 만든 뉴튼을 향해 철학자 존 로크는 신으로 여기기까지 했다.​뉴튼은 항상 진리를 찾기 위한 고민을 했다.중력의 법칙을 알아낸1666년에는22개의 …

    전완식(na2na3) 2018-10-17 23:33:07
  • 당신은 예술가입니다! 새창

    우리는 예술가!대한민국은 국민 모두가 예술가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거의 모든 사람이 사진을 찍어 SNS에 온라인 전시를 하고 모임이 있으면 으레 노래방에서 노래 한가락 불러야 마무리가 된다. 청소년들이 좋아하는 아이돌 콘테스트에 100만명이 넘게 지원하는 것을 봐도 예술이 생활이고 삶 자체이다. 그런데 예술적 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예술가라고 자각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예술이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분명하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예술가임을 인정하며 전문적인 예술가들이 어떤 생각과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제주도를…

    전완식(na2na3) 2018-10-10 17:26:10
  • 한국인 시리즈 NO.7- 정조대왕의 꿈 새창

    작품 소​개수원화성 옆의 수원문화재단에 수년 전 심사를 몇 차례 가며 수원 화성의 가치를 새삼 느꼈던 적이 있다. 치밀해도 이렇게 치밀할 수있을까하는 생각이 들 정도의 계획 도시였다. 이상이 높았던 정조는 화성을 만들면서 이상실현을 하려했던 것 같다. ‘정조가 만약 장수를 했더라면’ 이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것도 그의 치밀함과 군사(君師)를 자처하는 것처럼 국가와 백성을 위한 수많은 노력과 방안이 있었기에 아쉬움으로 다가 온다. 정말 49세가 아니라 70세 정도까지만 살았더라도 조선의 미래와 현재는 많이 달라져 있을 것 같다. 화성…

    전완식(wan123) 2018-02-11 15:30:01
  • 한국인 시리즈 NO.4- 논개의 남자. 최경회. 새창

    작품 소개의로운 한국여성을 생각했다. 여러 여성인물 중 과거 진주성 방문에서 느꼈던 논개가 가장 강열하게 떠올랐다. 논개의 심리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표현을 하던 중에 우리나라의 역사를 되짚어봤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면 의병의 활동이 매우 많은 ‘의병의 역사’이다. 논개가 의로운 여인의 대표격이라면 그와 함께한 사람의 정신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다. 논개를 그리다말고 논개의 남자를 떠올렸다. ‘최경회’ 대단한 업적과 인품을 가진 사람이다. 작품은 최경회 장군의 의병 시절 무주대첩을 승리로 이끌어내려는 강한 의지가 있었던 …

    전완식(wan123) 2018-01-08 20:58:42
  • 한국인 시리즈 NO.3-고부 봉기 동학 농민 새창

    작품 소개고부 봉기의 동학 농민을 표현한 작품이다. 순박해 보이지만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것으로 느껴지는 미간의 주름을 중점적으로 표현했다. 죽창을 잡고 있지만 그에게서는 살기(殺氣)보다는 살기위한 간절함이 더 있었을 것이라는 상상으로 표현했다. 그런 인상을 만들기 위해 얼굴을 4번이나 고쳐 그렸다. 조선말기 각종 사회 혼란과 정부의 부패로 민심이 동요하던 가운데 고부군 군수 조병갑의 세금을 걷기위한 횡포가 도화선이 되어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다. 전봉준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동학농민명을 주로 설명하지만 실상은 농민 즉, 백성이…

    전완식(wan123) 2017-12-30 14: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