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ifspost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3개
게시물
3,596개

354/360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산업경쟁력포럼]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자동차산업 대응 - 토론 새창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미래차산업, 이동수단 솔루션 등 서비스업체와 부품업체가 성장 주도 - 자동차산업이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산업으로 변화했으며, 코로나 사태는 소비자들에게 환경에 대한 인식을 고취해 향후 전기동력 자동차 수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과 EU는 전기동력 자동차 수요를 증대하기 위해 구매 인센티브 등을 강화하고 있다. - 일각에서는 아직 배터리전기차의 수익성이 확보되지 못해 내연기관차를 판매해 수익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양대 시장에서 내연기관, 특히 연비가 좋지 않고…

    산업경쟁력포럼(admin) 2020-07-25 17:11:00
  • [산업경쟁력포럼]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와 자동차산업 대응 - 코로나 이후 자동차 산업의 빅뱅이 온다 새창

    1. 한국의 자동차산업은 이제 내연기관차를 많이 생산하고 원가절감해서 생존하는 게임이 아니라 에너지 전환과 디지털 전환으로 그 꿈을 바꿔야 한다. 내연차에 매달릴수록 한국자동차산업은 현재의 저주(curse of incumbency)에 빠지기 쉽다. 2. 아슬아슬한 미래차 논쟁이 끝나 가고 있다. - 자동차산업도 이제 탄소배출량을 놓고 줄다리기도 이미 끝난 게임이 되었다. 내연기관차 기업은 이제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코로나 이후의 에너지 대전환에 동참한 기업은 생존할 것이고, 이를 거부한 기업은 힘든 원가 싸움을 할 것이고, 기…

    김기찬(gch123) 2020-07-25 17:06:00
  • [辛경제] 문재인 정부 3년 경제 성적표 - 주가(株價) 새창

    -문재인 정부 3년 동안에 주가가 어떻게 변했는가. 똑같은 집권 초기 3년 동안의 이전 정부와 연평균종합주가지수로 비교해 보면 이명박 정부 때는 1,615에서 1,648로 33p가 올랐다. 약 2% 올오른 셈이다. 박근혜 정부 때 3년 동안에는 종합주가지수가 1,975에서 1,967로 8p 오히려 떨어졌다. - 문재인 정부 들어서 종합주가지수는 2016년도 평균치가 2,300인데 2019년도 평균치가 1,965를 기록했다. 연평균지수로 337p가 떨어졌다. 약 15%가 떨어진 것이다. 시가총액이라는 것으로 봤을 때도 결과는 …

    신세돈(seshin) 2020-07-25 17:01:00
  • [辛경제] 문재인 정부 3년 제조업 성적표 <2> 제조업 일자리 새창

    - 제조업 고용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달러를 벌어들이고, 연관효과를 통해서 다른 산업에서 영향을 주고 하기 때문에 정말 소중한 고용이라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이런 제조업 고용이 계속 줄어들고 있어 문제다. -이명박 정부 초기 3년 동안 제조업 고용은 404만 명에서 408만명으로 약 4만 명 증가했다. 굉장히 저조한 실적이다. 그런데 이제 이명박 정부 초기 3년에는 서브프라임 위기가 있었고, 2019년에 또 금융위기 때문에 전 세계가 경제가 안 좋아서 우리가 굉장히 힘든 때였다. 그래도 늘었다. -박근혜 정…

    신세돈(seshin) 2020-07-23 17:03:00
  • [辛경제] 문재인 정부 3년 제조업 성적표 <1> 제조업 생산 새창

    - 오늘은 문재인정부의 지난 3년간 제조업의 생산 부분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가를 비교를 해보려 한다. 우리 경제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가 안 된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서비스업을 중요시 한다. 그러나 제조업은 첨단기술이나 설비 등과 연관돼 비중은 작아도 한 나라경제의 핵심역할을 한다. -제조업 생산지수(2015년=100)를 보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초기 3년 동안 76.8(2007년)에서 92.4(2010년)로 15.6포인트가 개선됐다. 증가율로는 20.3%가 증가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 때는 99.3에서 100…

    신세돈(seshin) 2020-07-21 17:03:00
  • [남덕우기념사업회 토론회] 기본소득, 가능한 선택인가? - 토론 새창

    <토론 내용> ▲김기찬 중앙일보 논설위원, 고용노동전문기자 - 정치적인 메뉴로 등장한 것 아닌가? 기본소득은 일하지 않아도, 배고프지 않아도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금액을 나눠주는 것이다. - 어찌 보면 복지제도의 완결판 아닌가. 이것을 우리가 갑자기 필수품으로 갖추자고 하는데 동의하기 어렵다.- 지금 여러 가지 소득보전정책, 예컨대 아동수당이나 장애인수당 청소년 지원 등이 있는데 이 모든 것을 대체할 수 있느냐. 이데올로기적 패러다임이이 아닌가 의문이다.- 재원문제는 이미 발제자분들께서 지적하는 데 견해를 …

    남덕우기념사업회(admin) 2020-07-19 20:40:47
  • [남덕우기념사업회 토론회] 기본소득, 가능한 선택인가? - 복지국가의 환경변화와 대안적 논의: '기본소득' 담론에 관한 비판적 고찰 새창

    1. 기본소득 담론의 현실적 등장 배경: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의 결과로 인한 노동시장 양극화와 혼란이 예상된다. 예컨대 2030년까지 미국 직업 약 47%가 자동화로 대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가 하면 회계감사기업인 PwC는 2030년까지 일자리가 미국 –38%, 영국 –30%, 독일 –38%, 일본 –20% 라고 예측했다.- 이러한 대안으로서의 기본소득제도가 재등장한 것이다. 2. 패러다임 전환으로서의 기본소득 토마스 쿤은 “과학은 패러다임에서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기존 패러다임을 완벽히…

    안상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admin) 2020-07-18 17:05:00
  • [남덕우기념사업회 토론회] 기본소득, 가능한 선택인가? -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 맹점과 교훈 새창

    1. “정부가 모든 사람들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기본소득은 실현불가능한 공상에 불과하다!” 이렇게 단정하기에는 우리의 현실적 상황이 그렇게 단순하지는 않다. 문제는 기본소득의 채택여부가 아니라 충분한 논의도 없이 이 뜨거운 감자를 덜컥 삼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기본소득의 실현가능성이 정치적으로 점점 고조되고 있지만 그에 따른 학문적 연구는 해외의 문헌들과 비교할 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충분하지 않다. 2.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짧은 기간에 급히 섭렵할 수 있는 다양한 문헌들을 통해…

    옥동석(dong11) 2020-07-17 16:33:49
  • [GFIN 공개세미나] 코로나19 이후 전망의 Key Factor : IT와 4차산업혁명 |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 새창

    1. 경제와 증시 간의 Decoupling, 무형경제의 성장과 4차 산업혁명 -경제와 증시 간의 괴리는 글로벌 이슈가 아닌 미국의 이슈다. 예컨대 GDP대비 시가총액 비중을 보면 미국 200%를 돌파했으나 독일은 29%, 중국 54%, 한국 82% 등이다. - 이런 괴리는 왜 나타나는가? 무형경제, 즉 IT의 성장 때문이다. 이것이 미국 GDP와 주식시장 괴리율 확대의 시작이다. 미국 GDP에서 무형/유형 투자비율이 1992년 맞닿은 이후 무형 투자비율의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IT 버블 이후에도 등락은 있었지만…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admin) 2020-07-11 17:00:00
  • [GFIN 공개세미나] 왜 주가가 오를까? - 저금리와 이익의 비대칭성 |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새창

    1. 코로나 발병 국면에서 주식시장은 V자형 반등 - 글로벌 증시는 2~3월 폭락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코스닥과 나스닥은 코로나19 발병 직전 수준보다 높아진 상태다. - 이유는 뭔가?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개입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RB)를 비롯한 중앙은행의 공격적인 유동성 공급이 계속된 데다 유동성 공급 확대뿐만 아니라 중앙은행이 개별기업을 직접 지원하는 형태로 자금시장에 개입했기 때문이다. 2. 세계경제는 코로나 발병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 지난 1분기 경기급락 직…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admin) 2020-07-10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