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슈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5개
게시물
1,585개

154/159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2월3주차>빅데이터 정치민심지표로 본 대선판세 새창

    ▲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진행) ▲ 김형준 명지대 교수 ▲ 장수진 JPD빅데이터연구소 대표‘문재인 정체’ ‘안희정 계속 비상’ 그리고 ‘황교안 후퇴’- 김광두 : 전화 여론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포털 사이트에 나오는 민심과 합해서 새로운, 조금 더 신뢰성이 높은 정치민심지수를 개발했습니다. JPD빅데이터 연구소와 함께 개발한 새로운 정치 민심지표에 대해 지난주에 처음으로 말씀드렸습니다만 이번에 2월 3주차 지표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수진 : 지난 빅데이터 민심지표에서 나타난 관…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7-02-25 19:14:16
  • 빅데이터 정치민심지표로 본 대선판세 <2월 2주차> 새창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사회)▲김형준 명지대 교수▲장수진 JPD빅데이터연구소 대표문재인 대세론에 안희정 가파르게 상승- 김광두 : 요즘 민주당 당 내의 경선이 화제입니다. 그 동안 대세론을 이루었던 문재인 전 대표가 안희정 충남지사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대세든 도전이든 그 근거는 여론조사이고 그 동안의 여론조사는 전화 여론조사였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대선에서 경험했듯이 전화 여론조사를 얼마나 믿을 수 있느냐에 대해서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많습니다. 오늘은 빅데이터 방법론을 기존 전화…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7-02-18 18:21:06
  • (대담)정국혼란과 가라앉는 경제, 그 앞날은? 새창

    ◈ 일시 : 2016년12월10일 오전◈ 장소 : 국가미래연구원 스튜디오◈ 참석자 ▲김광두 서강대 석좌교수·국가미래연구원장(진행)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정치학)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대통령 탄핵소추 큰 표 차로 의결, 광장 민주주의의 발로- 김광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그러나 당분간 정국은 계속 혼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와중에 우리의 경제는 점점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침몰할지도 모릅니다. 앞으로 우리의 정국과 그리고 경제가 상호관계에 있는 이 둘 간의 관계 속…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12-13 17:20:43
  • 부채로 지탱되는 한국경제, 그 실상과 전망은? 새창

    부채로 지탱되는 한국경제, 그 실상과 전망은?▲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 진행)▲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부채문제, 심각하게 느끼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 김광두: 현재 우리 경제를 보면 기업과 가계 부채 심각한 상황입니다. 국민소득 대비 가계부채의 수준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그러한 입장에 처해 있습니다. 오늘은 정부와 기업, 그리고 가계가 갖고 있는 이 막대한 부채 이것이 어느 정도의 수준이고, 이것이 앞으로 어떠한 식으로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우리 개인생활에 얼마만큼…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10-11 22:38:18
  • <주제발표> ‘금융시장에서의 대-중소기업 격차’ 새창

    국가미래연구원과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는 9월29일「금융시장에서의 대-중소기업 격차」토론회를 개최했다. 공동토론 “보수와 진보, 함께 개혁을 찾는다”를 진행하고 있는 이들 단체는 두 번째 시리즈인『불평등,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의 4번째 토론을 이날 진행한 것이다.장하성 경제개혁연구소 이사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토론회는 ▲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가 주제발표를 맡았다. 토론은 △이상빈 한양대 경영학과 교수, △원승연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 △한종관 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경영혁신연구원장,…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10-04 18:12:30
  • [보수진보토론회] (토론) 교육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방향은?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 공동주최국가미래연구원과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는 24일 「교육의 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 방향은?」토론회를 개최했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토론회는 김희삼 교수(광주과학기술원 GIST대학)와 이기정 교사(서울 미양고등학교)가 발제를 맡고,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 김정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황영남 서울 영훈고등학교 교장, 성열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장, 남기곤 한밭대학교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다음은 이날 발표된 토론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9-03 21:24:10
  • 시동 건 미 금리 인상,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새창

    <대담>▲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서강대 석좌교수, 사회)▲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이재우 보고펀드 대표-김광두: 미국의 FRB(Federal Reserve Board;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우리 같으면 한국은행입니다. 이 FRB의 옐런 의장이 미국 금리의 인상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오늘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에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주식시장 채권시장 그리고 우리의 환율 이러한 중요한 변수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이 금리인상에 대한 어떤 방침을 밝힌 게…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9-02 17:03:48
  • 바이오산업의 미래1, 바이오 경제시대가 다가온다 새창

    개요 주제 :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이슈 및 발전전략” 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주요 발표 내용 1) 왜 바이오산업 육성이 시급한가? - 바이오 기술은 국민행복과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창출의 핵심열쇠임. 세계는 기술융합의 소용돌이 속에서 바이오경제의 청사진을 그리고 체계적인 중장기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음 - OECD는 바이오기술이 IT, NT 등 타 기술들과의 융복합을 통해 2030년이면 글로벌 바이오경제 시대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 - 특히 지난 20년 ICT산업이 이룩한 결과를 보았을 때, 향후 20년은 유전체 분석…

    오태광,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admin) 2016-08-10 20:00:07
  • 바이오산업의 미래2, 융복합에서 길을 찾다 새창

    농업분야 : 무한한 자연을 이용 카본-제로 바이오 플럭스 ... Co2를 완전히 해결할수 있다. 현재의 농업의 가치는 굉장히 변화하고 있다. *농업 가치의 변화 1.'생존' : Product 2.'맛과'영양'': Quality 3.'안정성'과 '환경' : Safety ex)유기농,무농약 4.'인간 중심' : 1) Custom Focus 2) 건물형농장의 발생 *Human Focusing Medi-Food. :기존에 약물로 섭취하던 영양분을 다양한 영양분의 음식으로 제공. *자유융합 회전 건물 : 농업에 적합한 환경에 맞추어진 건물을…

    오태광, 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admin) 2016-08-10 19:53:59
  • 북유럽을 가다 9 - 여성 파트타임제도, 성공의 비결 (네덜란드 SER-사회경제위원회) 새창

    네덜란드 사회경제위원회(SER)는 국가적, 국제적 이슈들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가져오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대표, 노조대표 및 독립적 전문가그룹으로 구성된 정부 및 의회에 대한 자문기구이다.네덜란드의 경우 높은 실업률과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1982년 바세나르협약을 체결한 이후 파트타임 일자리 확대로 고용률을 70% 이상 유지하고 있다. 파트타임 근로를 바탕으로 한 네덜란드의 고용률 신장과 노동시장 개선은 서비스업 위주의 산업구조와 높은 임금 수준 때문에 가능했지만 무엇보다 일자리 문제를 풀어 경제를 살려야 한다는 노사 간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8-07 17:5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