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전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2개
게시물
2,260개

14/226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세종연]새해 국제정세 <4> 중국의 2023년 대외략 평가와 새창

    중국의 대외전략 변화: 다극화된 국제질서 가속화2023년 3월에 중국 양회(兩會)1)를 통해 모든 참석자들의 만장일치로 시진핑 총서기를 국가주석과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새롭게 선출하여 역사상 3연임에 성공 하였다. 20차 당 대회 이후 시진핑 주석의 3연임에 성공하면서 당강정약(黨強政弱: 당이 행정부 관리)으로 요약될 수 있는 시진핑-리창(李強)체제가 공식적으로 출범하며 새로운 시진핑 1인 중심 체제가 구축되었다. 특히 새롭게 출범한 시진핑 주석 3기 지도부는 내부 정치 결속 등을 강화하여 새로운 다극화된 국제질서 추진과 미국과…

    정재흥(jjh) 2024-01-05 16:00:00
  • [세종연]새해 국제정세 <3> 일본정치의 새창

    2024년의 일본정치를 전망하는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기시다(岸田文雄) 총리에 의한 국회(중의원) 해산 시점이 언제가 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하겠다. 물론 중의원의 임기가 4년이기에 지난 2021년 10월 31일부터 계산하면 2025년 하반기까지, 아직 2년 정도의 시간이 있기는 하다. 그럼에도 올해 2023년부터 내년도까지 점쳐지고 예상되는 이유는 내각책임제를 시행하는 일본의 국무총리에게 국회해산권, 소위 말하는 ‘7조 해산권’이라는 권한이 있고, 그것이 총리로 볼 때 본인에게 가장 유리하다거나, 선거에서의 승리가 가능…

    이면우(mwlee) 2024-01-05 14:00:00
  • [세종연] 새해 국제정세 <2> 미국 대선 망과 우리의 대응 새창

    2024년 미국 대선, 왜 중요한가?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왜 특히 중요할까?첫째, 양극화에 빠진 미국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매우 상이한 국내외 정책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이전보다 훨씬 더 높아졌기 때문이다. 미국 우선주의 기조는 후보나 선거와 상관없이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다만 방법론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을 중심으로 민주주의 국가들끼리의 가치연대를 강조하며 러시아, 북한 등에 대해 전통적인 강경책을 견지하고 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우NATO를 위시한 동맹 체계를 부정하고 일방주의(unilate…

    서정건(suhjungkun) 2024-01-05 12:00:00
  • “2024년 최대 리스크는 ‘트럼프’, 경제 망도 ‘복잡 · 불투명’ 새창

    해마다 연초가 되면 각 분야의 수많은 글로벌 전문가들이 나름대로 정치, 경제 전망을 쏟아내며 경각심을 불러일으키지만, 금년에는 특히 앞날을 예측하기가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국면이라고 입을 모은다. 그만큼 현 국제 정세가 다양한 변수들이 뒤얽혀 있고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가 있다. 그런 가운데, 각 미디어들은 몇 가지 관심을 가져야 할 특징적 요인들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런 요인들은 결과를 예단하기란 대단히 어렵지만, 사안에 따라서는, 글로벌 질서를 한 걸음 전진시키거나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을 것으로 주시한다. 경…

    박상기(sangki) 2024-01-05 11:15:38
  • [세종연] 2024년 국제정세 망 <1> 불확실성과 리스크 증대 새창

    국제질서의 파편화와 진영화2024년 국제정세는 파편화된 세계질서 하에서 새로운 진영화가동시에 진행되는 가운데 글로벌 곳곳에서 다양한 갈등과 충돌로인한 불확실성과 리스크가 증대할 전망이다.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이 진행 중이고, 여기에 더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대만해협-남중국해의 긴장 가능성, 한반도의 위기감 고조 등이 거론된다.첫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심해진 국제체제의 분절화(systemic fragmentation), 혹은 파편화된 국제질서 도래로 모든 국가들이 자국 이익 위주로 격돌하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시대가 전개되…

    이상현(lsh) 2024-01-05 10:00:00
  • 2024 망 <5> 세계안보정세와 우리의 과제 새창

    2024년 세계의 안보정세를 좌우할 3가지 요소가 있다.첫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소모전 속에서 전쟁이 계속될지 혹은 휴전이 될지 여부이다. 둘째는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경쟁이 개선될지 혹은 악화될지 여부이다. 셋째는 핵미사일 강국이 된 북한의 김정은이 한국과 미국을 향해 도발하느냐 혹은 도발하지 않느냐의 여부이다. 제일 먼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들여다보자.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은 1년 10개월을 끌어오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20%에 해당하는 돈바스와 루한스크 …

    한용섭(hanyongsup) 2024-01-04 17:10:00
  • 2024 망 <4> 부동산 시장 새창

    2023년 부동산 시장 진단2024년 부동산 시장을 내다보기 전에 먼저 2023년 부동산시장을 한마디로 진단해 보면 “2023년 부동산 시장은 경착륙 중에 연착륙했다. 그리고 다시 하락하는 시장, 더블딥 현상이 진행 중인 시장”이라고 특정할 수 있다. 그 원인은 고금리와 고유가, 고환율 등 글로벌 경제위축과 한국경제 침체 등 경제 상황과 맞물리면서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가 뒤따랐지만 시장은 힘든 한 해를 보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1월에는 무역수지가 126.9억 달러나 적자를 나타내더니 이후 적자 폭은 점점 줄어들면서 6…

    권대중(djk1129) 2024-01-03 17:10:00
  • 2024 망 <3> 자산관리는 어떻게? 새창

    2024년 새 해가 밝았다. 갑진년 청룡의 기운을 받아 우리 가계의 자산도 날아오를 정도로 증식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작년이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로 특징된다면, 금년은 '물가안정, 금리하락, 환율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하 시점과 폭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경기의 향배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으로 채권을 중심으로 자산을 운용하며 주식은 중립, 부동산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우선, 지난 해 우리 가계가 투자했거나 관심을 가질만한 주요 자산들의 연간 성과부터 살펴보자…

    배현기(baehyunky) 2024-01-02 17:11:00
  • 완식의 생동하는 문화예술 <13> 관광 대국으로 가는 길 ③글로벌 관광상품의 준비 새창

    저번 글에서는 많이 부족한 개별관광 상품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번에는 해외관광객을 어떻게 만족시키는지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여 제안해본다. 관광문제를 지속적으로 다루는 이유는 지역소멸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가능성 때문이다. 이미 지역소멸 단계로 돌입한 곳에서는 사회 인프라가 사라지는 이유로 남아있는 사람들도 정주성이 열악하여 떠나야하는 악순환이 진행되고 있다. 내부에서 인구를 생성할 수 없다면 유입이라도 적극적으로 시켜야한다.I. 일본의 관광 성공 비결 분석우리는 한일감정이 있어서 일본을 항상 얕잡아보고 그들…

    전완식(fb239344926225021) 2024-01-01 19:18:00
  • 2024 망 <2> Q&A로 풀어보는 2024년 주식시장 새창

    Q1) 작년 한해 간단히 정리해 본다면?작년 이맘 때 쯤인 2023년 연초를 되돌아 보면, 미 경제가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으로 높았었다. 가령, 필라델피아 연준이 전문가 상대로 1년내 침체 여부를 묻는 서베이에 대해 1968년 데이터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응답이 나오기도 했었다. 하지만 실제 결과는 걱정보다 훨씬 좋았는데, 2023년 미국 경제성장률은 2%초반대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고용이 매우 양호해서 소득도 늘었고 코로나 때 뿌렸던 재정지원금이 여전히 많아서 결국 경제의 2/3를 차지하는 소비가 좋다 …

    서철수(sujcjulsoo) 2024-01-01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