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근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132개

11/14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L자형 침체 가능성 - 최 경제동향 <2019.12.9. 분석> 새창

    1. 2019년 10월 고용률(61.7%)은 전년 동월(61.2%)대비 0.5%p 상승하였으나 30·40대 및 임시근로자와 제조업 고용은 감소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41만 9천명(1.5%) 증가했다. 그러나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과 농림어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고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 고용은 1년 7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고용 감소세, 비임금근로자는 2018년 1월 이후 고용 감소, 일자리 취약계층인 임시근로…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김상봉)(kimsb2) 2019-12-09 13:00:00
  • 시장을 대체하는 정부 - 최 경제동향 <2019.11.13. 분석>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김상봉 한성대 교수) 1. 2019년 10월 고용률(61.7%)은 전년동월(61.2%)대비 0.5%p 상승하였으나 정부재정 투입에 따른 20·60대 및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증가하고 정부 정책 등에 따른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증가했다. 2. 10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4.7% 감소하며 장기 감소세(11개월),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14.6% 감소, 무역수지는 53.9억 달러 흑자로 전년동월(63.8억 달러) 대비 9.9억 달러 감소했다. 특히 13대 주력품목 중 반도체, 석유화학…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김상봉)(admin) 2019-11-13 18:00:00
  • “잦은 통계기준 변동이 착시현상 유발” - 최 경제동향 <2019.10.14. 분석> 새창

    1. 2019년 9월 고용률(61.5%)은 전년동월(61.2%)대비 0.3%p 상승하였으나 제조업, 30·40대 및 임시근로자 고용 감소 상황은 지속되고 있다.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4만 9천명(1.3%)이 증가했으나 30·40대 고용 감소 지속되고,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과 농림어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고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제조업 고용 악화 상황은 2018년 4월 이후 지속되고 있다. 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고용 감소, 비임금근로자는 1년 7개월 …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김상봉)(admin) 2019-10-16 17:01:00
  • 고용통계 착시현상 - 최의 경제동향 (2019.9.18. 분석) 새창

    8월 취업자수 45만명 증가, 제조업 및 30·40대 취업자 수는 계속 감소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3.6% 감소하여 9개월 연속 감소세 건설업은 1년 6개월 연속 장기 침체국면, 7월 수주액은 대폭(23.3%) 감소 OECD 경기선행지수는 2017년 6월 이후 2년 1개월 연속 장기 하락 1. 2019년 8월 고용률(61.4%)은 전년 동월(60.9%)대비 0.5%p 상승하였으나 기저효과(전년 동월 0.3만 명)와 정부 재정지원 사업으로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45만 1천명(1.7%) 증가했으나 30…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금융부(김상봉)(kimsb2) 2019-09-21 17:00:00
  • “갈수록 심화되는 제조업 부진”-최 경제동향 <2019.7.15 분석> 새창

    제조업 고용·생산·설비투자 모두 감소 지속 6월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3.5% 감소로 7개월 연속 감소 OECD 경기선행지수, 2017년 6월 이후 23개월 연속 하락 1. 2019년 6월 고용률(61.6%)은 전년 동월(61.4%)대비 0.2%p 상승하였으나 30대·40대 및 제조업 고용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28만 2천명(1.0%) 증가했으나 30, 40대 위주의 핵심 산업인력의 고용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2.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과 농림어업의 고용은 …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7-17 17:05:00
  • “30·40대 고용감소, 개선될 기미가 없다”-최 경제동향 <2019.6.12. 분석> 새창

    5월 고용률 61.5%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취업자 25만9천명 증가 산업생산(4월)은 0.7% 증가하였으나 건설업은 15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소비자심리지수(5월)는 전월의 101.6 보다 3.7p 하락한 97.9로 내려앉아 1. 2019년 5월 고용률(61.5%)은 전년동월(61.3%)대비 0.2%p 상승하였으나 제조업 및 30대·40대 고용 감소는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5월의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25만9천 명(1.0%)이 증가했으나 30, 40대 위주의 고용감소…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6-12 17:05:00
  • 투자 감소 및 수출 경쟁력 악화 - 최의 경제동향(5.15 분석) 새창

    1. 2019년 4월 고용률(60.8%)은 전년동월(60.9%)대비 0.1%p 하락했다. 실업자 수와 실업률은 4월 기준으로는 외환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0년 이후 1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실업자 수는 124만5천명에 이르렀고, 실업률도4.4%로 전년동월(4.1%)대비 0.3%p가 상승했다. 최고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17만 명(0.6%) 증가했다. 고용은 30~40대 위주의 고용 감소가 지속됐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비임금근로자, 일용근로자, 일자리 취약계층인 임시근로자는 2…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5-16 08:30:00
  • “모든 경제지표 쪼그라들었다”-최의 경제동향 (4/9일 분석) 새창

    ​ 지난 2019년 2월 고용률(59.4%)은 전년 동월과 전월(59.2%)대비 0.2%p 상승하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연간 고용률 59.8%보다는 하락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26만 3천명(1.0%) 증가했고, 월대비로는 11만 4천명(0.4%)이 증가했으나 10대, 30~40대 위주의 고용 감소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아울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비임금 근로자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고, 일자리 취약계층인 임시근로자 역시 고용 감소가 지속되고 는 것으로 분석됐다.업종별 용동향…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4-09 17:00:00
  • 일자리 재난 상황 악화에 수출 감소도 지속 : 최 경제동향 <2019.3.6. 분석> 새창

    “일자리 재난 상황 악화에 수출 감소도 지속” 2월 수출 전년동월대비 11.1%p 감소로 3개월 연속 감소 건설기성액 11.8%p 감소, 건설수주액 41.3%p 감소로 건설업 “침체”1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한 59.2% 1. 2019년 1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한 59.2%로 일자리 재난 상황 지속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1만 9천명 증가, 전월대비 40만 6천명 감소 -10대, 30~40대 위주의 고용 지속적 감소 및 감소폭 확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및 …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3-08 17:00:00
  • 4개월 연속 산업생산 감소 등으로 저성장 고착화 우려 : 최 경제동향 <2019.2.7.분석> 새창

    종합 평가 1. 2018년 12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3%p 하락한 60.1%로 지속적인 일자리 재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3만4천명 증가, 전년대비 연간 취업자수는 증가폭이 축소된 9만 7천명 증가에 그쳤다. 특히 10대, 30~40대 위주의 고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및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모두 감소하는 추세에서 일자리 취약계층인 임시․일용근로자 고용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9-02-09 17: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