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4,733개

439/474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진퇴양난의 금리정책 새창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또 0.25%p 내려 사상 최저 수준인 1.75%를 기록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 2013년 5월 2.75%에서 2.5%로 내린 후 작년 8월과 10월에 어 네 번에 걸쳐 1%p 내린 셈다. 번 금리 인하가 다소 놀라웠던 것은 많은 사람들 동결을 예상했기 때문다. 과거 기준금리 인하의 경우를 보면 항상 그 전 달 인하의 ‘시그널’을 줬고 또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 의견을 개진했었다. 따라서 지난 달 만장일치로 동결을 결정한 상황에서 번 달에는 인하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은 당연했다. 언론 한은의…

    신세돈(seshin) 2015-03-15 20:17:25
  • 미국 금리 인상 시나리오 새창

    6월 금리 인상 예상 미국 연준 사회가 금리를 6월에 인상할 가능성 높아졌다. 그 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난 2월 24일 있었던 상원 청문회 증언을 통해 Yellen 연방은행 사회 의장은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대한 금리 인상을 연기하겠다는 의미의 종래의 “patient”에 더 상 구속되지 않는 대신에 미국 경제의 “data”에 따라 금리 인상시기를 유연하게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The FOMC’s assessment that it can be patient in beginning to nor…

    김동원(dwkim) 2015-03-15 20:01:58
  • 식습관과 수명(壽命)의 관계 새창

    식습관에 따라 장수촌 바뀐다. 일본의 유즈리하라(棡原)는 장수촌으로 유명했다. 후지산 자락, 도쿄에서 가까운 곳지만 깊은 산골 마을다. 산비탈에서 밭농사만 짓는 마을은 보리를 중심으로 조 · 기장 · 옥수수 같은 잡곡과 고구마를 주식으로, 야채와 산채를 반찬으로 먹고 살았다. 70~80세가 되어도 건강한 체력으로 농사를 짓는 장수 마을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번영을 구가하면서 오지(奧地)에도 버스길 열리고, 도쿄 등지로 품팔에 나선 중년층의 수입 늘어 식생활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식탁에는 잡곡나 고구마 …

    류영창(ycryu1) 2015-03-13 21:01:55
  • 옴니채널 시대의 스마트한 자동차 생활 즐기기 새창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유통경로를 넘나들며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용하는 옴니채널(Omnichannel)의 등장으로 새로운 유통 혁명시대가 열리며 를 자유롭게 활용하는 ‘크로스쇼퍼(Cross shopper)’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들은 ‘무엇을’ 살 것인지 고민하기보다는 ‘어디서’ 구매할지를 고민하며 온∙오프라인 구분없 모바일 기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쇼핑을 즐긴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본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하고 다시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령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면 자동으로 온라인 쿠폰을 …

    표현명(hmpyo) 2015-03-13 20:56:25
  • 최저임금제의 효과에 대한 최근 실증연구들의 정책적 함의 새창

    -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최저임금을 대폭 상승시켜 근로자의 소득 증대 및 를 통한 소비 확대를 꾀하자는 주장 제기되고 있음.- 에 대한 반론은 주로 최저임금의 상승 고용주 특히 중소기업에 가져올 부담 크다는 점, 그리고 러한 부담은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고용에 악영향을 줄 것라는 점으로 요약되고 있음.- 그러나 최저임금의 상승 구체적으로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어느 정도 주는지에 대한 실증적 근거없 논의되어 정책논의가 담론으로 흐르는 경향도 보임.남성일의 연구- 남성일교수의 2008년 연구, 「최저임금제가 노동수요…

    남성일(nam123) 2015-03-12 20:12:44
  • 소득증대 보다 일자리 창출 먼저다.-부제: 일자리 파괴하는 소득증대 정책 새창

    지금 정부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가계소득증대 정책은 쉽게 말해 소득 있는 사람들의 소득을 올리자는 야기다. 소득 없는 사람들은 그 대상 아니다.최저임금 인상도 최저임금라도 받는 사람에게만 혜택 간다. 그나마 최저임금라도 받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일자리를 얻기 더 어려워 질 것고 최저임금 근로자의 일부는 일자리를 잃게 될 것다.임금과 고용비용을 올려서 생산과 고용 증가하는 경제를 만든다면 는 노벨 경제학상을 받고도 남을 업적다. 그런 경제는 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지금 정부가 추진하…

    김종석(yonseijskim) 2015-03-12 20:03:32
  • 최저임금 인상론, 어떻게 보아야 할까? 새창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난 3월 4일 “최저임금을 빠른 속도로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제부총리로서는 대단히 례적인 발언다. 그리고 금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아직 시작도 되지 않은 상황라 시기적으로 느닷없을 수 있다. 짐작컨대 한편으로는 우리경제가 지금 디플레션의 늪 속으로 빠져 들어가고 있고, 것을 제동걸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실질임금을 올려서 소비를 진작하는 것 효과적라고 판단했기 때문라 생각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정규직을 비롯한 저임금 근로자 문제를 더 상 방치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라 보인다.미국의 오…

    이원덕(saramhope) 2015-03-12 19:59:16
  • 규제개혁은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 아니다 새창

    “규제완화는 근본적인 대책 될 수 없어서 고민 필요한 부분다.” 얼마 전 유승민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언급한 내용다. 박근혜 정부가 경제 활력의 회복을 위해 규제개혁 작업에 진력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유승민 원내대표의 발언은 듣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해석 가능한 뉘앙스를 남겼다. 언론에서는 ‘규제는 암덩어리’, ‘규제 단두대’라는 수사까지 써가며 강력하게 추진하는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여당의 원내대표가 사실상 반기를 든 것라고 해석하기도 하고, 앞으로 규제개혁을 둘러싼 논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물론 언…

    심영섭(young123) 2015-03-11 20:52:37
  • 정치의 존재유: 사회적 합의를 통한 백성 잘살게 하기 새창

    최근 정치에 대한 불신 고조되고 있다. 대통령은 소통 불통란 비판 나돌고, 국회의원들은 자기들만의 잔치를 벌고 있다는 비난 언론에 회자되고 있다. 왜 리 된 것일가? 간단히 말해서 정치가 제 구실을 못하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 불만을 쏟아내는 것리라. 그러면 도대체 정치는 왜 존재하고 또 왜 필요한 것일가? 다시 말해 우리는 왜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뽑고 또 그들을 예우하고 존경하며, 그들로 하여금 우리가 내는 세금으로 국가를 다스려가게 하는가? 여기에 경제학 정치의 존재유를 묻게 되는 소가 있다. 나라를 루는 …

    이영선(yslee) 2015-03-11 20:44:51
  • 통일대박! 상생의 관점에서 동등한 교류로 풀어본다.- -부제: 제3지역의 만남- 새창

    통일은 한민족라면 누구를 막론하고 필요한 일라고 생각 할 것다. 나 또한 한민족기에 많은 관심과 고민의 시간들 있었다. 특히 국가미래연구원의 위클리 카툰을 그리고 있는 동안 더욱 국가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생각 깊어진 것도 사실다. 런 저런 생각을 하던 중 오늘 국가미래연구원에서 열렸던 ‘통일시대, 남북 문화교류의 성과와 과제’ 세미나가 있었고 오양열 박사님의 발제와 전영선 교수님의 토론에서 나의 의견을 조금 발표했었다. 시간 관계상 핵심만 말씀드렸는데 세미나 후에 조금 더 얘기를 듣고 싶다는 분 계셔서 글로 작성…

    전완식(wan123) 2015-03-10 20: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