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박 상기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262개

23/27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2017년, 글로벌 사회의 “큰 흐름(Top Trends)” 예측들 “‘트럼포노믹스(Trumponomics)’ 영향이 글로벌 경제에 반영될 것” “정보기술의 무한(無限) 변혁과 초(超)불확실성 시대의 개막을 예고” 새창

    2017년, 글로벌 사회의 “큰 흐름(Top Trends)” 예측들 “‘트럼포노믹스(Trumponomics)’ 영향이 글로벌 경제에 반영될 것” “정보기술의 무한(無限) 변혁과 초(超)불확실성 시대의 개막을 예고”英 Financial Times는 “2016년은 Demagogue(대중영합적 선동)가 횡행한 한 해였다” 고 정의했다. 전세계 많은 사람들은, 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 결과의 반전, 낯선 국가주의적 이념의 정책을 주창하는 비(非)정통 정치인 트럼프의 예상 밖의 당선, 그리고, 아시아 인국 필리핀에서 스스로 살인을 고백…

    상기(sangki) 2017-01-04 18:08:42
  • 美 트럼프 “미국 핵 능력 확대해야” 언급, 큰 파문 “’뉴 스타트’ 협약 노선에 역행, 새로운 핵무기 경쟁 촉발 우려”NYT 새창

    美 트럼프 차기 대통령 당선자는 지난 대선 캠페인 동안에, 핵무기 정책과 관련하여 아주 도전적인 발언들로 큰 파문을 일으켰었다. 즉, 미국이 공격을 받았을 경우, 대항 수단으로 핵 무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토로했다. 한편, 한국 및 일본 등이 미국의 안전 보장 제공에 대해 ‘적절한(더 많은)’ 부담을 하기 싫으면, 스스로 자신들을 방어할 핵무기 보유도 용인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언급도 쏟아내서 당사국들에 커다란 충격과 경악을 안겨 주기도 했다.이번에는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핵 무기 증강 기도를 암시하는 선수를 치는 …

    상기(sangki) 2016-12-26 15:16:36
  • “한국에 위기가 암처럼 번지고 있다”; 외신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현 위기 상황 새창

    『외신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현 위기 상황』“한국에 위기가 암처럼 번지고 있다”‘한국은 가혹하고, 무섭고, 아주 어려운 한 해를 맞고 있어”“한국에 위기가 암처럼 번지고 있다(‘South Korea’s Metastasizing Crisis’)” 최근 미국 뉴욕 타임스가 현재 한국이 처한 위기 상황을 논평하는 사설 제목이다. 이를 위시하여 거의 모든 주요 외신들이 일제히 한국이 지금 처해 있는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대해 한결같이 깊은 우려와 경계의 시선으로 예의 주시하고 있다.이번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이라는 희대의 스캔들을 해외의 …

    상기(sangki) 2016-12-15 10:26:37
  • 불타오른 촛불 민심, 다음으로 향할 곳은? - 그리스 광장정치가 일깨워주는 교훈 새창

    이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일단 국회에서 결정되고 나니, 많은 국민들은 한편 안도하기도 하고, 다른 한 편에는 아직도 다 삭이지 못한 분노와 식지 않은 잔열(殘熱)이 적지 않게 쌓여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역사상 유례가 드문 괴기(怪奇)한 부정 사건에 연루된 현직 대통령에 대한 징벌적 탄핵이다 보니 일반 국민들의 심경이 더 할 나위 없이 혼란스러울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앞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상세한 전말이 서서히 밝혀질 터이나, 지금까지 알려진 것 만으로도, 일단의 관련자들의 탐욕스러운 입김이 닿지 않은 …

    상기(sangki) 2016-12-11 18:26:54
  • 중국, 과연 ‘금융 붕괴’가 닥쳐 올 것인가? 블룸버그 새창

    “부채 붐(Boom)은 대개 나쁜 결과 초래, 중국은 이미 심각한 상황” “중국 경제 특성 상, 위기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 는 견해도 <중국 경제에 보내는 적색 경보> 1995년 이후 ‘Credit-to-GDP gap’ 지표의 추이중국 경제에 적색 경고가 울리고 있다. 헤지 펀드 운용가인 베쓰(Kyle Bass)씨를 비롯해서 중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사람들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핵심 지표들이 나타내는 ‘경고음’인 것이다. Bass 씨는 중국이 금융 시스템을 구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만큼 엄청난…

    상기(sangki) 2016-11-21 17:05:54
  • 美 트럼프의 ‘중국 때리기’는 현실의 벽에 부딪칠 것 새창

    “트럼프의 반(反)무역 정서는 결국 중국을 승자로 만들 것” 블룸버그 주요 정책들 벌써 후퇴 기미, 일찌감치 ‘탄핵’ 가능성도 거론돼美 대선에서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의외의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뒤, 벌써부터 동 당선자의 향후 정책 수행 향방에 전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는 당선 연설에서는 종래의 과격하고 방만한 언사와는 딴 판으로 다소곳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선거 캠페인 과정에서 워낙 기행과 폭언에 가까운 언사들을 쏟아낸 터라, 온 세계인들의 이목은 여전히 트럼프의 대통령직 수행 과정에서 보일 진실된…

    상기(sangki) 2016-11-14 17:12:53
  • 美 트럼프 당선자의 정책방향은? 새창

    ​​전세계에 “트럼프 리스크” 현재화, 당분간 혼란 상황 이어질 듯 정책 노선은 '미국 우선주의에 입각한 신(新)고립주의, 극단적 보호무역'‘급격한 교역 위축, 자주 방위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이 긴급한 과제​​​​ 지난 1년 반 여 동안 진행되어 온 미국 대선 레이스가 드디어 종착에 이르렀다. 많은 구설과 기행에 가까운 언행으로 전세계 이목을 집중시켜 온 기업인 출신 ‘이단아(異端兒)’ 트럼프 후보가 정통 정치인 출신 상원의원 클린턴 후보를 상당한 차이로(선거인 확보 수 기준) 꺾고 승리를 쟁취했다. 동시에, 트럼프의…

    상기(sangki) 2016-11-09 20:43:17
  • 中 경제, 성장 둔화의 끝에 무슨 상황이 벌어질까? “금융 붕괴(meltdown)? 황금 시대의 부활? 일본형 장기 침체?” 새창

    중국이 글로벌 G2 경제 대국으로 부상한 지금, 종전의 미증유의 초고속 성장에서 중속(中速) 성장 페이스로 들어선 것은 이미 대세로 굳어졌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16년 3 사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6.7%로, 전 사분기에 이어 연속 ‘횡보(橫步)’ 양상을 보였다. 10 여 년 전까지 이어온 두 자리 성장률에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속도다. 성장률 내역은 대체로, 공공 투자 확대 및 부동산 부문이 중심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진핑 정권이 금년 초 설정한 6.5% ~ 7.0% 목표대에 부합되는 수준…

    상기(sangki) 2016-10-24 14:21:19
  • “中, 과잉 부채 통제 못하면 금융 위기에 봉착할 것” - 이대로 2019년까지 가면 전면적(full blown)인 금융 시스템 위기 새창

    중국의 과잉 부채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들어, 국제 사회에서는 많은 이코노미스트나 투자자들이 위험성을 누누이 지적해 오고 있는 문제다.이번에는 국제금융 관련 글로벌 최고 감시 기구라고 할 수 있는 BIS가, 최근 발간한 분기별 통계 보고서 『BIS Statistical Bulletin, Sep. 2016』에서 최근의 중국의 부채 관련 수치를 들어, 중국이 과잉 부채 문제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이대로 2019년까지 간다면, ‘전면적인(full blown) 금융 시스템 위기(banking system crisi…

    상기(sangki) 2016-10-11 21:50:42
  • “『트럼프 현상』은 헌법이 중병(重病)에 걸린 징조” ‘어느 후보가 당선되든 병환(病患)은 치명적일 것’ Atlantic誌 새창

    미국 대선이 점차 열기를 더해가고 있는 가운데 첫 번째 후보 간 TV 토론이 끝났다. 대다수 언론이 힐러리 우세로 판단했다. 그간 트럼프 후보에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던 관전자들은 다소 안도할 것으로 짐작된다. 당장, 우리나라와 관련해서도 트럼프는 지극히 편협하고 근시안적 안보관으로, 방위비 분담이 없다(적다)는 허구적 주장을 하고 있다. 당연히 극단적 보수 색채의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어 일부 미국 국민들 및 주변국들과 함께 우려를 금치 못하는 현실이다.한편, 두 후보 모두 보호무역 기조를 견지하고 있어 교역 면에서도 정책 선…

    상기(sangki) 2016-10-02 17: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