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혁신학교의 운명 (1)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7월17일 20시53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5분

작성자

메타정보

  • 31

본문

혁신학교의 운명 (1)
앞으로 몇 년 간 우리 교육의 중요한 화두는 혁신학교가 될 것 같다. 혁신학교를 공약으로 내세운 분들 대거 교육감에 당선된 6.4 지방선거의 당연한 귀결다.
그런데 혁신학교는 어떤 학교인가?
어떤 사람들은, 특히 보수 중에서도 강경파라 여겨지는 분들은, 혁신학교를 심하게 나쁘게 본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보수언론은 렇게까지 말한다.
 
“혁신학교라는 름의 전교조 공작소” (조선일보 류근일 칼럼 2014-06-10)
 
분들에게 혁신학교는 전교조의 념교육 공작소에 불과하다. 그런데 분들에게 전교조는 수업을 대충 때우는 형편없는 교사들 뭉쳐있는 곳다.
 
“인성교육을 핑계로 수업은 대충 때우면서 교원평가엔 결사반대하는 교사들 주로 전교조에 뭉쳐 있다.”(동아일보 김순덕 칼럼 2014-06-09)
 
결국 분들에게 혁신학교란 것은 수업을 대충 때우는 전교조교사들 념교육에 몰두하는 학교다. 분들은 혁신학교에 대해 어떤 경험을 했기에, 누구에게서 어떤 얘기를 들었기에 런 말을 하는 것일까? 나와는 확연히 다른 경험을 했거나 아주 다른 얘기를 들었음 분명하다.
나에게 혁신학교는 당연히 그랬어야 할 학교의 정상적 모습을 찾아가는 학교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나에게 혁신학교는 “혁신”학교라기보다는 그냥 일종의 “상식”학교인 것다.
 
서울의 K중학교가 혁신학교로서 막 첫걸음을 뗄 무렵 나는 그 학교의 공개수업을 참관한 적 있다.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일회적 벤트로 만든 수업 아닌, 일상의 수업 모습을 보여준 수업었다. 그 점은 믿어도 될 것 같았다. 그날의 수업에서 학생은 수업의 능동적 주체였다. 공개수업을 진행한 교사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업방식을 완전히 몸에 익힌 베테랑 교사는 아닌 듯 했지만 수업에서 학생들 교사와 함께 수업의 대등한 주체였다는 것은 분명했다. 학생들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서로 의논하고 토론했으며 그 토론의 결과물을 발표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해설하고 설명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수업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업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설명하고 해설하는 시간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수업의 중심은 학생들의 능동적 활동었다.
런 방식의 수업 혁신학교가 아닌 일반학교에서 일상화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소수의 교사에 의해 가끔 시도되기도 하지만 결국은 런저런 제약으로 오래 가지 못한다. 하지만 K중학교에서는 그날의 공개수업에서 보았던 패러다임의 수업 그 후에도 계속해서, 글을 쓰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사들에 의해 루어지고 있다.
공개수업에 대한 평가회의 모습은 적지 않은 충격었다. 그것은 내가 교사가 된 후 한 번도 보지 못했던 아주 드문 모습었다.
공개수업을 참관한 모든 교사들 학생들 앉아 수업하던 책상을 앞에 두고 마주 앉았다. 평가회의가 교실에서 곧바로 열리는 바람에 외부 손님으로 참관한 나도 자연스럽게 함께 할 수 있었다. 교장도 일반 교사들과 똑같 학생의 책상을 앞에 두고 앉았다. 그것도 교사들 속에 섞여서 앉았다. 일반 학교에서는 런 경우 앉은 자리만 보고도 누가 교장인지 알아보게 마련었는데 여기서는 자리만 보고선 누가 교장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었다.
공개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다양한 평가가 어졌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름을 하나하나 거명하며 그 학생 수업에서 어떠한 활동을 했느냐를 주로 얘기했다. 교사들의 발언 어지다가 드디어 교장의 순서가 되었다. 교장은 교사들 했던 것과 똑같 자신 관찰했던 모둠 학생들의 수업활동에 대해 얘기했다. 교장들의 름을 하나하나 거명하는 순간, 그야말로 나는 깜짝 놀랐다. 교장 진짜 실제적인 교육활동을 한다는 데서 비롯된 놀라움었다.
독자들은 뭐 그런 것을 가지고 놀라느냐고, 너무 오버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다. 하지만 그날 K중학교에서 펼쳐진 광경은 나로선 교사가 된 후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성격의 것었다. 그리고 그것은 K중학교가 혁신학교기에 보여 준 광경라 생각하는 것 마땅한 것었다.
사실 그 교장은 K중학교에 근무하는 지인들의 평가에 의하면 혁신학교에 대한 해도나 헌신도가 썩 특출한 교장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러한 교장조차도 나로서는 놀랄만한 교육적 모습을 보여줬던 것다.
 
물론 나의 런 체험 하나가 모든 혁신학교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혁신학교 중에서도 모범적인 학교라 여겨지는 K중학교의 경험으로부터 혁신학교의 일반적 모습을 끌어내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나는 혁신학교에 대한 많은 얘기를 들으려 노력했다. 혁신학교에 대한 모든 얘기를 종합하여 갖게 된 혁신학교에 대한 전체적인 나의 느낌은 그날 내가 K중학교에서 가졌던 긍정적 느낌과 아주 큰 차가 나는 것은 아니었다.
 
나는 나의 경험과 내가 전해들은 얘기들에 근거하여 혁신학교의 옹호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혁신학교의 미래를 밝게 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나는 혁신학교의 미래를 아주 어둡게 보고 있다. 예전부터 그랬고, 혁신학교를 추진할 진보교육감 대거 등장한 지금 순간에도 그렇다.
 
31
  • 기사입력 2014년07월17일 20시53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