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건청 시인의 문학산책 <73> 김종삼, 김광림, 전봉건 3인 연대시집…[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1957)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6월29일 16시41분
  • 최종수정 2024년06월27일 11시01분

작성자

메타정보

  • 2

본문

1953년 국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직후, 국시의 우뚝 산맥을 이루는 3시인, 김광림(1929년생) 김종삼(1921년생), 전봉건(1928년생) 시인이 합동시집을 엮었다. 1953년 휴전 직후였다.
전봉건, 김광림은 전투원으로 참전, 아직도 전쟁의 상흔 그대로였고, 포연마저 자욱하던 때, 국 시사에 우뚝하게 기억될 3인 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를 펴낸 것이다. 이들은 이 시집을 "연대시집"이라부르고 있다.ㅡ"연대시집"은 어깨동무 시집이라는 뜻.

3시인 모두 북에 고향을 두고 월남 처지. 외로워서도 이런 어깨동무가 필요했을 것이다.
6.25 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직후에 이 시집이 간행되었다. 김광림 시인은 전투원으로 국전쟁중 가장 치열했던 백마고지 전투에 참전했으며, 이 업적으로 은성무공훈장을 받았다.

김광림 시인은 육군 소위였으며 바로 옆의 전우가 전사하기도 아찔 순간도 있었다고 술회하기도 했었다.  김광림 시인은 이 백마고지 전투에 세운 공훈으로 정부로부터 은성무공훈장을 받았으며 국가유공자로 인증되었다.
피아 수백 만이 죽은 전쟁의 포연이 아직도 자욱했던 때 국현대시사에 우뚝 업적을 쌓게될 3시인이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를 펴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집은 강 생명 의지의 시집이며 희망의 전언으로 읽힌다.

김종삼, 전봉건 김광림은  북 땅에서 월남했으며 대부분 가족을 버리고 단신 월남 경우가 많았다. 아무 연고도 없이 단신 월남, 남쪽 전투원으로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전장에 서야했었다.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가 뜻깊게 읽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이다.

‘문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북에서 월남해 온 시인들의 남 사회 정착 과정과, 작품에 나타나는 영향관계를 조명해 볼 필요도 있으리라.

휴전 후 70여 년이 지났고 이제 김광림 시인을 마지막으로 연대시집의 시인 모두 세상을 떠났다.
김광림 선생은 2024년 6월 11일 서울대학 병원 장례식장에서. 국시인협회장으로 엄수된 후 국립 서울현충원에 국가유공자로 안장되었다.

6caaeee136690b55fa09fa71642bd9c5_1719448
<사진은  김종삼  김광림 전봉건​ 3인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1957) >

 

<ifsPOST>​

2
  • 기사입력 2024년06월29일 16시41분
  • 최종수정 2024년06월27일 11시01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