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2,192 (205 페이지)
  • 대학과 시장(市場), 그리고 국가

    • 김병준
    • 국민대 명예교수, 前 대통령 정책실장
    • 2015년 03월 16일
    오래 전의 일이다. 지방 국립대학 교수가 되어 처음 배정받은 과목 중에 국제행정이란 것이었다. 유엔 등 국제기구의 사무국 조직이 어떻고, 직원들 연봉이 어떻고 하는 따위를 가르치게…
  • 옴니채널 시대의 스마트한 자동차 생활 즐기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다양한 유통경로를 넘나들며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옴니채널(Omnichannel)의 등장으로 새로운 유통 혁명시대가 열리며 이를 자유롭게 활…
  • 소득증대 보다 일자리 창출이 먼저다.-부제: 일자리 파괴하는 소득증대 정책

    • 김종석
    •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 2015년 03월 12일
    지금 정부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가계소득증대 정책은 쉽게 말해 소득이 있는 사람들의 소득을 올리자는 이야기다. 소득이 없는 사람들은 그 대상이 아니다.최저임금 인상…
  • 통일대박! 상생의 관점에서 동등한 교류로 풀어본다.- -부제: 제3지역의 만남-

    • 전완식
    • 한성대 ICT디자인학부교수
    • 2015년 03월 10일
    통일은 한민족이라면 누구를 막론하고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 할 것이다. 나 또한 한민족이기에 많은 관심과 고민의 시간들이 있었다. 특히 국가미래연구원의 위클리 카툰을 그리고 있는 동…
  • 급증하는 가계부채 연착륙 유도해야

    • 오정근
    • 건국대학교 특임교수,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
    • 2015년 03월 09일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다.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신용은 2013년 4분기에 1000조원을 넘어선 후 계속 증가해 지난해 말 1089조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사실상 가계인 …
  •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의 위헌성

    • 한만수
    •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변호사
    • 2015년 03월 05일
    1. 공직자의 100만 원 이상의 금품 수수행위를 일률적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떠한 법익도 침해하지 않는 ‘순수한 증여’ 행위까지 처벌하는 위헌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엄밀히 …
  • 사드(THAAD) 논쟁의 허(虛)와 실(實)

    • 김태우
    • 前 통일연구원 원장, 前 국방선진화추진위원
    • 2015년 03월 05일
    한국 “특별히 협의된 것 없다” ‘전략적 모호성’ 유지반대 주장에 이념적 편향성 따른 고의적인 왜곡 있다. 사드(THAAD)를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북한의 미사일 공격에 대비하기…
  • 무엇이 건강을 결정하나?

    • 조경희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2015년 03월 04일
    건강이란 ? 무병장수하고 활력이 넘치는 생활이 곧 건강한 생활이다. 온전하게 건강하다는 의미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으로 건전해야 한다. 건강은 단순한 무병의 상태만…
  • [특별 대담] 경직성 해소가 핵심이다

    • 김광두
    • 국가미래연구원 원장, GFIN 이사장
    • 2015년 03월 03일
    김광두 교수.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가정교사’였다. 대선 때는 박근혜 캠프의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을 만들어 후보를 도왔다. 말하자면 현 정권 창출의 특1등 공신이다.대…
  • 중국의 해외 M&A에 훨씬 더 주목해야

    • 정영록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경제발전론
    • 2015년 03월 01일
    1. 서언최근 중국의 안방(Anbang)보험이 우리나라의 동양생명을 인수해 중국자본이 우리나라 금융계M&A의 큰손으로 주목을 끌고 있다. 인수금액이 1조 13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