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1,551 (155 페이지)
  • 한국사회의 복지... 이대로 좋은가?

    • 김승권
    • 전남복지재단 대표이사
    • 2014년 07월 01일
    사회복지 증진의 국가책임을 최초로 규정한 헌법은 1919년 독일의 바이마르 헌법이다. 인간의 존엄성 확보를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생존권 규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
  • 건강한 나, 건강한 동네, 건강도시, 건강국가 - 행복국가를 향하여

    • 안명옥
    • 前 국립중앙의료원 원장·차의과학대학교 교수. MD, PhD, DrPH, MPH
    • 2014년 06월 24일
    새해가 되면서 이번 해에 가장 중요한 바램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거의 매 해마다 ‘건강’이 제일순위라고 합니다. 또한 살아가며 가장 흔하면서도 중요한 덕담이 ‘건강’…
  • 인간 안보와 스마트한 국방을 생각 한다

    • 차영구
    • 前 국방부 정책실장,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
    • 2014년 06월 23일
    세월 호 참사이후 국가 개조를 위한 노력이 범 정부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국방 분야도 예외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세계는 냉전시대 국가 중심의 군사안보에서 상호안보, 포괄안보…
  • 시장은 경기둔화를 예상한다.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 2014년 06월 17일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들은 올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한국경제가 내년에는 더 높은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시장 특히 채권시장은 앞으로 경기가 둔화될 것을 시사…
  • 소득분배 및 실효세율 추이에 대한 단상

    • 김상조
    • 한성대 교수, 경제개혁연대 소장
    • 2014년 06월 15일
    김광두 교수님으로부터 국가미래연구원의 블로거로 참여해달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솔직히 당혹스러웠다. 김광두 교수님은 내가 대학원 다니던 시절부터 뵙던 분이라 사적 인연으로만 보면…
  • 6·4지방선거, 한국정치의 선 자리와 갈 길

    • 김호기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2014년 06월 08일
    제6대 6·4 지방선거가 끝났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이후 1년 7개월 만에 치러진 전국 단위의 선거였다. 이번 선거 투표율은 제5대 지방선거 투표율(54.5%)보다 2…
  • 지속 가능한 의료제도가 되려면!!!

    • 조경희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2014년 06월 07일
    □ 위기의 한국 의료 큰 병원들은 대도시에 집중되어 초호화 시설을 자랑하지만 적자를 면할 수 없다고 볼맨 소리를 하고 있고, 환자들은 비급여 비용이 왜 이렇게 높으냐고 불만을 이야…
  • 재정으로 본 미국의 야당과 한국의 야당

    • 김원식
    • Georgia State University 객원교수, 건국대 명예교수
    • -0001년 11월 30일
    매년 10월에 새로운 예산이 집행되는 미국이 지난 9월 말 9시간 전에 셧다운 위기를 넘겼다. 상·하원에서 일단 45일의 임시예산안을 의결하면서 마무리 되었다. 공화당이 반대하는 …
  • 나라가 망하는 확실한 법칙 혼군 #19: 우문태‧우문옹의 업적을 탕진한 북주(北周)의 우문빈 <Q>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0001년 11월 30일
    혼군(昏君)의 사전적 정의는 ‘사리(事理)에 어둡고 어리석은 군주’다. 암주(暗主) 혹은 암군과 같은 말이다. 이렇게 정의하고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혼군의 숫자는 너무 많아서…
  • 정의는 뱀처럼 가난한 사람의 맨발부터 문다

    • 김동률
    • 서강대학교 교수. 매체경영. 전 KDI 연구위원
    • -0001년 11월 30일
    살면서 누구나 한두 번쯤 끔찍한 광경을 보게 된다. 그리고 그 광경은 트라우마가 되어 가끔씩 잊혀 질만하면 나타난다. 나의 경우 탈주범 지강헌의 죽기 전 모습이다. 88 올림픽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