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김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1개
게시물
728개

1/73 페이지 열람 중


칼럼리스트 게시판 내 결과


연구위원 소개 게시판 내 결과

  • 앤장 환경에너지 연구소장 /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새창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aSSIST) (박사, 경영학)|||Duke University (석사, Civil and Enviromental Engineering)|||University of Louisville (학사, Geoscience 및 Mathematics)|||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지구환경학과

    김성우(admin) 2018-05-30 15:10:11
  • 앤장법률사무소 새창

    건국대 대학원(조세법 박사)|||서울대 행정대학원,건국대 행정대학원|||연세대 이공대|||행정고시 16회

    전형수(간사)(srto7777) 2013-03-15 17:58:27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거수의 디자인 시선 <14> 세계에서 가장 크고 넓은 미술관, 강남의 빌딩 공사 가림판을 캔버스로 새창

    지난회의 캐릭터 플랫폼을 활용해 도시브랜딩을 알아본 것처럼. 이번에는 빌딩 공사판 가림판 플랫폼을 활용한 새로운 도시 브랜딩을 한 번 상상해보자.가장 비싸고 거대한 거리 미술 전시관을 강남구에 만들어 보자서울 강남구는 대한민국 경제, 금융, 소비, 문화의 중심지 이자 가장 부유한 경제 문화 소비의 동력이다. 전 세계 어떤 도시 지역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수준의 소비 인프라와 문화시설, 고급 백화점과 갤러리, 박물관이 즐비하고, 한국의 미술 투자와 예술 소비의 최전선이기도 하다. 매년 코엑스에서 열리는 Kiaf(Korea Inter…

    김거수(kgs) 2025-04-16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6> 창의적 문화 천재를 위한 다짐 새창

    얼마 전, 영화 <미키 17>가 극장에서 막을 내렸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를 통해 말한다. “오늘도 죽으러 갑니다. 인류를 위해 / HE'S DYING TO SAVE MANKIND” 그동안 보여주었던 봉준호 감독의 감성과 다른 이면이 보인다. 그래서인지 많은 평론가는 그동안의 평가보다 낮은 평점을 주고 있다. 하지만 그의 예술적 천재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으로 2020년 오스카상 6개 부문 후보로 그 명성을 올리며 4개 부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 장편영화상을 수상하였고 &…

    김용호(rladydgh) 2025-04-15 17:10:00
  • 찬동의 예술시평 <55> 그룹 ‘어셈블(Assemble)’이 보여준 도시재생의 시사점 새창

    대도시 집중화와 고령화 등으로 지방 소도시들은 점점 더 생산성 약화와 원도심의 공동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도시재생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왔다. 이는 지역 소도시 주거와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지역 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를 나누고 정책적 지침을 제공한 뒤 주민들 주도로 지자체가 추진하는 체계를 가진 것이었다. 이는 지역의 실정에 맞게 2024년까지 추진되었다. 도시재생이…

    김찬동(kimchandong) 2025-04-14 17:10:00
  • 거수의 디자인 시선 <13> 공공도시 브랜딩: “우리는 왜 도시 캐릭터를 뽀로로 같은 귀여운 상징물로만 보는가?” 플랫폼 캐릭터로 도시 브랜딩 새창

    지난회의 도시 명칭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을 살펴본 것처럼. 이번에는 캐릭터를 활용한 도시 브랜딩에 대해 알아보자. -전국 시도 지자체 캐릭터 디자인의 문제점과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도시마다 다양한 상징이 있다. 음식, 역사, 인물, 그리고 이제는 캐릭터까지.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에서 ‘도시의 캐릭터’라는 이름이 붙는 순간, 어디서 본 듯한 전형적인 귀요미 캐릭터로 축소되는 느낌이다. 큰 머리, 짧은 팔 다리, 동그란 눈, 그리고 애매한 미소. 이름표만 바꾸면 똑같은 형식. 정말, 이게 ‘우리가 만들고 싶은 도시의 얼굴인가?’ 한번 생…

    김거수(kgs) 2025-04-09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5> 이성계와 선비정신(Seonbi Spirit) 새창

    태조 이성계는 1392년 모진 역경과 고난을 거쳐 조선(朝鮮)이란 새 나라를 건국했다. 위화도 회군 이후 만약 이성계가 권력에만 욕심이 있었다면 당시 귀족세력과 타협해 정권을 찬탈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길을 걷지 않고 수많은 전쟁터를 다니면서 백성들의 고난에 찬 삶을 직접보고 체험하며 보살피는 일에 더욱 마음을 쏟았다. 이성계에게는 백성이란 단어가 항상 마음속에 존재했으며 ‘배부르고 풍요로운 나라’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항상 그를 떠나지 않았다.이후 고려는 종말을 맞이하게 된다. 공양왕은 폐위되고 이성계를 고려의 왕…

    김용호(rladydgh) 2025-04-08 17:10:00
  • 거수의 디자인 시선 <12> 우리는 왜 도시명, 슬로건 상징물의 효과적인 활용법을 알지 못하는가? (크기, 감성적 접근, 예술적 전략이 만든 공공디자인의 3박자 과제) 새창

    도시의 명칭, 슬로건 상징 조형물은 도시가 시민과 외지인 모두에게 남기고자 하는 기억의 매개체이다. 하지만 한국의 대부분 도시들이 도시명 상징물 설치에 있어 핵심적인 전략 부재와 비효율적인 표현 방식으로 인해 그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도시명 상징물은 ‘설치했다’는 행정적 결과보다, ‘어떻게 활용되고 사람들과 교감하고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도시는 언제나 생동하며 새로운 시각적 경험과 감성적 기억을 시민에게 제공할 책임이 있으며, 그 출발점에 서 있는 것이 바로 도시명 혹은 슬로건 상징물이다.그렇다면 도시의 매력있는 얼굴이 될 …

    김거수(kgs) 2025-04-02 17:10:00
  • 용호의 전통문화 반딧불이 <14> K-드라마에 활용된 전통예술 확장과 흐름의 조망 새창

    우리나라의 드라마는 전통적으로 사랑에 관한 드라마나 가족극이 강세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릴러, 판타지, SF, 블랙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가 제작되었으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오징어게임>, <더 글로리>, <D.P>, <시그널>과 같은 작품들은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으며 한국 전통역사, 문화를 근거한 <원경>, <고려거란전쟁>, <미스터 션샤인>, <킹덤> 등은 역사적 배경을 기반으로 깊이 있는 서사의 차별…

    김용호(rladydgh) 2025-04-01 16:5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