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ifsPOST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3개
게시물
3,635개

215/364 페이지 열람 중


민생지수 | INDEX 게시판 내 결과

  • 교육비 하락 · 실질세금 감소 등으로 민생지수 상승<2020.2분기> 새창

    지수 91.05로 전 분기 90.68보다 0.37p 증가2019년 가계동향조사의 표본 변경 따라 가구소득도 상승1. 2020년 2/4분기의 민생지수는 91.05(기준치=100.0)로 전분기 90.68에 비해 0.37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이후 대세 하락세를 보여 왔으나 단기적으로는 지난 2018년4분기의 88.43을 최저점으로 지난해와 올해 단기상승세를 보이고 있다.2. 민생지수는 조사대상 요소 가운데 긍…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9-19 17:10:00
  • 코로나19 위기 등 지출비용 전반적 감소로 민생지수 상승<2020.1분기> 새창

    2020.1분기 지수 90.68로 전 분기 89.74보다 0.94p 증가한국은행 국민계정 기준연도 변경도 지수변화에 큰 영향1. 한국은행은 국민계정의 연간잠정 및 연간확정 자료를 발표하여 원계열의 경우 연간잠정 및 확정년도를 포함한 최근 5개년의 통계를 수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국내 소비지출,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품 지출, 임료 및 수도광열 지출, 교육비 지출 항목이 변화하였다. 또한 가계동향조사의 조사대상 표본이 기존 비농림어가 및 2인 이상 가구에서 2019년 이후 농림어가 포함 및 1인 이상 가구 집계로 변경됨에 따라 2019…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6-20 17:10:00
  • 기저효과로 인해 2019년 4분기 민생지수 상승 새창

    지수는 88.04로 전 분기 87.41보다 0.63p 증가고용률 등 5개 모든 긍정적 요소의 상승이 주도1. 2019년 4/4분기의 민생지수는 88.04(2003.1/4분기=100.0)으로 전 분기 87.41에 비해 0.63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2/4분기 87.28로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2019년 3/4분기에 이어 소폭이지만 2분기 째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2. 이 같은 민생지수의 상승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고용률이나 실질소득 등이 증가한 데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실질세금이 줄어든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0-03-13 17:10:00
  • 교육비 상승 등으로 서민생활 악화-2019.2분기 민생지수 새창

    지수 87.28로 전 분기 87.85보다 0.57p 감소해 9분기 째 뒷걸음 추세적으로 2010년 1분기 이후 무려 9년 동안 하락하는 양상1. 2019년 2/4분기의 민생지수는 87.28(기준치=100.0)으로 전분기 87.85에 비해 0.57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2010년 1분기 103.28을 정점으로 하락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5년 1분기 이후 연속 8분기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9-09-28 17:00:00
  • 교육비·세금 등 크게 늘어 민생지수 또 하락 - 2019년1분기 민생지수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발표, 2017년 1분기 이래 연 8분기 째 뒷걸음 지수는 2019.1분기 87.85로 전 분기 88.73보다 0.89p 떨어져1. 2019년 1/4분기의 민생지수는 87.85(기준치=100.0)로 전 분기의 88.73에 비해 0.8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 들어 민생지수는 교육비 증가와 세금 부담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돼 관심을 끈다.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60을 기록한 이후 몇 번의 소폭 상승이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9-06-29 17:00:00
  • 2017년 2분기 민생지수 새창

    2017년 2분기 민생지수 소폭 하락94.42로 전 분기 94.45보다 0.03포인트 하락긍정적 요소보다 부정적 요소의 상승분이 높음<민생지수 그래프>1. 2017년 2/4분기의 민생지수는 94.42(기준치=100.0)로 전분기 94.45에 비해 0.03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써 단기적인 국민들의 체감 살림살이 정도를 가늠해 보는 민생지수는 지난 2006년 1/4분기에 최고치 103.56을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1분기 이후 연속 8분기동안 하락세를 보이다 2017년 1분기 반등하였으나…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7-09-30 19:00:00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미국 대선 향방에 따른 방위산업 영향 및 대응 과제 새창

    트럼프 당선시 한·미 방산협력 후퇴와 수출 둔화 우려, 한·미 상호방위조달협정(RDP-A)을 조속히 체결하고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 2024년 11월에 예정된 미국 대선 결과는 국내 방위산업에 지대한 영향- 바이든 재선시, 한·미 방산협력과 우크라이나 지원이 유지되면서, 국내 방산수출도 호조세 유지- 트럼프 당선시 방위비분담금 인상 등 한·미 방산협력 후퇴가 전망되며, 우크라이나 지원 축소로 수출둔화 우려 * 사우디·UAE 등 중동 국가 수출통제 완화로 해당 지역에서 미국 업체와의 경쟁 격화 전망- 미국과의 방산협력 및 수출…

    심순형(simsoonhyung) 2024-06-11 13:32:00
  • 미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새창

    韓 자동차산업, 미국 시장 의존도 제고 속에美 자동차정책 변화에 대응한 다양성 제고 필요- 韓 자동차산업,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미국 자동차 정책 변화에 민감- 양자간 무역정책, 환경정책 기조 차이가 큰 편이며 중국 견제기조는 유사- 트럼프 집권 시 추가 관세 부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며 환경정책 기조 변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 수출시장 다변화, 다양한 친환경차 기술력 확보, 새로운 공급망 구축 등의 대응 필요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자동차산업 관련 주요 제도 및 여건 변화를 전망하고 향후…

    김경유(kykim) 2024-06-11 11:03:00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한국 배터리 산업 리스크 분석 새창

    산업硏,“韓 배터리, IRA 효과로 美시장 점유율 1위 올라”“트럼프 재집권 땐 IRA 후퇴로 투자위축, 실적악화 불가피”- 韓 배터리산업, 일본 제치고 美시장 점유율 1위 기록(2023년) ... 전기차 캐즘 등 어려운 시장 여건 속 IRA 효과에서 비롯된 美시장 선방이 韓 배터리 버팀목- 트럼프 재집권후 IRA 폐지시 韓 배터리산업에 악재 ... 다만, 미국내 IRA 수혜지역 이해관계 등을 고려할 때 법 폐지보다는 행정부 권한 행사를 통한 지원규모 축소 가능성 높아- 트럼프 재집권시 한국 배터리산업 부정적 영향 불가피 : 국내외…

    황경인(kihwang) 2024-06-10 10:36:00
  • ‘2023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 및 ‘2023 한국의 산업별 생산성 모형을 이용한 분기별 잠재성장률의 추계’ 보고서 새창

    [Ⅰ] '2023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 보고서<결론>본 연구에서는 KIP DB를 이용하여 1995~2022년 기간 산업별 잠재 산출을 추계하였다. 확률적 변경생산 모형을 이용해 38개 개별 산업에서 기술적 비효율성의 시간에 따른 변동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별 잠재 노동 및 자본과 더불어 산업별로 차이를 가질 수 있는 기술적 비효율성을 반영한 잠재 산출을 추계하였다.본 연구는 또한 산업별 잠재 산출 추계를 바탕으로 전산업 수준에서 GDP 갭의 크기와 변화를 살펴보았다. GDP 갭은 1995~2022년 전…

    표학길 외(pytohakkil) 2024-06-01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