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장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3개
게시물
12,456개

14/1,246 페이지 열람 중


연구위원 소개 게시판 내 결과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국민계정 2020년 1차 개편 결과와 민생 새창

    기준년도 개편으로 명목 GDP가 증가했다.한국은행은 국민계정 2020년 1차 개편 결과를 6월에 내놓았다. 2020년 기준년 개편, 2022년 확정, 2023년 잠정 추계결과를 반영한 결과, 2001~07년 중 경제성률은 연평균 5.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세가 둔화되어 2008~19년중 3.2%, 팬데믹 이후 2020~23년 중 2.0%로 낮아졌다고 보고 있다. 또한, 2023년 경제성률은 1.4%로 종전 공표치와 동일하였으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401조원으로 집계되었다. 한국은행이…

    김상봉(brainkim75) 2024-06-17 17:10:00
  • 아르헨 상원 '밀레이 개혁 플랜' 승인, '타협과 조정의 승리' 새창

    남미 아르헨티나의 Javier Milei 대통령 정권이 제안한 담대한 국가 개혁 입법안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3일, 야당인 좌파 사회주의 페론주의(Peronism) 정당이 악하고 있는 상원에서 우여곡절 끝에 가결됐다. 작년말 대선에서 승리해 집권한 극우자유(지상)주의 경제학자 Milei 대통령은 그가 주창해 온 개혁 플랜의 입법에서 첫 승리를 거둔 것이다. Milei 대통령은 개혁에 극렬 저항하는 군중들이 의사당 밖에서 경찰 병력과 충돌하는 가운데 상원이 일부 국유기업 민영화, 재정지출 대폭 삭감을 골자로 하는 개혁 입법을 가결하…

    박상기(sangki) 2024-06-17 16:11:53
  • 소상공인의 디지털화, 왜 지지부진한가? 새창

    디지털화 정책지원 확대 … 인식개선 및 교육 강화 “절실”요즘 사람을 대신하는 스마트 기기를 설치하는 사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서빙 로봇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도입하여 경영 효율화에 나서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최근에는 아예 사람을 쓰지 않는 무인점포도 우리 주변에서 자주 만나게 된다. 인력난,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건비 부담을 느끼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디지털 전환은 이제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디지털 전환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이커머스에 그치지 않고 오프라인 매의…

    김세종(kimsj) 2024-06-16 17:10:00
  •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에 미치는 영향 새창

    <주요 내용>▶ 디지털 혁신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며, 최근 정체된 경제성을 촉진할 잠재력이 있음에도 디지털 혁신의 이익이 모든 경제 주체에 고르게 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함.▶ 디지털 혁신이 노동시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2000년대부터 지금까지의 디지털 혁신 추세와 각 국가 및 산업별 노동시에 미친 영향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함.▶ 2000년대 이후, 한국은 정보기술 및 로봇 기술의 발전과 같은 기존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강점을 보였으나 4차…

    KIEP 박지원 노윤재 조성훈 나승권(daeyeogyung) 2024-06-16 17:00:00
  • 이건청 시인의 문학산책 <72> 이건청 시집 [실라캔스를 찾아서]를 읽고/ 김 완 새창

    "김완 시인께서 시집 [실라캔스를 찾아서]에 대한 상세 독후감을 보내주었다.김완 시인께 고마움을 표한다." ---- 이건청​ ​어제는 종일 이건청 선생님의 시집『실라캔스를 찾아서』를 정독하였습니다. 시를 쓰는 후학들이 읽고 느끼고 배워야 할 견고하고 고독한 영혼의 집 한 채입니다.“시는 풍경의 세부를 애정 어린 눈으로 깊이 보는 일이 핵심이 되어야 하는 것이라 믿습니다. 시인은 우리의 일상, 우리가 사는 난세 속에서 명징한 풍경들을 발견해내는 일에 신명을 다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세세하고 명…

    이건청(gclee) 2024-06-15 16:43:00
  • 직무 분석을 통해 살펴본 중년 노동시의 현황과 개선 방안 새창

    <주요 내용 요약>연령에 따른 직무 분석 결과, 취업자들은 청년기에 자료분석, 조직관리 등 전문적 업무를 주로 수행하다가 중년기 이후 육체적 단순노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중년 취업자가 생애 주직을 떠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겪는 직무 단절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노동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년층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의 구조적 문제들을 개선하여 직무의 연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젊은 생산가능인구가 급감하며 인구구조 변화의 부정적 영…

    김지연(kimjiyoun) 2024-06-14 17:10:00
  •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47> AD669 산동농부 출신 이적의 죽음(75세) 새창

    사공이며 태자태보 영정무공 이적이 병으로 누웠다. 司空、太子太师、英贞武公李勣寝疾,고종황제가 밖에 있는 아들들을 모두 소환하여 上悉召其子弟在外者,병을 보살피도록 하였다. 使归侍疾。황제와 태자 이단이 약을 보내면 上及太子所赐药,이적은 즉시 모두 마셨으나 勣则饵之;자제들이 의사를 부르고자하면 子弟为之迎医,모두 거절하며 말하기를 皆不听进,曰:“내가 본래 산동 농부로 태어나 …

    신세돈(seshin) 2024-06-14 17:00:00
  • <IT사랑방>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가 될 것인가,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용자가 될 것인가? 새창

    현재 생성형 AI는 구글, 삼성, 정부 등 다양한 조직에서 활용되고 있다. 생성형 AI를 통해서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어떻게 질문하는가’와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어떻게 질문하는가’는 사용자가 원하는 답이 될 수도 있고 답이 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며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할 것인가’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로 기술을 활용하는 사용자가 될 것인지 기술 아래의 사용자가 될 것인지를 결정짓기 때문이다.온라인에서 사용자란 존재만으로도 가치가 있으며 데…

    김아현(ahyunk) 2024-06-14 15: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