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전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6개
게시물
12,652개

1,221/1,266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한일 무역쟁 2라운드, 정부대책 보완이 필요하다 새창

    - 일본은 지난 2일 각의를 열고, 한국을 무역우대조치 국가그룹인 ‘화이트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그동안 이를 막기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도 무위로 그치고 말았다. - 일본의 배제발표 당일 한국정부는 분주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긴급국무회의를 소집해 “다시는 일본에지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 강경 맞대응을 강조했고, 홍남기 부총리와 김상조 정책실장, 김현종 안보실 2차장 등이 나서 일본의 조치를 설명하고 대응책을 발표했다. -정부가 내놓은 대응책은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① 국민은 정부와 기업의…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8-10 17:05:00
  • 한일 경제쟁, 금융시장에 태풍 몰고오나? 새창

    -일본은 지난 2일 각의를 열고, 한국을 무역우대조치 국가그룹인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단행했고, 한국은 일본을 극복하겠다고 맞대응을 선언했다. 한일 경제쟁이 시작된 것이다.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 리스에서 제외한 당일 한국 금융시장은 상당한 혼란을 겪었다. 우리가 마지노선으로 여겼던 종합주가지수가 2,000선이 붕괴됐고, 환율은 1,200원선을 넘어 원화가치의 폭락이 이어졌다. 금주에 들어서도 주가폭락과 환율폭등(원화 가치하락)은 이어지고 있다. 매우 걱정스러운 사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는 현…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8-06 17:02:00
  • ‘도쿄발 금융쓰나미’ 가능성을 진단한다 새창

    -한·일간 갈등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지금은 수출규제로 인한 실물경제 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지만 금융 분야의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은 없는지 걱정이다.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3월말현재 일본계 금융기관이 우리 기업들에게 직접 빌려준 돈이 한국 돈으로 약 18조원, 미국 돈으로 16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또 우리 기업들이 일본은행이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 등 제3국에 있는 일본계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린 돈, 즉 역외대출이 대체로 300억 달러에 이른다. 이를 합치면 약 460억 달러가 된다. 만약 일본계 금…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7-30 17:05:00
  •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다소 성급했다” 새창

    -지난 7월 18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1.75%에서 1.50%로 0.25%포인트를 격적으로 내렸다. 과연 이런 금리인하가 소기의 성과를 거둘까?, 아니면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은 없는가?,걱정스럽다. -한국은행은 이명박 정부 말기 지난 2012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4년간에 걸쳐 연3.25%였던 금리를 1.25%로 8차례에 걸쳐 2.0%포인트를 꾸준히 내렸다. 2017년 11월과 2018년11월에 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렸다가 지난 7월 18일에 금리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그런데 7월말에 미국이 …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7-23 17:05:00
  • 급증하는 재고(在庫), 무엇을 의미하나? 새창

    -문재인 정부 들어 각종 경제지표가 역대 급으로 나빠지고 있다. 제조업 제품의 재고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어 문제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하던 2017년2분기의 재고지수(2015년=100)는 100.0이었으나 지난 5월의 재고지수는 118.5로 IMF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년간 재고가 18.5% 늘어났다는 얘기다. -재고(在庫)지표는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될 것이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재고는 팔지 못하고 남은 물건이 창고에 쌓여있는 것이라고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우선 재고는 버리지는 …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7-16 17:01:00
  • 정부 경제망, “제발 믿게 해 주오!” 새창

    -정부를 대표해 기획재정부(기재부)는 1년에 두 번 경제망을 발표한다. 매년 연말에 다음해의 경제망을 한번 내놓고, 그해 6월말께 하반기 경제대책을 발표하면서 수정망을 내놓는다. 엊그제 금년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과 경제성장률 수정망을 내놓았다. -기재부의 경제망은 국책연구기관인 KDI나 한국은행, 또는 민간연구기관들의 망보다 훨씬 큰 의미를 지닌다. 기재부는 우수인재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우리가 알지 못하는 정보를 갖고 있고, 특히 재정정책 등을 통해 경제성장률 자체를 바꾸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7-09 16:50:00
  • 5G, 자율주행시대의 뉴 모빌리티 기술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포럼은 지난 6월 20일 “모빌리티 서비스의 비과 현실”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 영상은 이날 세미나 중 ▲​김영락 SK텔레콤 ICT기술센터 뉴모빌리티팀 팀장의 주제발표입니다. 5G, 자율주행시대의 뉴 모빌리티 기술▲​김영락 SK텔레콤 ICT기술센터 뉴모빌리티팀 팀장 -자율주행차를 타고 편하고 안하게 다닐 수 있는 날이 오고 있다. 자동차에서 자유롭게 영화를 보고, 핑을 하고, 임을 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딥 런닝 기술의 발으로…

    김영락 SK텔레콤 뉴모빌리티팀 팀장(admin) 2019-07-06 16:50:00
  • 모빌리티산업의 현재와 미래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산업경쟁력포럼은 지난 6월 20일 “모빌리티 서비스의 비과 현실”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이 영상은 이날 세미나 중 ▲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정책위원의 주제발표 영상입니다. 모빌리티산업의 현재와 미래▲​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혁신략연구소 정책위원 -모빌리티산업이란 “인간과 사물 등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수단들의 연구개발,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과 상호작용 설계, 운영 및 보수 유지, 폐기 등 모든 과정을 통틀어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위원(admin) 2019-07-06 16:35:00
  • “대책 없는 대책”-2019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평가한다 새창

    -지난 3일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운용 방향’을 보면 현재의 우리 경제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보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는커녕 걱정만 늘어난다. 올해 경제성장률 망을 지난 연말 2.5~2.7%로 보았으나 이번에 0.2%포인트를 낮춰 2.4~2.5%로 하향조정했다. 이렇게 낮췄는데 왜 문제냐? 지난 상반기 우리 경제성장률이 1.8~2.0%에 그칠 것이라는 게 정설이다. 그런데 연간 성장률이 2.4%에 이르려면 하반기 성장률이 최소한 2.8%는 달성돼야 한다. 그런데 미·중 무역 쟁이나 일본의 한국에 대한 첨단소재 수…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명예교수(admin) 2019-07-05 15:31:00
  • “트럼프는 종이호랑이?” - G20 美·中정상회담을 보고 새창

    -지난 6월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미·중정상회담은 세계의 관심을 끌만큼 중요한 이벤트였다. 그러나 그 결과는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종이호랑이인가?’ 아니면 ‘진짜 호랑이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할 정도로 의외였다. -미중정상은 이 회담에서 두 가지 합의를 내놓았다. 하나는 지난 5월 초 결렬된 무역회담을 재개하기로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회담기간 중에는 추가관세부과를 유예한다는 것이었다. 이 같은 합의는 작년 12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정상회의 때의 합의와 다를 것이 없다. 당시와 다…

    김동원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admin) 2019-07-02 17: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