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중동 분쟁 확산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2월02일 12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02일 11시38분

작성자

  • 유광호
  • KIEP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전문연구원

메타정보

  • 3

본문

 <주요 내용>

▶ ‘이란 및 역내 친(親)이란 무장단체’와 ‘이스라엘-미국-역내 반(反)이란 무장단체’ 간에 동시다발적으로 무력 충돌이 발생하는 등 중동지역 내 정세 불안이 심화되고 있음.

- 중동지역 분쟁 확산으로 해운 운임 상승 및 운송 지연, 국제유가 상방 압력 확대, 분쟁 당사국 및 주변국 경기 위축 등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음.

-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서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단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영구 휴전 협상의 핵심인 ‘인질 및 포로 석방 문제’를 두고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음.

▶ 역내 긴장 장기화 시 원자재 중심의 인플레 상방 압력 확대와 더불어 유럽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 차질, 이집트 및 동유럽 내 우리 제조 시설에 대한 부품 공급 비용 상승이 예상되며, 전면전 확장 시에는 중동지역과의 전반적인 경제협력이 위축될 수 있음.

- [Case ①: 역내 긴장 완화] 이스라엘-하마스 간 영구 휴전 합의로 역내 정세가 비교적 안정화되면 인플레 상방 압력이 완화되고, 전쟁으로 위축되었던 우리나라의 대이스라엘 무역 규모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 [Case ②: 역내 긴장 장기화] 이란과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는 홍해 선박에 대한 공격 지속, 호르무즈 해협 내 선박에 대한 위협 확대, 역내 미군기지 공격 등을 통해 지역 내 정세를 더욱 불안하게 조성할 가능성이 크며,이에 따라 유럽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 차질 지속, 가전, 석유화학, 배터리 등 우리 제조기업의 이집트 및 동유럽 내 생산 공장에 대한 부품 공급 비용 상승, 원자재 중심의 인플레 상방 압력 심화 등이 예상됨.

- [Case ③: 전면전 확장] ‘이란 및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와 ‘이스라엘, 미국’ 간 전면전 발발 시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수출의 3.0%, 건설의 32.3%를 차지하는 중동지역과의 양자 간 경제협력이 위축될 수 있음.

▶ 중동지역 분쟁에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사태의 불확실성이 크며, 경우에 따라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해질 수도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 물류 차질 심화에 대비하여 자동차 등 특수선종을 필요로 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선복을 최대한 확보하는 동시에 수출사의 물류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을 고려할 수 있음.

- 에너지 수급 차질과 원자재 중심 인플레 상승에 대비하여 비축유를 확보하고 적시에 이를 방출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임.

- 중동 국가와의 협력에 있어 우리 기업 현지 경영활동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되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될 때까지는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걸프국가를 중심으로 협력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임.

- 원유 수입원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면 현지 정세 변화에 따라 우리 에너지 안보가 크게 불안해질 수 있으므로 대중동 원유 도입 의존도가 더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원유 도입처 발굴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음.​

 

1. 중동 분쟁 현황


■ ‘이란 및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와 ‘이스라엘-미국-역내 반이란 무장단체’ 간에 동시다발적으로 무력 충돌이 발생하면서 중동지역 내 정세 불안이 심화되고 있음.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2023년 10월 7일 발발한 이후 100일 넘게 이어지고 있으며, 주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폭격이 지속되며 지역 내 2만 5,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음.

- 이에 맞서 헤즈볼라(Hezbollah) 등 역내 친이란 무장 세력이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과 미국도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내 친이란 무장 세력을 겨냥한 국지적인 공격을 지속하고 있음.

- 예멘 후티(Houthi) 반군은 “홍해 내 이스라엘과 관련된 모든 선박을 공격하겠다”고 선언하고 2023년 말부터 통항 선박을 연달아 공격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미국과 영국이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예멘 후티 근거지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을 감행하였음.

- 한편 2024년 1월 3일 이란 케르만(Kerman)에서 개최된 혁명수비대 사령관 거셈 솔레이마니(Qasem Soleimani) 장군 추모식에서 역내 수니파 무장단체의 폭탄 테러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이라크, 시리아, 파키스탄에서 반이란 무장 세력에 대한 이란의 보복 공격이 이어지고 있음.

- 1월 12일에는 이란이 자국 석유를 훔쳐 미국에 밀수했다는 이유로 오만만 해역에서 미국 유조선을 나포하였음.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 중동지역 분쟁 확산으로 해운 운임 상승 및 운송 지연, 국제유가 상방 압력 확대, 분쟁 당사국 및 주변국 경기 위축 등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음.

 

- 글로벌 선사(船社)들은 후티 반군의 홍해 내 선박 공격에 대응하여 기존 홍해를 통한 경로 대신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는 경로를 선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운송 지연 및 주요 기업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고 있음.

ㅇ 2024년 1월 12일에서 15일까지 수에즈 운하 통항 선박 수는 전월동기대비 약 58.1% 감소한 114척을 기록함(그림 2 참고).1)

ㅇ 최근 테슬라(Tesla), 볼보(Volvo) 등 주요 자동차 제조 기업이 홍해발 물류 차질을 이유로 유럽 내 공장에 대한 일시적인 생산 중단을 발표함(표 1 참고).2)

- 우회 경로 선택에 따른 수송항로 연장과 보험료 인상 등의 요인이 맞물려 해운 운임도 급격히 상승하는 양상을 보임(그림 3 참고).3)

- 2023년 하반기 국제유가(WTI유 기준)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에 따른 중동 내 정세 불안에도 불구하고 배럴당 70달러 초반까지 하락하였으나, 최근 중동 내 분쟁이 확산되면서 2024년 1월 들어 70달러 후반까지 상승하는 추세를 보임(그림 4 참고).4)

- 유엔개발계획(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에 따른 2023년 이집트, 요르단, 레바논의 손실 비용이 3국 총 GDP의 2.3%인 103억 달러 수준일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2024년에도 지역 내 관광산업 위축, 수에즈 운하 통항료 수입 감소 등으로 추가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5)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그림2><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 역내 긴장 완화를 위해서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단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영구 휴전협상의 핵심인 ‘인질 및 포로 석방 문제’를 두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음.


- 이란과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을 도발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어 현 중동지역 분쟁이 일단락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단이 전제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이 영구 휴전을 위한 협상을 지속하고 있으나, 인질 및 포로 교환 문제에서 계속해서 이견을 보이고 있음.

ㅇ 이스라엘은 영구 휴전에 대한 조건으로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 석방과 2인자 야히아 신와르(Yahya Sinwar)를 포함한 하마스 고위지도자 6인의 추방을 제안하였으나, 하마스 측이 이를 수용하지 않고 있음.

- 전쟁 중단을 위해 미국, 유럽, 주변 수니파 국가 등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 단기 휴전을 통해 단계적으로 종전 합의에 접근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음.

 

2. 향후 시나리오별 위험 요인

 

가. 역내 긴장 완화 경우

 

■ 이스라엘-하마스 간 영구 휴전 협상이 타결될 경우 역내 긴장이 다소 완화되고 팔레스타인에 대한 국제사회의 재건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이란 및 친이란 무장단체의 적극적인 분쟁 개입이 줄어들고 국제유가 상승 압력 및 홍해 내 물류 차질도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 지역 내 국가를 중심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국제사회의 재건 움직임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교관계 정상화 움직임도 재개될 수 있음.

- 한편 팔레스타인, 특히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통제가 심해지고, 홍해 바브엘만데브 해협(Babel-Mandeb Strait)에 대한 국제사회의 안보 강화 노력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됨.

- 단 사태가 일단락된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해결되지 않는 한 이스라엘, 가자지구, 이스라엘과 레바논 경계에서는 산발적인 무력 충돌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

 

나. 역내 긴장 장기화 경우

 

■ 역내 긴장이 장기화될 경우 이란과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는 홍해 선박에 대한 공격 지속, 호르무즈 해협 선박 나포, 역내 미군기지 공격 등을 통해 역내 정세를 더욱 불안하게 조성할 가능성이 높음.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지속될 경우 역내 이해관계자 간의 군사적 대치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며, 이란 및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는 홍해 선박에 대한 공격 지속, 호르무즈 해협 선박 나포, 역내 미군기지 공격 등을 활용하여 이스라엘과 미국에 대한 도발을 이어갈 수 있음.

- 후티 반군의 홍해 공격이 지속되면 운송 지연과 이에 따른 선복 및 컨테이너 부족 등 현 물류 차질이 계속되고 파나마 운하 수량 감소와 더불어 해운 운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6)

ㅇ 파나마 운하의 수량 감소로 2023년 4/4분기 파나마 운하 통항 선박 수는 지난 14년 내 최저치인 2,534척을 기록함(그림 5 참고).7)

ㅇ 러-우 전쟁 발발 이후 수에즈 운하 내 원유 및 석유제품 수송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후티 반군이 홍해 내 유조선에 대한 공격을 지속 감행할 경우 글로벌 에너지 수급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그림 6 참고).8)

- 선박 나포 등의 행위로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 내 선박에 대한 위협을 확대하면 국제유가 상방 압력이 확대되고 글로벌 에너지 수급이 크게 불안해질 수 있음.

ㅇ 이란은 나포, 총격 등 호르무즈 해협 통항 선박 위협을 자국의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하는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 옴(표 3 참고).

ㅇ 2023년 상반기 호르무즈 해협은 일평균 약 2천 만 배럴의 원유를 처리하였으며, 이는 전 세계 원유 수송량의 26.9%, 전 세계 원유 소비량의 20.4%에 해당함(표 2 참고).9)

- 이스라엘에 대한 친이란 무장세력의 국지적인 도발이 확대되면 미-이란 간 대리전 형태로 확전될 가능성도 있음.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다. 전면전 확장의 경우

 

■ 이란 및 역내 친이란 무장단체와 이스라엘, 미국 간에 전면전 발발 시 국제유가 상방 압력이 크게 확대되고 지역 전반에 걸친 정정 불안으로 네옴시티(Neom City)와 같은 역내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와 이를 위한 외국인 투자 유치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음.

 

- 미국이 2024년 대선을 앞두고 있고 이란도 오랜 제재로 자국 경제가 침체되었을 뿐 아니라 국민 불안 산적 등 내부 불안 요인도 있어 양국 모두 현 국면을 전면전으로 확장시킬 유인은 낮은 것으로 보임.

- 단 다수의 이해관계자 간 교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우발적인 확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음.

- 전면전 확장 시 이란은 이스라엘과 미국을 압박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방안을 활용할 것으로 보이며,특히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과 에너지 수급 차질 등이 예상됨.

ㅇ 블룸버그(Bloomberg)와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는 중동 내 전면전 발발 시 국제유가가 배럴당 각각 150달러, 13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함.10)

ㅇ 이란이 이스라엘 및 미국에 대응하여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경우 중국, 일본, 한국 등 중동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그림 8 참고).11)

- 현재 우리나라 기업이 참여하거나 참여 의사를 보이고 있는 네옴시티를 포함한 GCC 내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도 난항이 예상되며, 중동 전반의 외국인 투자도 크게 감소할 수 있음.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3.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

 

■ 향후 중동 정세의 변화 방향에 따라 역내 분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의 종류와 강도도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Case ①: 역내 긴장 완화] 이스라엘-하마스 간 영구 휴전 협상이 타결되어 역내 정세가 비교적 안정화되면 인플레 상방 압력이 완화되고, 전쟁으로 위축되었던 우리나라의 대이스라엘 무역 규모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됨.

ㅇ 2023년 4/4분기 한국의 대이스라엘 수출과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54.7%, 21.2% 감소하였으며, 특히 대이스라엘 주요 수입 품목인 반도체제조용 장비는 73.7% 감소함.12)

- [Case ②: 역내 긴장 장기화] 유럽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 차질, 가전, 석유화학, 배터리 등 우리 제조기업의 이집트 및 동유럽 내 생산 공장에 대한 부품 공급 비용 상승, 원자재 중심의 인플레 상방압력 심화 등이 예상됨.

ㅇ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 공격이 지속되면 유럽 및 북아프리카 국가와의 교역에 차질이 발생하고, 이집트 및 동유럽 내 우리 제조 공장에 대한 원자재 공급 비용이 상승할 수 있음.

ㅇ 역내 정정 불안 심화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과 공급망 혼란에 따른 물류비용 증가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압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음.

ㅇ 이스라엘과 그 주변국의 정세 불안 지속으로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 경영활동에 차질이 예상되며, 특히 이라크 내 개발 사업 확대로 최근 우리 기업의 이라크 재진출 의지가 높아졌으나 정세 불안이 지속될 경우 현지 진출 의지가 다시 위축될 수 있음.

- [Case ③: 전면전 확장] ‘역내 분쟁 장기화’ 시나리오의 영향에 더해져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수출의 3.0%, 건설의 32.3%를 차지하는 중동지역과의 양자 간 경제협력규모가 전반적으로 위축될 수 있음.13)

ㅇ 2023년 12월 타결된 한-GCC FTA의 효과가 절감될 수 있으며, 네옴시티를 포함한 우리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현지 대규모 개발 사업 추진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생길 수 있음.

 

■ 현재까지의 정세 상황을 고려하면 앞서 살펴본 시나리오 중 ‘역내 긴장 장기화’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됨.

 

- 미국 대선 실시와 이란의 경기침체 등 미국 및 이란의 국내 상황을 감안할 때 ‘전면전 확장’의 가능성은 앞서 살펴본 시나리오 중 가장 낮을 것으로 판단됨.

- 이번 전쟁을 통해 하마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스라엘의 의지가 강하고 가자지구 해법에 있어서도 이스라엘과 미국 간 인식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스라엘-하마스 영구 휴전 합의보다는 역내 긴장 장기화 가능성이 조금 더 큰 것으로 사료됨.

ㅇ 정세가 안정화되면 베냐민 네타냐후(Benjamin Netanyahu) 이스라엘 총리의 뇌물수수 및 배임 혐의에대한 재판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과 차기 미국 대선에서 임기 중 친이스라엘 행보를 보인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지는 점도 이스라엘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해석할 수 있음.

ㅇ 이스라엘 내 반전 시위, 극우파의 가자지구 내 정착촌 건설 논의 등 이스라엘의 국내 여론이 분열되어 있다는 점도 현 국면 극복을 어렵게 만들 수 있음.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 중동지역 분쟁에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사태의 불확실성이 크며, 경우에 따라 우리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해질 수도 있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음.


- 물류 차질 심화에 대비하여 자동차 등 특수선종을 필요로 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선복을 최대한 확보하는 동시에 수출사의 물류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을 고려할 수 있음.14)

- 에너지 수급 차질과 원자재 중심 인플레 상승에 대비하여 비축유를 확보하고 적시에 이를 방출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임.

- 중동 국가와의 협력에 있어 우리 기업 현지 경영활동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되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될 때까지는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걸프국가를 중심으로 협력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임.

- 원유 수입원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면 현지 정세 변화에 따라 우리 에너지 안보가 크게 불안해질 수 있으므로 대중동 원유 도입 의존도가 더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원유 도입처 발굴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음.

ㅇ 우리나라의 대중동 원유 수입 비중은 2016년 85.9%에서 2021년 59.8%로 5년간 약 26.1%p 감소하였으나, 러-우 전쟁 발발에 따른 글로벌 원유 지형 블록화 기조의 영향으로 2022년 한 해 동안 전년대비 7.6%p 증가하며 67.4%를 기록하였음(그림 9 참고).15)

ㅇ 2023년에도 3/4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 72.8%로 추가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분기별로 살펴볼 때도 1/4분기 70.2%, 2/4분기 72.1%, 3/4분기 76.3%로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KIEP>


d83161bc70cc09503770e07da9d32f33_1706840 

------------------------------------------------------------------------------------------

1) Barton(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 1. 24.).

2) The Economic Times(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 1. 27.).

3) 홍해는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약 12%를 처리하는 핵심 교역로임. 아프리카 대륙 우회 경로를 활용할 경우 상하이-함부르크 편도 기준 운항 거리 약 3,800NM, 운항 일수 약 10일 증가[한국해양진흥공사(2024b), p. 4.); 한국해양진흥공사(검색일: 2024. 1. 22.), 한국관세물류협회(검색일: 2024. 1. 22.)].

4)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일: 2024. 1. 28.).

5) UNDP, “Neighbouring countries in the Arab States region face socioeconomic downturn from war in Gaza, new rapid assessment shows”(검색일: 2024. 1. 29).

6) 한국해양진흥공사(2024a), p. 10.

7) Bloomberg Terminal(검색일: 2024. 1. 24.).

8) Lee and Wittels(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4. 1. 24.).

9) EIA, The Strait of Hormuz is the world's most important oil transit chokepoint(검색일: 2024. 1. 12.).

10) EIU, Israel-Hamas war: Middle East tinderbox(검색일: 2024. 1. 25.).

11) EIA, The Strait of Hormuz is the world's most important oil transit chokepoint(검색일: 2024. 1. 12.).

12) 한국무역협회, K-stat(검색일: 2024. 1. 27.); 반도체제조용장비(MTI 4단위 기준 7321).

13) 한국무역협회, K-stat(검색일: 2024. 1. 27.);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 수주통계(검색일: 2024. 1. 26.).

14) 중소벤처기업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출입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에 대해 바우처 형태의 물류비 지원 사업을 시행한 바 있음.

15)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검색일: 2024. 1. 12.).

16) 한국석유공사 기준에 따라 중립지대를 따로 분리하여 표기함; 중립지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국경 사이에 위치하며, 1922년 국경선 획정 과정에서 미획정 지역으로 남겨짐. 해당 지역 유전은 양국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생산 물량은 양분하고 있음.

 

< 참고문헌 >

[국문 자료]

오정석. 2023. 「중동 원유 수송망 현황 및 리스크」. 국제금융센터.

한국해양진흥공사. 2024a. 「양대 운하 통항차질에 따른 해운시장 영향 점검」.

한국해양진흥공사. 2024b. 「홍해 운항 제한에 따른 컨테이너선 시장 영향」.

[DB 자료]

Bloomberg Terminal(검색일: 2024. 1. 24.).

[인터넷 자료]

한국관세물류협회, 물류통계. https://www.kcla.kr/web/inc/html/4-1_3.asp(검색일: 2024. 1. 22.).

한국무역협회, K-stat. https://stat.kita.net(검색일: 2024. 1. 27.).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https://www.petronet.co.kr/v3/index.jsp(검색일: 2024. 1. 12., 2024. 1. 28.).

한국해양진흥공사,컨테이너선운임지수. 

https://www.kobc.or.kr/ebz/shippinginfo/timeseries/gridList.do?mId=0304000000(검색일: 2024. 1. 22.).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 수주통계. 

https://www.ocis.go.kr/stat/overview#tab1(검색일: 2024. 1. 27).

Barton. 2024. “US Says Air Strike Hits Houthi Anti-Ship Missile Before Launch.” Bloomberg. (January21).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4-01-20/us-says-air-strike-hits-houthi-anti-ship-missile-before-launch?sref=QbgqEltZ(검색일: 2024. 1. 24.).

EIA. 2023. “The Strait of Hormuz is the world's most important oil transit chokepoint.” (November21).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61002(검색일: 2024. 1. 12.).

Ghaddar. “Strait of Hormuz: the world's most important oil artery.” Reuters. (October 20).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strait-hormuz-worlds-most-important-oil-artery-2023-10-20(검색일:2024. 1. 24.).

“How companies are responding to attacks on ships in the Red Sea.” 2024. The Economic Times.(January 15). 

https://economictimes.indiatimes.com/news/international/business/how-companies-are-responding-to-attacks-on-ships-in-the-red-sea/articleshow/106871016.cms?from=mdr(검색일: 2024. 1. 27.).

Lee, Julian and Jack Wittles. 2023. “Russia’s War in Ukraine Revives the Red Sea as a Vital OilRoute.” Bloomberg. (December 19).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3-12-19/russia-s-war-in-ukraine-has-revived-the-red-sea-as-a-vital-oil-route?sref=QbgqEltZ(검색일: 2024. 1. 24.).

Wintour. 2024. “Red Sea crisis: US launches fourth round of strikes on Houthis in Yemen.” TheGuardian. (January 18).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4/jan/18/red-sea-crisis-us-military-missile-strikes-houthis-yemen-gulf-of-aden(검색일: 2024. 1. 27.).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KIEP 세계경제포커스”(2024년 2월 2일 Vol. 7 No. 3)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3
  • 기사입력 2024년02월02일 12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02일 11시3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