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홍콩, 주민 · 자금 탈출 조짐에 ‘국제금융 허브’ 지위도 흔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09월06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9월05일 16시39분

작성자

메타정보

  • 8

본문

시위 격화 및 美 中 무역전쟁 장기화로 홍콩 경제에 불안 가중 


홍콩의 여름을 달군 소요 사태가 3 개월이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콩 경제가 침체에 빠질지도 모른다는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더해 국내외 투자자들의 우려가 고조되면서 급기야 지난 세기 동안 구축해온 ‘국제금융 허브(hub)’ 로써의 위상에도 심대한 타격을 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전망도 나온다.

 

당초 형사 범죄 혐의자들의 중국 본토 송환을 허용하는 소위 ‘송환법(送還法)’ 제정 움직임에서 발단된 시민들의 시위가, 램(Carrie Lam) 행정장관이 이 법률 제정을 보류한다고 공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 완전 철회, 反정부 · 反중국 및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 자치권 확대를 요구하는 시위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시위에 참가하고 있는 시민들도 거의 모든 연령층을 망라하고 있고, 다양한 계층, 가족들을 포함하고 있다. 시위 양상도 공항 점거, 폭력 행위 등 과격으로 치닫고 있다. 이렇게 시민들의 시위가 수그러들 줄 모르고 수 개월 넘게 이어지자 급기야 홍콩 정국은 물론이고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도 본격적으로 부상(浮上)하고 있다.

 

최근 실시된 한 비공식 조사 결과로는 시위 참가자들의 60%가 30세 이하의 젊은이들이고 시위자들의 거의 1/5 이상이 4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의 보도에 따르면, 시위가 벌어지는 거리에서는 상점 주인들, 지나가는 운전자 등이 시위자들에게 물을 건네거나 심지어 금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사태는 ‘광범위하고 심각(broad and deep)’, 자금 해외 탈출 조짐


홍콩은 영국의 통치 하에 있던 지난 세기 동안에 세계 유수의 개방 경제 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적인 번영을 구가(謳歌)해 왔다. 무엇보다도, 세계 굴지의 ‘국제금융 허브’로 성장해 왔다. 결과적으로, 현재 홍콩의 금융 자산 규모는 GDP의 약 8.5배에 달하고 있고, 홍콩 證市에서는 중국 투자자들을 포함하여 역외(offshore) 거래자들의 비중이 무려 40%에 달할 정도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홍콩의 일반 시민들은 이제 시위 사태의 장기화가,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홍콩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생각하는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악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가 非필수(non-essential) 제품에 대한 개인 소비 동향이다. 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홍콩의 7~8월 소매 판매(retail sales) 규모가 전년동기 대비 약 10% 감소했다는 비공식 추산도 나오고 있다.

 

일시적인 것이기는 하나, 한 항공 산업 전문가는 최근 있었던 시위대의 홍콩 공항 점거 농성으로 인한 이틀 간의 공항 폐쇄로 인한 운항 차질로 입은 경제적 손실은 US$7,600만 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하기도 했다. 공항 수입은 홍콩 GDP의 약 5%를 차지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로 인해 관광객 및 비지니스 출장자들이 격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더 이상 공항 폐쇄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이미 美 中 무역전쟁으로 타격을 입고 있는 홍콩 경제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아직은 일련의 소요 정국으로 인한 경제적 영향이 그리 크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만일, 사태가 더욱 장기화되고 더욱 악화되어, 은행 예금 거래자들 및 증시 주식 보유자들이 급격히 홍콩 시장을 빠져나가는 경우에는 홍콩 경제에 결정적 타격을 줄 수도 있고, 이에 따라 홍콩의 ‘국제금융센터(financial hub)’ 위상도 심각하게 흔들릴 수가 있다는 전망마저 흘러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강경 대응으로 예상되는 장기적 손실은 예측 불허


홍콩은 1997년 7월 영국이 중국에 반환한 이후 비록 ‘一國 兩制’ 라는 특수 형태의 부분적 자치권을 보장하는 정치 체제를 표방해 오고 있으나 정치 사회 전반에 대한 관할권이 점차 중국의 손으로 넘어가면서 사정은 일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도 홍콩은 반환 이후로도, 중국 경제의 성장을 배경으로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예상하며 다양한 방면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의 표적이 되어 왔다.

 

그런 배경에서, 홍콩 시민들은, 그 간 중국이 영국과 반환 협약에 명시한 2047년까지 자치권 보장 약속에 반해 정치 개입 및 간섭을 하는 것에 불만을 쌓아 오던 차에, 이번에 범죄 혐의자 본국(중국) 송환을 허용하는 ‘送還法(extradition law)’ 제정 움직임을 계기로 안으로 축적되어 오던 불만을 한꺼번에 분출한 것이다.

 

이런 전후 사정을 감안하면, 이번 홍콩 시민들의 ‘反정부 · 反중국’ 시위 사태는 뿌리가 워낙 깊고 근본적이라 언제, 어떻게 결말이 날지는 아무도 섣불리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지금 벌어지는 사태가 조기에 원만한 수습을 이루지 못하고 장기화되면 홍콩 경제가 입을 장기적 손실은 추측하기 어려울 정도다.

 

최근 발표된 통계 수치를 보면, 얼마전까지도 글로벌 기업들이 국제금융 허브라는 명성을 가진 홍콩 지역에 사업 거점을 구축하려는 경향이었던 것을 보여준다. 홍콩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 동안 1,530개 다국적 기업들이 홍콩 지역에 지역 본부를 설치했고, 이 가운데 290개 기업이 미국 기업들이다. 종전에 글로벌 기업들이 홍콩을 활동 무대로 선정한 이유는, 특히 중국 본토에 비해, 법치 관행이 철저하게 존중되는 ‘자유지역(haven)’이라는 관념이 뿌리깊게 인식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이제 중국 정부가 시위 사태를 강압적으로 진압하고 홍콩에 대해 보다 강력한 통제를 확립하려고 시도한다면, 이들 기업들은 홍콩이 더 이상 종전과 같은 매력 있는 지역이라는 인식을 버리게 만들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들은 대거 홍콩을 떠날 가능성도 큰 것이다. 실은, 이런 조짐은 지금도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홍콩에는 高수입 일자리가 격감할 것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다른 장기적인 관심 사항은, 홍콩 시위 사태가 중국과 다른 국가들과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미 美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향해 무역전쟁의 타결을 원한다면 홍콩 시위대들과 인도적인 타협을 모색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다른 세계 지도자들도 만일 중국이 홍콩 문제 해결에 강압 수단을 동원한다면 향후 중국 및 홍콩에 대한 자세를 바꿀 것을 표명하고 나서고 있다.

 

홍콩 달러貨 가치는 변동 허용 범위 내 하한 수준까지 떨어져


한편, 美 中 무역전쟁이 격화되고 있고, 홍콩 소요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이에 촉발되어 홍콩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해외 시장으로 도피하는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징후도 있다. 이와 함께, 홍콩 ‘커런시 보드(Currency Board)’ 통화제도 및 중국의 ‘一國 兩制’ 정치 제도에 대한 신뢰가 동시에 떨어지고 있다.

 

홍콩은 1983년부터 자국통화 홍콩 달러화 가치가 美 달러화에 대해 좁은 변동폭 내에서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일종의 ‘고정환율제도’를 채택해 오고 있으나, 최근 이 제도의 지속 가능성에 적지 않은 불안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홍콩 통화당국은 이 ‘달러 페그(dollar peg)制’를 유지하기 위해 독자적 통화정책을 포기하는 대신 정책 금리를 미국의 정책 금리에 연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홍콩 경제 상황이 미국 상황에 연동해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별반 큰 문제가 없으나, 홍콩 경제가 점차 중국 경제의 영향을 받게 되면 문제가 심각하게 될 것임은 불가피하다.

 

즉, 美 경제가 견조함을 유지하고 금리가 상승하는 한편, 중국 경제가 부진을 이어가는 경우, 홍콩 당국은 미국에 연동시켜 정책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럴 경우, 홍콩 당국은 국내 경제를 희생시키며 대외 충격을 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율은 2005년부터 허용해 오고 있는 1 US$ 당 7.75~7.85 HK$ 변동폭 범위 내에서 계속 상승(HK$ 가치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2017년~2018년 중, 美 정책금리가 인상되는 동안에 중국 경제가 성장 둔화를 이어가자 HK$ 가치는 변동 범위 상한 7.75에서 하한인 7.85까지 하락, 지금도 이 수준에 머물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홍콩의 금융센터 위상은 홍콩 통화 당국이 오랜 동안 유지해 온 자국 통화의 가치를 美 달러화에 확실하게 안정시키는 고정환율 제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지금 시위 확산, 美 中 무역 긴장 지속 및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 둔화 추세 등으로 HK$에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고 관측한다.

 

◇ 홍콩통화당국(HKMA)이 자국통화 ‘HK$ 가치 절하’ 관측마저 대두


홍콩통화당국(HKMA)은 홍콩 시장에서 활동하는 금융기업 및 무역업자들이 보다 예측 가능한 거래를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국통화 HK$ 가치를 美 달러화에 엄격하게 연동(peg)시켜 왔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HKMA는 자국통화 가치가 너무 강해지면 시장에서 美 달러화를 매입하고, 반대로 너무 약해지면 美 달러화를 매도한다. 이런 방식으로, 2005년 이후 HK$ 가치는 7.75~7.85의 좁은 범위 내에 머물러 왔다. HKMA는 2018년 4월 이후 HK$ 가치 유지를 위해 수 십 차례 시장에 개입하여 총계 160억 美 달러 상당 외화를 매도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현 시점에서는, 미국이 당분간 금융 ‘완화’ 노선을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에서 美 은행 간 금리(1년 물 기준) 수준은 홍콩 수준을 하회하고 있다. 이렇게 금리 차이를 유지하는 것은, HKMA가 자국통화 HK$ 가치가 US$ 대비 약세로 전환되는 것을 막기 위해 ‘US$ 매도/HK$ 매입’ 개입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시장 거래자들 시각에서는, 미국과 홍콩 시장 간 금리 차이는 거래에서 감안되는 환율 리스크를 반영한다는 측면이 있다. 만일, 현행 달러 페그(peg) 제도가 유지될 수 없게 되어, 예를 들어, 중국 위안화 페그 혹은 주요 통화 바스켓 페그 제도로 이행하거나, 아니면, 현행 美 달러 페그 제도는 유지하되 변동 허용 범위를 대폭 확대하는 등 HK$ 가치를 절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되면, HK$의 對 US$ 가치 하락 예상 분만큼 미국과 홍콩 간 금리 차이는 확대될 것이다. 이는 홍콩 시장의 자금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WSJ)

 

 싱가포르 · 대만 등으로 ‘逃避’ 조짐, ‘국제금융 허브’ 지위도 흔들


현재 홍콩 시위 사태는 근년 들어 각국에서 일어나는 각종 시위와 규모나 배경에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인다. 프랑스에서 일어나는 노동자들 데모나 미국 뉴욕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시위들보다 훨씬 규모도 크다. 한 때는 총인구 700만 정도의 홍콩에서 20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참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홍콩 소요 사태가 궁극적으로 어떤 결말로 이어질지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어찌됐건, 홍콩은 지금, 종전에 경제 번영을 구가하게 만들었던 핵심 요인인, 자국 시장으로 글로벌 자금이 집중되면서 구축해 온 ‘국제금융 허브’ 라는 훌륭한 자질이 손상을 입을 위기에 처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향후 정국 변동에 따라 정책의 불확실성을 감안, 글로벌 자금이 해외로 탈출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홍콩 정부 당국에 의하면, 지난 8월 첫 2 주일 동안에 적법한 시민임을 증명하는 카드 발급 신청 건 수가 평소의 약 1.5배 늘었다고 알려진다. 이 카드는 해외 출국 혹은 해외 이주를 신청하는 데 필수적인 증빙 서류이다. 많은 홍콩 주민들이 여차하면 해외 이주 및 출국에 대비하여 신청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대만으로 이주하는 홍콩 주민들이 부쩍 늘고 있다는 뉴스도 간간히 전해진다.

 

한편, 자금 거래 측면에서도 홍콩 주민들이 자신들의 자금을 해외로 도피시키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는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아직 공식 통계로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시위 발생 이후 일부 국제 송금 전문 회사들 창구에는 홍콩에서 외국으로 향하는 자금 거래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구체적으로, 지난 8월 중 해외에서 홍콩으로 송금되어 들어온 자금 규모에 비해 홍콩에서 해외로 송금되어 나간 자금이 무려 2.6배에 달한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 이들 해외로 빠져나가는 자금의 행선지는 주로 영국, 미국, 싱가포르, 호주 유로圈 등 각국 은행들 구좌로 흘러 나가는 거래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다. (NRI)

 

오랜 세월을 두고 ‘국제금융 허브’ 라는 높은 명성과 확고한 지위를 구축해 온 홍콩이 자국 금융시장의 안정을 뒷받침해 온 ‘커런시 보드(currency board)’ 제도를 간단히 포기할 수는 없을 것이나, 동 제도의 지속성에 대한 불신감이 증폭되면 증폭될수록, 홍콩 정국 및 치안 악화와 함께 자금의 급격한 해외 유출을 불러올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그럴 경우, 홍콩 금융시장의 혼란은 걷잡을 수 없을 것이고 이런 관점에서, 이제 홍콩이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을 촉발할 ‘火藥庫’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우려마저 흘러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홍콩 반환 합의를 무시한 중국이 간섭을 일삼아 위기를 자초한 것

 

그럼에도 중국 정권은 지난 6월 홍콩에서 대규모 시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국제 사회가 인도적 방법으로 해결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에도 이를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시민들의 분노의 근원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접근하기보다 데모隊를 악마 집단으로 규정하고 무력을 동원한 강압 수단으로 위협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강경 일변도 자세와 노골적인 위협으로 홍콩 시위대의 저항은 더욱 격렬해지고 상황은 지극히 유동적으로 변모해 왔다. 위기 상황은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이제 점차 마지막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당초, 이번 시위 사태는 홍콩의 자치권을 침해하려는 사전 단계로 보이는 ‘送還法’ 제정 움직임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홍콩 경찰의 과격 진압 행위에 대한 공분(公憤) 및 홍콩 정부의 無대응 자세로 더욱 가열된 것이다.

한편, 이러한 분쟁의 근저에는, 홍콩이 오랜 동안 구축해 온 우월한 경제적 위상 및 중국과의 관계를 염두에 두고 조성되어 온 두 사회의 일반적 인식의 충돌이라는 보다 깊은 원인이 자리잡고 있다는 경해도 있다. 즉, 중국은 홍콩에 독재적 정치 제도를 적용해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지배를 하루 빨리 확립하려는 것이고, 홍콩 시민들은 중국이 자신들의 ‘자유’ 와 ‘생활 방식’을 더 이상 침해하려는 것을 막아내려는 인도적, 사상적, 생존권적 차원의 항거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번 홍콩의 위기 상황은 중국 측이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크다. 중국은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반환 받은 이후, 당초 2047년까지 홍콩의 기존 정치 제도를 유지한다는 합의를 무시하면서 끊임없이 ‘一國 兩制’ 원칙을 위반하여 선거 제도 및 다른 법령을 개정하는 등 홍콩의 자치권을 침해해 온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 조사에서는 홍콩 시민들 가운데 자신을 중국 국민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집권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이런 것이 가장 우려되는 현상인 것이다. 동시에, 홍콩 시위 사태가 장기화하면 할수록 더 큰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을 느끼게 되고, 그 만큼 홍콩 시민들의 저항을 감내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중국이 사태 수습을 위해 취할 ‘다음 한 手’의 향배에 관심 집중

 

중국 정부는 홍콩 시위 초기에는 다소 근신하는 자세로 일관했으나, 시위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여론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자세를 급변했다. 지금 중국 정권은 단기적으로는 소요 사태를 서둘러 진압하고 시위를 완전 차단하려고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끊임없이 무력 사용을 위협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홍콩에 대한 장악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속셈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움직임을 보면, 중국은 이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면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현 홍콩 당국을 확고히 지원하며 강력 대응을 요구. 둘째; 홍콩의 기득권 세력, 기업인들, 기타 ‘애국 세력’을 포괄하여 홍콩 사회 내에 우호 세력을 확보하기 위해 영향력을 발휘할 것. 셋째; 시위자들에 대항하여 선전 및 정보 활동을 강화. 넷째; 시위대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강력한 징벌, 다섯째; 시위에 대한 무력 진압을 계속 위협, 여섯째; 현 정국 불안에도 불구, 중국과 경제적 연계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계속, 등이다. (Adam Ni 교수, Macquarie 대학)

 

중국 지도자들은 이번 사태를 겪으며, 정부 권력의 약화, 시민의 자유, 정권의 취약점을 보이면 통제를 잃고, 저항을 불러오고, 사회적 불안을 초래한다는 교훈을 얻었을 것이다. 시 주석은 지난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에서 심각한 정치적 도전과 난제들을 정리하는 데 극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 홍콩의 도전과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 과연 강압 수단으로 충분할 것인가는 의문이 크다.

 

한편, 복잡하게 얽힌 국제 정세 속에 현 사태는 단지 홍콩 및 중국이라는 지역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이해 관계가 교차하는 많은 나라들에게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하다. 자신들이 약속을 어긴 결과 저항을 불러오는 것처럼, 당장의 무모한 행동이 장래에 분쟁의 씨앗을 심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현 중국 지도부는 불과 30년 전, 그것도 자기들 공산당의 절대적 통치권이 온전히 미치는 자기 나라 영토 내에서 일어났던 ‘天安門 사태’ 당시에 저질렀던 강경 무력 진압이 뒤에 어떠한 후유증을 낳는지를 몸소 체험한 바가 있다. 지금 수그러들 줄 모르고 이어지고 있는 홍콩 소요 사태에 대응하는 시 주석의 다음 한 수가 온 세계인의 비상한 관심의 초점이 아닐 수 없다. <ifs POST>

 

 

8
  • 기사입력 2019년09월06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9월05일 16시3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