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슬픈 터키, 슬픈 우스크 달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7월28일 16시34분
  • 최종수정 2016년07월28일 17시12분

작성자

  • 김동률
  • 서강대학교 교수. 매체경영. 전 KDI 연구위원

메타정보

  • 47

본문

 ​세상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국간의 경계는 터키에 있다. 이스탄불 앞바다에 있는 수많은 섬들은 예외없이 모두가 그리스 땅이다. 불가사의한 이같은 국가간의 경계는 건국의 아버지 무스타파 케말이 정했다.

 눈앞 지중해와 에게해의 수많은 과거 영토를 포기하고라도 이스탄불만은 지켜야 한다는 그의 판단이 오늘날 이스탄불을 존재케 한다. 비잔티움, 콘스탄티노플이란 낯익은 과거 이름과 함께 파란만장한 역사를 지닌 이 거대 도시는 늘 혼란스럽다. 거리의 운전사들이 고래고래 고함을 치고 그랜드 바자 시장골목에서 허름한 상인이 손을 내흔들며 흥분하고 있다. 시내 번화가 밤은 홍대입구와 강남역 네거리보다 더욱 찬란하고 클럽은 뉴욕 맨하탄의 광란을 능가한다. 과연 이슬람 국가인지 믿어지지 않는 곳이 이스탄불이다.   

 

 터키 위정자들은 세속주의란 이름 아래 오랜 세월 서구 시스템에 자신의 나라를 어떻게 적응시킬까를 고민해 왔다. 케말 파샤로 더 알려진 아타튀르크(국부라는 의미)가 영웅시되는 것도 바로 그 덕분이다.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가 차도르 등 이슬람 복장을 강제화한 것과는 반대로 터키는 차도르 착용 금지를 강제화한 나라다.

 

 심할 때에는 잠잘 때 입는 파자마까지도 서양식으로 입도록 법제화했다. 전통 이슬람 문화를 내팽개치고 수염도 열심히 깎으면서 유럽을 짝사랑해 왔다. 1차 대전후 천신만고끝에 독립한 탓에 그래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강박이 한몫했다. 결국 나토일원이 됨으로써 냉전시대에는 완전히 유럽의 일원으로 된 듯한 나라가 터키다. 그런 터키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 EU가입이다.  

 

 그러나 가입은 여전히 지지부진이다. 작고 가난하고, 그래서 터키가 보기에는 비교조차 안 되는 앙숙 그리스마저도 보란듯이 EU 일원으로 엄청난 지원을 받고 있지만 터키는 외톨이 신세다. 반대론자들은 겉으로는 터키의 인권이 EU기준에 미흡하다는 이유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회원국 대부분이 기독교권인 반면 이슬람국가라 거절당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실제로 터키보다 늦게 신청한 가난한 동구권 소국들조차 대부분 EU 회원국이 되었다.

 

 결국 한 세기 가까이 유럽을 짝사랑해온 터키가 요즘 느끼는 것은 좌절감과 비애다. 이는 곧 현재 권력인 에르도안 대통령의 철권통치의 기반이 된다. EU가입을 놓고 번번히 물먹자 일부 터키의 보수층과 여대생들은 오히려 차도르를 쓰고 서구화 과정에서 폐허가 됐던 이슬람 사원을 복원시키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현 에르도안 대통령의 무슬림 회귀 정책과 딱 맞아 떨어지고 있다. 실패로 끝난 이번 군부 쿠데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터키는 우리와 유달리 친숙하다. 한국전쟁 당시 미,영 다음으로 많은 전투병(5500명)을 보내준 나라다. 에르도안 현 대통령은 당시 수상 자격으로 2004년 한국을 방문했으며, 이듬해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1957년 수교이래 처음으로 터키를 공식 방문하여 양국 사이에 경제, 군사, 문화적 교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해졌다. 터키는 문명과 문명이 만나는, 인류학자들이 말하는 이른바 단층국가다. 이슬람권과 기독교권이 보스포러스 해협을 경계로 터키서 만난다.  

 

슈펭글러나 토인비 등은 서구 문명이란 많은 문명중의 하나임에 불과하고 따라서 모든 인류가 그것을 숭상하고 글로벌 스탠더드로 받들어야 할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런 점에서 오늘날 터키에 대한 서구국가들의 태도는 배타적인 기독교 국가들의 배반에 다름 아니다. 사뮤엘 헌팅턴은 기독교 문명 vs 이슬람.유교 문명권간의 대립이 결국 거대한 세계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지구촌을 공포에 떨게 하는 작금의 테러가 생생한 예가 된다. 실제로 문화 차이에 오는 갈등은 정치, 경제적인 이유보다 치유와 화합이 훨씬 어렵다. 세계사의 주역이 될만한 역량을 지녔으면서도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서양사의 초라한 변방으로 밀려난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은 그래서 더욱 화려했던 제국의 비애를 보여주고 있다. 나는 오늘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터키민요 우스크 달라를 들으며 쿠데타 실패로 숙청 피바람이 불고 있는 형제의 나라 터키인들이 겪는 고통에 깊은 연민을 느끼고 있다. 

47
  • 기사입력 2016년07월28일 16시34분
  • 최종수정 2016년07월28일 17시1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