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김도훈의 나무 사랑 꽃 이야기(20) 참나무 이야기 3편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08월28일 17시03분

작성자

  • 김도훈
  • 서강대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전 산업연구원 원장

메타정보

  • 8

본문

이 칼럼을 빌어 두 번에 걸쳐 참나무를 다루었지만 아직 하고 싶은 이야기가 남아서 3편을 쓰고자 합니다. 참나무가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하시고 받아주시기를 기대합니다.

참나무를 어느 분은 ‘眞木’이라고 쓰면서 ‘참된 나무’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이웃나라 중국과 일본의 말로는 이런 의미를 담고 있지 않은데, 묘하게도 참나무의 학명인 ‘Quercus’가 바로 ‘참된’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영어의 ‘oak’도 제가 아는 불어의 ‘chȇne’도 모두 이런 라틴어 학명의 의미를 물려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 말에서 이 나무의 진가를 알아주는 이름을 붙인 것 같아서 뿌듯합니다.​ 

 

제가 지난 두 번에 걸쳐 쓴 참나무 이야기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참나무 여섯 가지를 다루었는데 (한 번 더 이름을 나열해 봅니다. 상수리, 굴참, 떡갈, 신갈, 갈참, 졸참), 이번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른 참나무 몇 가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세계 곳곳에서 이름은 ‘참된 나무’라는 지위를 얻지 못했지만 가장 경쟁력이 있는 나무라고 했으니, 제가 만난 몇몇 외국의 주된 참나무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선 외국산이지만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있는 두 가지 참나무를 소개합니다. 가장 많이 식재되고 있는 나무는 바로 대왕참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영어로는 ‘pin oak’라고 불리고 학명으로는 ‘Quercus palustris’입니다. 스페인이 원산이라고 합니다. 이 나무는 상당히 빨리 자라고 수형이 곧아서 우리나라 곳곳에서 가로수로 심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신도시들을 비롯하여 참으로 많은 곳에서 이 나무를 가로수로 심어놓은 경우를 발견했습니다만 (고양시, 판교, 세종시 등), 가장 극적인 곳은 대구광역시의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이 있는 국채보상로 변에 늘어선 대왕참나무였습니다. 저는 판교쪽의 태봉산 기슭에서 묘목으로 키우는 큰 대왕참나무를 몇 그루 만나기도 했습니다.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지난 7월29일 신분당선 판교역 건너편 공원길에서 만난 대왕참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7년 11월18일 대구 국채보상로에 가로수로 심어진 대왕참나무들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지난 7월4일 태봉산 하산길의 묘목 밭 옆에 서 있는 대왕참나무

 

 

그런데 이 나무가 자연 속으로 전파되고 있는 모습도 발견하면서 놀랐습니다. 기실 가로수로 식재된 대왕참나무에서 특유의 열매인 도토리를 발견하지 못해서 아쉬웠는데 서강대학교 교정 위의 작은 언덕인 노고산에서 큰 나무 밑에 떨어진 도토리를 발견하여 대단히 반가웠습니다. 대왕참나무 도토리는 작고 가벼워서 힘도 없을 것 같은데도 주변에 어린 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것을 보면 여전히 참나무 특유의 강한 번식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이 나무는 늦가을에 붉게 단풍이 드는 모습도 비교적 볼만해서 더욱 인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6년 9월21일 서강대 노고산 위의 대왕참나무 큰 나무와 어린 나무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7년 10월19일 서강대학교 노고산 위 대왕참나무에서 떨어진 열매와 잎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7년 10월21일 이스트밸리CC 대왕참나무 단풍든 모습

 

 

다른 하나의 수입 참나무는 우리 말 이름도 얻지 못한 루브라참나무 (Quercus rubra)입니다. 원산지는 북미라고 합니다. 이 나무는 아직 수목원, 대학 캠퍼스 정도에 심어져 있는 정도로 대왕참나무에 비해서는 보급률이 낮은 편인데, 다루려고 한 이유는 제가 즐겨 보았던 애니메이션 영화 ‘아이스에이지4’에서 다람쥐 스크랫이 죽도록 사랑한 도토리가 가상의 과장된 모양이라고 생각했는데, 우연히 주운 루브라참나무의 도토리가 바로 이 모양이었기 때문입니다.

대왕참나무와 루브라참나무가 우리 참나무들과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는 점은 이 두 나무 잎의 가장자리가 패인 정도가 (결각이라고 합니다.)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심하다는 사실입니다. 그 중에서도 대왕참나무는 패인 부분이 잎의 중앙 엽맥에 거의 닿을 정도이지요. 루브라는 그 반 정도까지 패인다고 보면 됩니다.​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8년 8월28일 홍릉 과학기술연구원 입구 루브라참나무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7년 6월27일 상주 경천대 공원 루브라참나무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9년 11월16일 찍은 루브라참나무 열매 사진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아이스에이지 4편에서 다람쥐가 사랑한 루브라참나무의 도토리

 

 

우리나라 남쪽 해안가에서 자생하지만 북쪽에서는 볼 수 없는 참나무들이 있습니다. 이들만 따로 가시나무라는 이름을 가질 정도로 대식구입니다만 일반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이들이 도토리나무라는 사실을 대부분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더욱이 이 나무들은 잎 모양도 일반 참나무들과는 매우 다른 긴 타원형으로 생겼고, 가장자리가 미끈하거나 작은 톱니가 나 있는 정도라서 참나무와 더 멀어 보이지요. 게다가 ‘가시나무새’라는 노래가 꽤 히트를 치는 바람에 이 참나무들은 가시가 없는데도 그런 가시투성이의 나무로 인식되는 위험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가시를 가진 나무라는 의미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가시나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 나무들이 겨울에도 초록 잎을 달고 있는 상록수라는 사실입니다. 이 나무들이 자연에서 자라는 모습을 보려고 남쪽 해안가를 가기만 하면 눈을 부라리고 찾았지만 실패했습니다. 실제로는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나무들의 사진은 (대표적으로 종가시나무와 붉가시나무) 제가 일본에 갔을 때 찍어둔 사진을 올립니다. 일본에서는 가시나무 종류들이 곳곳에 자생하고 있고 우리 참나무들 종류 중에는 떡갈나무와 졸참나무가 만히 보였습니다. 우리나라 남쪽에도 떡갈과 졸참을 자주 볼 수 있지요. 가시나무 종류의 도토리들이 쓰고 있는 모자들은 모두가 가로로 선명한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 참나무들 중에서 모자를 쓰고 있는 나무들은 비늘 모양의 무늬를 가지고 있지요.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6년 9월29일 일본 동경 고이시카와 국립수목원 내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017년 8월19일 대마도 호텔 근처 붉가시나무 (Quercus acuta)

 

 

저는 프랑스에서 수학하고 OECD에서 일하느라 프랑스 생활은 매우 익숙한 편입니다. 프랑스에서는 자국을 대표하는 나무들로 참나무와 (불어로 chȇne) 너도밤나무를 (불어로 hȇtre) 들고 있습니다. 곳곳의 공원에서 우람한 두 나무 종류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만, 대부분의 자연 숲은 역시 참나무들로 덮여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019년 7월 한 달 동안 파리에 머물면서 대표적인 참나무들을 사진에 담았는데, 파리 서쪽 외곽에 있는 불론뉴 숲에서 만난 로부르참나무 (Quercus robur)와 세리스참나무 (Quercus cerris)가 대표적입니다. 로부르는 거의 전 유럽에서 만날 수 있을 정도로 넓게 펴져 있는 유럽의 대표적 참나무이고, 세리스는 유럽 남부에 주로 분포한다고 하는데 도토리가 쓰고 있는 모자에 털이 나 있어 특이했습니다. 마치 우리나라 상수리, 굴참을 보는 듯했지만 세리스의 경우가 도토리가 더 드러나고 잎은 오히려 우리나라 떡갈에 가깝다고 느꼈습니다. 특이한 것은 두 참나무 모두 우리나라에 들어온 수입 참나무들에 비해 잎 가장자리가 그다지 깊게 패이지 않은 점이지요.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599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019년 7월13일 파리 불론뉴숲 프랑스 대표적 참나무 로부르 참나무 (Quercus robur)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019년 7월13일 파리 불론뉴숲 열매는 상수리, 잎은 떡갈을 닮은 털참나무 (Quercus cerris)

 

 

미국에서는 동부를 방문한 것은 (산책할 시간을 가지고) 주로 겨울이라 참나무를 사진으로 잘 담지 못해서, 워싱턴에서 로부르로 추정되는 가로수가 한겨울에도 잎을 달고 서 있는 모습을 찍는 데 만족해야 했습니다. 특이한 것은 유럽에서 건너왔다는 의미로 미국에서는 이 나무를 ‘English oak’라 부르고 있다는 사실이지요. 유럽 곳곳에서 자라는데도 미국과 영국이 가까운 나라라는 점을 잘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서부에서는 스탠포드 대학을 거닐면서 역시 로부르로 추정되는 참나무 거목이 가지를 거의 땅에까지 드리우고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자연스럽게 자란 모습으로 보여 반가웠습니다. 반면에 캠퍼스 중심부 정원에는 반갑게도 대왕참나무가 정원수처럼 심어져 있어서 우리나라에서와 비슷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015년 1월23일 미국 워싱턴DC 거리에서 만난 참나무 (로부르로 추정) 겨울에도 마른 잎을 떨구지 않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016년 4월23일 미국 서부 스탠포드 대학 캠퍼스 내 English Oak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f068eaf96d34fdcd08a30172e442a5c_1598600
2016년 4월23일 스탠포드 대학 캠퍼스 내 대왕참나무

 

 

 

<ifsPOST>

8
  • 기사입력 2020년08월28일 17시0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