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종의 공공부문 개혁방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12월01일 19시3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0시47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33

본문

집권 초부터 밀어닥친 가뭄과 태풍의 반복으로 경제는 위기로 치달았다. 몹시 당황한 세종은 모든 것이 자기의 잘못이라 생각했다. 준비도 제대로 안 된 형편에 천재지변까지 내린 것은 자신의 정치가 엉망이어서 하늘이 벌을 내린 것이 분명하다고 믿었다. 고민을 거듭하던 세종은 신하들에게 해법을 묻기로 했다. “대소신료들은 하늘의 경계(천계,天戒)를 깊이 생각하여 위로는 임금의 잘못 및 관료들의 흉허물과 아래로는 마을과 백성의 이해 및 병폐를 숨김없이 직언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걱정하는 나의 지극한 바람에 부응하도록 하라.(세종실록 5년 4월 25일)”  
신하들이 제안한 혁신은 공공부문 개혁과 민생해결이었다. (아래 <표.1>참조)

 

2014121193837o9jlw0b670.jpg
 

 

많은 신하들은 대지주나 사원 등 특권 계급의 비리를 지적했지만 특히 관료의 부정부패 척결과 함께 불필요한 관직(용관,冗官)을 과감히 혁파할 것을 주문한 사람들이 많았다. 세종은 대대적으로 공공부문을 혁신하기로 결심하고 원칙을 설정했다. 첫째로 모든 부서가 예외 없이 개혁의 대상이다. 둘째로 신속하고 과감하게 개혁한다. 셋째로 꼭 필요한 부서는 인원을 확충한다. 이 원칙에 따라 전체 29개 중앙 공공기관 중 24개 공공기관 인원이 감축되었다. 개혁대상 부서는 전체 부서의 83%였다. 5개 기관(선공감, 제용감, 충호위 제조 각 1명, 제생원 제거 1명, 소격전 별좌 1명)만 인원이 늘었다. 공공기관 임직원 숫자는 총141명에서 84명으로 줄였다. 정확히 40% 인원감축이다. 거의 모든 기관의 최고책임자(제조)의 숫자가 줄었고 부제조 자리는 없앴다. 세종이 주도한 계묘대개혁(1423년) 이다.
 
세종 18년(1436년)에는 집권 중 최대의 가뭄인 병진대가뭄이 닥쳐왔다. 5월부터 8월까지 석 달이나 비가 없었다. 5월부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제사를 올렸지만 효과가 없었다. 공공부문 개혁이 부진한 때문이라고 생각한 세종은 국가경비 50% 절감계획을 의정부에 던졌다. 이 안의 핵심은 갑사(직업군인)의 숫자를 줄이는 것에 있었다. 세종은 내심 갑사를 줄이고 싶었다. 즉위 직후 부왕의 경비를 위해 갑사의 수를 두 배로 늘인 이후 여태껏 한 번도 갑사조직을 건드린 적이 없었다. 그러나 부왕이 돌아가신 지 15년이 지나도록 갑사의 숫자는 줄지 않았다. 그러나 심도원(호조판서)을 제외한 모든 대신들은 반대했다. 갑사를 다른 부서로 전직시키자는 안(하연, 형조판서)과 당상관 이상의 고위직 무관을 줄이자는 의견(황희, 영의정)과 다른 부서 용관을 대신 줄이자는 의견(신개, 의정부참찬)을 제시했다. 반대가 거세지자 세종은 이렇게 말했다 : “이 일은 가볍게 고쳐 시행할 것이 아니다. 내 다시 생각해 보겠다.”(세종실록 18년 5월 22일) 신하들의 반대를 접한 세종은 생각을 잠시 묻어 두었다가 9년 뒤인 세종 27년(1445년) 7월 18일 전격적으로 갑사구조조정을 단행한다. 6000명의 갑사가 1000명 씩 6개 번으로 나누어 교대 근무하던 것을 1500명씩 3개 번으로 나누어 병력을 4500으로 줄였다. 
 
세종은 공공기관의 경비절감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 “모든 관공서의 물건들이 백성들로부터 나왔으니 마땅히 절약해야 한다.“ 그러나 국가기관의 경비지출에 대한 매뉴얼과 기준이 없어서 들쭉날쭉하기가 형편이 없었다. 세종은 이렇게 지시했다.”국가의 씀씀이가 낭비되는 것이 있을까 염려되니 상세하게 밝은 관리를 택하여 각 기관의 필요한 경비와 식례를 낱낱이 결정하여 보고하라.(세종실록 22년 4월 21일)“ 세종의 지시에 따라 그 해 5월 식례상정소가 설치되었고 6년 뒤에는 모든 정부기관 안에 식례상정소를 설치했다. 식례상정소 설치 이후의 정부의 경비절감 효과는 대박이었다. 악기 도색비용은 80.1%, 대궐과 능의 칠 비용은 70.6%나 절감되었고 대가(임금의 가마)의 첩금 비용은 60% 절감되었으며 외교용 진헌통의 금도색 비용도 39% 절감되었다. 평균적으로 80-90%의 경비절감 효과를 거두었다. 
세종의 공공부문개혁이 성공한 이유는 이렇게 요약된다. 첫째로 임기 내내 세종이 직접 챙겼다. 둘째, 신하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묻고 또 들어서 그들이 적극적으로 개혁에 동참하도록 유도했다. 셋째, 국방, 행정개혁, 인원조정, 비용절감 등 어느 부분 예외 없이 모든 부서에서 개혁을 단행했다. 넷째, 지속적인 공공부문개혁을 위해 식례상정소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했다. 다섯째 세종 본인과 왕족이 모두 적극적으로 솔선수범했다. 박근혜 정부가 공공부문 개혁에 눈여겨봐야 할 부분이 많다.  

 

201412119384627016783n7.jpg
 

33
  • 기사입력 2014년12월01일 19시3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0시4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