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화 국제화의 과제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2월02일 19시51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20시50분

작성자

메타정보

  • 28

본문

원화 국제화의 과제
1. 원화 국제화 논의
 
  2000년대초 후 원화 국제화는 한동안 정책당국과 학자들의 주요 정책슈의 하나 였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후 국제금융시장의 불안 고조와 세계경제의 침체 지속과 함께 각국의 에 대한 대응 주된 관심사가 되면서 원화 국제화 슈는 우선순위에 있어 뒤로 밀려난 형국 되었다.
 당초 원화 국제화문제가 대두된 것은 한국경제의 높은 대외의존도에서 비롯되었다. 경제성장을 대외무역에 크게 의존해 온 한국경제는 대외무역의존도(국민총소득에 대한 수출 및 수입 합계액의 비율) 2007년에 미 약 80%에 달했으며 전체 대외결제의 85%가량을 미 달러화에 의한 결제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었다. 에 따라 국제원자재 가격나 원-달러 환율의 급격한 변동과 같은 외부충격 발생할 경우 국내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에 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방책으로 원화의 국제적 활용을 높는 원화의 국제화는 반드시 필요한 정책으로 인식되었다. 
 원화 국제화가 경제살리기슈에 의해 뒤로 밀려 있는 동안 한국경제의 대외무역의존도는 2010년후 3년연속 100%를 상회하여 2013년에는  106%를 나타내었다. 러한 한국의 대외무역의존도는 주요 선진국(2012년기준)인 미국(30%), 일본(31%), 프랑스(57%) 등에 비해 현저히 높을 뿐 아니라 전세계GDP에서 점하는 국가별 순위에 있어서 한국(14위)과 비슷한 순위에 있는 국가들 즉, 11위 캐나다(63%), 12위 호주(41%), 13위 스페인(65%), 15위 멕시코(68%) 등의 수준을 훨씬 넘어서고 있다.
 

2015221951395934890qtz.png
 

2. 경제력에 비해 미흡한 원화의 국제적 쓰임정도
  
 일국 통화의 국제화란 국제거래에 있어서 그 나라 통화의 쓰임새의 정도를 의미한다. 실제 통화 국제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는 국제무역거래에 있어서의 결제비중, 국제외환거래에서의 거래비중, 전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점하는 비중, 국제채권시장에서의 비거주자에 의한 해당통화표시채권의 보유비중 등 사용되고 있다.
  주요국제결제통신망인 SWIFT를 통한 세계 상위 10위의 주요 통화별
국제결제비중(2014.4월)을 보면 주요 통화인 미 달러(40.2%), 유로(31.8%), 영국 파운드(9.2%), 일본 엔(9.2%)은 차치하더라도 호주 달러(2.5%), 캐나다 달러(1.8%), 중국 위안(1.8%), 스위스 프랑(1.6%), 홍콩 달러(1.5%), 스웨덴 크로네(1.0%) 등도 나름대로의 비중을 점하고 있으나 한국 원화의 비중은  20위내에도 들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다. 
 또한 국제금융거래의 통화별비중을 보여주는 지표로 많 활용되고 있는 국제외환거래에 있어서의 비중(BIS, 2013.4월 일평균 매입 및 매도액 비중을 합한 200% 중)을 보면 미 달러(87.0%), 유로(33.4%) 및 일본 엔(23.0%), 영국 파운드(11.8%)의 4대통화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점하고 있다. 그밖의 통화로는 호주 달러(8.6%), 스위스 프랑(5.2%), 캐나다 달러(4.6%), 멕시코 페소(2.5%), 중국 위안(2.2%), 뉴질랜드 달러(2.0%)가 있고 한국 원화는 다만 1.2%의 비중에 그치고 있다. 
 2000년대초후 국제외환거래의 통화별비중의 추를 보면 특기할 사항은 글로벌 금융위기후 미 달러 및 일본 엔의 비중은 대체로 보합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한편 유로와 영국 파운드의 비중은 감소세를 보고 있고 그 틈을 타 호주 달러, 중국 위안, 멕시코 페소, 뉴질랜드 달러 등 기타 통화들의 비중  아직 그 절대적 수준은 높지 않지만 점차 늘어나고 있는 점다. 특히 중국은 잘 알려지고 있는 바와 같 2000년대에 들어서 G2의 경제력과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위안화 국제화추진전략에 힘입어 국제무역 및 금융결제에 있어서 그 비중을 빠른 속도로 높혀 가고 있다.

 

 

2015221951278is7fjka1j.png
 

2. 경제력에 비해 미흡한 원화의 국제적 쓰임정도
  
 일국 통화의 국제화란 국제거래에 있어서 그 나라 통화의 쓰임새의 정도를 의미한다. 실제 통화 국제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는 국제무역거래에 있어서의 결제비중, 국제외환거래에서의 거래비중, 전세계 외환보유액에서 점하는 비중, 국제채권시장에서의 비거주자에 의한 해당통화표시채권의 보유비중 등 사용되고 있다.
  주요국제결제통신망인 SWIFT를 통한 세계 상위 10위의 주요 통화별
국제결제비중(2014.4월)을 보면 주요 통화인 미 달러(40.2%), 유로(31.8%), 영국 파운드(9.2%), 일본 엔(9.2%)은 차치하더라도 호주 달러(2.5%), 캐나다 달러(1.8%), 중국 위안(1.8%), 스위스 프랑(1.6%), 홍콩 달러(1.5%), 스웨덴 크로네(1.0%) 등도 나름대로의 비중을 점하고 있으나 한국 원화의 비중은  20위내에도 들지 못하는 미미한 수준다. 
 또한 국제금융거래의 통화별비중을 보여주는 지표로 많 활용되고 있는 국제외환거래에 있어서의 비중(BIS, 2013.4월 일평균 매입 및 매도액 비중을 합한 200% 중)을 보면 미 달러(87.0%), 유로(33.4%) 및 일본 엔(23.0%), 영국 파운드(11.8%)의 4대통화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점하고 있다. 그밖의 통화로는 호주 달러(8.6%), 스위스 프랑(5.2%), 캐나다 달러(4.6%), 멕시코 페소(2.5%), 중국 위안(2.2%), 뉴질랜드 달러(2.0%)가 있고 한국 원화는 다만 1.2%의 비중에 그치고 있다. 
 2000년대초후 국제외환거래의 통화별비중의 추를 보면 특기할 사항은 글로벌 금융위기후 미 달러 및 일본 엔의 비중은 대체로 보합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한편 유로와 영국 파운드의 비중은 감소세를 보고 있고 그 틈을 타 호주 달러, 중국 위안, 멕시코 페소, 뉴질랜드 달러 등 기타 통화들의 비중  아직 그 절대적 수준은 높지 않지만 점차 늘어나고 있는 점다. 특히 중국은 잘 알려지고 있는 바와 같 2000년대에 들어서 G2의 경제력과 중국정부의 적극적인 위안화 국제화추진전략에 힘입어 국제무역 및 금융결제에 있어서 그 비중을 빠른 속도로 높혀 가고 있다. 
 3. 원화의 국제화는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
 
  한 나라 통화의 국제화 진전에 기대되는 긍정적 효과로는 앞에서 언급한대로 외부 충격 발생시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완화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겠다. 우리는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발발시 국제적으로 쓰임 적은 다수의 비국제통화국들로부터의 급격한 자본유출 야기되면서 들 국가들 경험한 경제적 어려움을 잘 기억하고 있다. 자국통화 가치의 폭락과 함께 빠져 나가려는 국제자본들을 붙잡아 두기위한 국내금리의 급격한 상향 조정으로 들 국가들의 국내경제가 한동안 패닉상태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미 달러, 유로, 일본 엔 주요 국제통화의 지위에 있지 않다면 금번 금융 및 재정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들 국가들 추진하고 있는 현재의 정책적노력 결실을 거둘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을 것다. 
 중기적인 관점에서 원화의 국제화추진 더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은 외부충격의 완화기대효과외에도 당면한 여러 가지 여건을 감안하더라도 해될 수 있다
 첫째로, 한국 제조업의 국제적 경쟁우위가 중국, 인도 등의 추격으로 점차 약화되고 있는 상황하에서 서비스업의 주종산업인 금융산업의 선진화, 고도화전략 더욱 절실해지고 있고 를 위해서는  원화의 국제적 활용 증대와 를 통한 원화의  대외신인도 제고가 긴요하다. 흔히 금융산업은 네트 워크 산업라고 부르는데 국제활용도가 낮은 통화가 국제통화들과 경쟁하여 좋은 네크 워크를 형성하기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들째, 향후  국제통화체제는 미 달러가 중심적인 기축통화의 지위를 유지하되 기타 유로, 영국 파운드, 중국 위안, 일본 엔 일정 역할을 분담하는  다극화체제로 진행되면서 지역내 통화 및 금융협력은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되는바 자국통화의 국제화가 미흡할 경우 러한 협력관계에서 수동적으로 끌려 갈 수 밖에 없을 것다.
 끝으로 언젠가 다가 올 남북한 통일시대 또는 남북한 경협활성화시대에 대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한반도의 단일통화를 준비한다는 자세로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물론 한 나라 통화의 국제화는 긍정적인 효과와 더불어  적지 않는 비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국제화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외환시장의 투기적공격 증대될 수 있어 환율 장기균형환율수준에서 상당기간 벗어나면서 실물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어느정도 국제적 통용력을 갖춘 스위스 프랑, 덴마크크로네 등 유럽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조치 발표를 앞두고 국제외환시장에서의 투기적 매입의 대상 되면서 들 정부가 유로화에 대한 자국통화의 한율관리과정에서 엄청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 좋은 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외국자본에 의한 자국통화의 투기매입은 비상시 자본유입규제정책 등을 발동하여 대응할 수도 있으나 현재 스위스 프랑화 등에 일어나고 있는 정반대의 현상, 즉 금융위기 등과 같은 외부충격 발생하여 국제교환성을 전혀 갖추지 못한  통화에 대한 투기적 매도가 집중될 경우는 더욱 수습 어려운 상황 발생할 수 있을 것다.
 
 자국통화의 국제화는 어느 나라던 정책당국의 치밀한 계획하에 신중히 추진되어 왔다. 각 나라마다 자국의 경제력과 경제구조, 금융 및 자본자유화정도, 금융시장의 발전정도를 토대로  나름대로의 차별화된 자유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본거래가 대부분 자유화되어 있으나 비거주자의 원화 차입 등 원화 활용 등에 제약 있는 등 원화 국제화 추진을 위해 검토해야 할 과제들  적지 않다. 어떻게 보면 미 달러, 유로, 일본 엔 등 주요 국제통화들의 통화에 대한 신인 다소 낮아진 지금 비국제교환성통화들의 국제화 추진에 적기일 수도 있을 것다.
 알에서 깨어난 새가 어느정도 날개가 자라 둥지를 떠날 때가 되면 몇 번쯤 둥지로부터 추락할 위험을 무릅쓰고 날아 오르는 시도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 것처럼 제 원화  국제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검토와 추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8
  • 기사입력 2015년02월02일 19시51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20시5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