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교육의 허실(虛實)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3월18일 21시53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3시00분

작성자

  • 김학수
  •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메타정보

  • 37

본문

한국교육의 허실(虛實)

 

 

 세계인들의 인식은 한국이 더 이상 작은 나라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들의 인식은 그렇지 않다. 사실, 한 때 한국이 추격해야 할 나라로 1980년 기준으로 인구가 세 배 정도 더 많았고, 일인당 국민소득은 다섯 배 이상 더 컸던 일본을 가장 많이 상정(想定)한 적이 있었다. 그러더니 이제는 3억 인구의 미국, 13억 인구의 중국을 비교대상으로 놓고 이야기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은 여전히 매우 작은 나라임에 틀림없다. 

 

 ‘작은 나라’ 인식은 필연적으로 ‘국가경쟁력’의 위축 내지 불안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 미국의 세계경제 지배력이 다시 살아나고, 중국의 국제경제력이 커지면서 여러 가지 의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도대체 인구 5천만 명에 불과한 우리는 미국이나 중국과 경쟁하는 것이 가능한가? 산술적으로 보면, 일차적으로 일당백(一當百)의 인재(人才)를 육성하는 게 가장 손쉬운 방안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그것이 가능한가? 만약 가능하다면, 현재의 교육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가? 아니면 근본적으로 다른 교육대안이 절실하게 요구되는가? 그렇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국가경쟁력을 말할 때, 이런 교육 관련 질문들을 가장 먼저 묻지 않고는 어떤 튼튼한 방안도 생각해낼 수가 없다. 

 

 한국교육, 특히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의 지대한 관심은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가장 부러워하는 단골메뉴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유교문화권에 있는 나라들, 예컨대, 일본, 중국, 홍콩, 싱가폴, 그리고 베트남까지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은 유별나다. 그러니 국제 과학•수학 올림피아드 경쟁에서는 이들 나라의 청소년들이 휩쓸 수밖에 없다. 서구 나라들 중에서는 핀란드 청소년들의 성적이 자주 언급되는데, 사실 그곳의 대학입시 경쟁은 한국 못지않게 엄청난 압박감과 치열함으로 가득하다. 다시 말해서, 교육 중시 문화 및 치열한 입시 제도가 서로 상승 작용을 하면서 개인별 학업열(學業熱)을 최고 수준까지 끌어올린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입시중심의 교육은 전적으로 ‘기억력(memory)’과 ‘개인주의(individualism)’에 초점이 두어져 있다. 바로 여기에서 현대교육의 무용론(無用論)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우선 기억력은 이제 더 이상 중요한 능력이 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인터넷 공간에 얼마든지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인주의는 결국 인간을 이기적으로 몰아가고, 나아가 외톨이의 대량 생산에서 보는 것처럼 심각한 단절문화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인성교육이 문제되고 있는 것도 바로 단절문화에서 생긴 자기중심적 폐쇄성이다. 

201531821525160459017wc.png
 

 그렇다면 그런 ‘개인’ 중심의 경쟁력은 머릿수가 많은 나라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 즉, 인구가 많은 나라일수록 기억력 중심의 개인별 인재들의 절대 숫자가 압도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같은 유교문화권인 중국이나 일본이 한국보다 그런 종류의 인재를 훨씬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심지어 1억 인구에 가까워지는 베트남이 한국보다 그런 기억력 인재를 더 많이 가질 것이 명확하다. 이것은 곧 개인별 기억력 중심의 교육풍토에서는 한국이 국가경쟁력을 더 이상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결국 일당백(一當百)의 인재 육성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전통적 교육관의 관점에서 한국은 이미 세계 최고의 교육열과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거의 인간의 한계에 도전할 만큼, 태어나면서부터 외우고, 경쟁하고, 밀쳐내고, 싸우는 최대의 입시•입사 전쟁을 한 평생 치르고 있는 국가다. 그러면서 절대 다수는 청소년 시절부터 황폐화된 정신과 열등감 및 불행감으로 가득 찬 심성을 안고 살아가는 형국이다. 물론 그런 경쟁적 자세, 노력 및 제도가 총체적으로 한국인들의 “개인별” 능력을 향상시켰고, 지금의 한국을 발전시키는 데 큰 원동력이 된 것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제 인간의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같은 방식으로 보다 역량 있는 인재를 육성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절대 인구가 월등히 많은 미국과 중국에 우리는 영원히 뒤쳐질 수밖에 없다. 

 

 사실, 이런 현대교육의 실패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세계가 교육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B. F. Skinner로 대변되는 학습이론(learning theory)에 바탕을 둔 교육관 때문이다. 학습이론은 기본적으로 정보제공자의 관점이다. 즉, 지식 생산자 내지 전달자가 기준이고, 그것에 맞추어 지식소비자, 즉 청소년들이 따라오는, 따라올, 또는 따라와야 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 방식은, 먼저 청소년들에게 어떤 대상에 대해 흥미(interest)를 유발시키고, 그 대상에 대한 지식(knowledge)을 전달하면 청소년들이 그대로 학습할 것이며, 그런 학습을 바탕으로 그 대상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attitude)까지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런 “흥미→지식→태도”로 이어지는 학습이론의 연결고리를 굳게 믿고서, 지식전달자가 더 많은 지식을 더 열심히 전달할수록, 아니 더 많이 푸시(push) 할수록 지식소비자인 청소년들은 전달자의 의도대로 지식(知識)과 인성(人性)을 갖추게 된다고 믿는 것이다. 그래서, 일방적 주입식 교육과 그것의 효과를 점검하는 테스트와 입시제도가 넘쳐나고 있다. 그런데, 우리 모두가 잘 아는 것처럼, 그런 학습이론에 바탕을 둔 교육효과는 극소수에만 성공적으로 일어날 뿐이다. 그렇다면, 전세계의 어마어마한 교육투자가 너무나 비효율적이고 낭비적이다. 이것은 곧 현재의 교육이론이 “타당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말해준다. 바로 여기에서 새로운 대안적 교육이론이 필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일당백의 인재를 키울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를 재(再)모색해야 된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한국이 미국이나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길도 그런 새로운 대안이론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0153182153416b459c1twc.png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교육이론의 새로운 대안은 “팀워크 교육(teamwork education)”이다. 우선 팀워크(teamwork)는 “문제해결(problem solving)”에 매달릴 때 만들어지는 일종의 “공동체(community)”다. 어떤 경우에도 단일의 문제에 “함께” 집중하지 않으면, 그리고 함께 생각하고 행동하는 과정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그리고 개별 구성원과 집단 자체가 상호 서비스하는 관계로 발전하지 않으면, 팀워크는 절대로 성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의 행태가 유아시절부터 “문제” 중심으로, “팀워크” 중심으로 전환되지 않으면, 개별 구성원과 팀 자체가 하나로 뭉쳐서 만들어내는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팀워크는 개인의 역량(예, 지능, 리더십)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으로 함께 엮어가는 행위과정(behavioral process)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런 행위과정에서 바로 1대 1의 집합이 2가 아니라 심지어 100이 될 수 있는 창조적 기적(奇績)이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간혹 우리가 목격하는 집단(가정, 조직, 스포츠팀, 강소국 등)의 기적은 다시 말해서 효과적인 팀워크의 결과인 것이다. 

 

 이제 “팀워크 교육(teamwork education)”이 일당백의 인재를, 그것도 개인주의적이 아닌 공동체주의적 인재를 육성한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한국교육은, 아니 세계교육은 그런 새로운 대안적인 교육이론을 모색하지 않는 한, 더불어 공동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더불어 사는 인성을 발전시켜나가는, 더불어 나누는 행복을 성취하는 세상을 건설할 수가 없다. 이제 왜 기억력 경쟁에 초점을 둔 개인중심주의적 교육관이 한국인들 하나하나를 피폐화시키고 있는지 깨달을 수 있다. 지금까지 이룩한 한국교육의 성과가 더 이상 헛된 낭비로 흐르지 않도록 “팀워크 교육” 원리를 전면적으로 내세울 때다. 물론 효과적인 팀워크를 실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패러다임과 원리를 촘촘하게 깨닫고 있을 때, 그것은 가능할 것이다. 

 

37
  • 기사입력 2015년03월18일 21시53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3시0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