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비율 기준 부실기업 부채 증가에 따른 위험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2월18일 16시46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18일 11시56분

작성자

  • 이지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기업부채가 경제성장 대비 과도하게 늘어나는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매우 낮은 부실기업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 건설업 부채의 부실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기업의 자구노력과 함께 금융회사 및 금융당국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 기업부채가 경제성장 대비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부채위험이 증가하고 있음.

 

 - 2010년대 비교적 안정적으로 증가하던 기업부채는 2019년부터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2019년 이후 명목GDP성장률(전분기대비)은 평균 0.87%인데 비해 기업대출증가율은 평균2.81%로 경제성장 속도보다 3배 이상 빠름.

 - 소득 대비 채무부담을 나타내는 기업대출/GDP 비율(이하 편의상 DTI)이 장기 평균에서 이탈한 정도를 표준편차로 표준화한 Z-score(신용위험 지표)가 매우 빠르게 상승함.

 - 부채위험이 증가하면 금융권 부실이 증가하고 거시건전성이 악화되어 대출시장 (credit market)에서의 금융중개기능 약화뿐만 아니라 자본시장의 불안 요인으로도 작용함.

0c90506bfc88435e3fd6cdc11a2406a7_1708221
 

0c90506bfc88435e3fd6cdc11a2406a7_1708221 

 

■ 또한 기업부채의 질적 측면에서도 이자보상비율이 매우 낮은 부실기업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2년간 크게 증가함.

 

 - 분석대상은 코스피ㆍ코스닥ㆍ코넥스 상장법인을 포함한 외부감사법인 중 금융보험업을 제외한 34,785개 기업(2022년 기준)이고, 표본기간은 2020~2022년임.1)

 - 이자보상비율(interest coverage ratio : 영업이익/이자비용)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ㆍ안정성 지표이며, 1 이하인 경우에는 자산매각 또는 유상증자를 통해 부채를 축소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

 - 부실기업(본고는 이자보상비율 < -10 기업으로 정의)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6.8%에서 2022년 11.8%로 크게 증가함.

 - 이자보상비율 5 이상인 우량기업의 부채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31.7%에서 2022년 35.9%로 증가해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음.

0c90506bfc88435e3fd6cdc11a2406a7_1708221 

 

■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ㆍ건설업 부채의 부실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므로 기업의 자구노력과 함께 금융회사 및 금융당국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함.

 

 - 이자보상비율 -10 이하 부실기업의 부채가 업종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부실률)이 높은 업종은 전기가스업ㆍ부동산업ㆍ건설업 등으로 나타남.

  * 2022년 전기가스업 부실부채 116조원 중 109조원은 한국전력공사의 부채임.

 - 부동산업의 경우 최근 주택 거래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임대/중개업의 수익성이 악화되었고, 분양 저조로 인해 개발/시행업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됨.

 - 건설업의 경우 주택시장 침체와 아파트 분양 저조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실적이 부진하였고, 이는 부동산PF대출ㆍ브리지론 부실 우려로 이어지고 있음. <KIF>

0c90506bfc88435e3fd6cdc11a2406a7_1708221 

---------------------------------------------------------------------------------------------------------

1) 기업재무 데이터는 NICE평가정보(주)가 제공하는 DB인 Kisvalue에서 다운로드하였음

 

<ifsPOST> 

 ※ 이 글은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33권 03호] (2024.2.16.) '금융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 
1
  • 기사입력 2024년02월18일 16시46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18일 11시5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