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배당금이 늘면 주가 상승과 소비 증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07월09일 17시35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작성자

  • 김영익
  •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

메타정보

  • 29

본문

배당금이 늘면 주가 상승과 소비 증가?
올해 들어 미국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가능 등 세계 주가가 름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우리 주식시장은 답답한 ‘게걸음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이 낮아 주가가 르지 못한다는 견해가 있다. 배당금이 증가하면 주가는 한 단계 도약하고, 이는 소비를 증가시켜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주요 우량 기업의 대주주가 돼가고 있는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때이다.
 □ 배당금이 늘면 주가 한 단계 도약 가능
    우선 주가와 배당금의 관계를 보면 <그림 1>과 같다. 한국 주식시장(KOSPI)에서 주당 배당금과 주가지수는 동행했다. 1987년과 2004년에 배당금이 한 단계씩 도약했고, 주가도 이 무렵에 한 계단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상황을 보면 주당 배당금은 2008년 512원을 정점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2013년 주당 배당금은 384원으로 2012년(429원)에 비해 10.4%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주가도 2009년 이후 추세적 상승보다는 일정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있다.
    주가지수와 배당금 사이에는 같은 기간의 상관계수가 0.81로 매우 높았다. 즉, 주가가 른 해에 배당금도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시차관계를 구해보면 1년 전의 주가지수와 당해년도의 배당금 사이의 상관계수가 0.89로 가장 높다. 지난 해 주가가 올랐으면 올해 기업들이 더 많은 배당금을 주었던 것이다. 이는 상식과 일치한다. 기업들이 일정한 배당수익률을 가정하고 배당에 대한 의사결정을 한다면 지난해 주가가 른 비율로 배당금을 더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계를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인과관계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이에 따르면 양방향으로 인과관계가 성립했다.(아래 표 참조) 즉, 주가가 올라서 배당금이 늘었고, 또 배당금이 증가해서 주가가 상승한 것이다. 한편 2000~13년의 통계를 대상으로 회귀분석해보면 배당금이 1% 늘었을 때, 주가지수는 1.09% 상승했다. 주당 배당금이 500원대로 르면 주가지수가 2800을 넘어 3000 시대도 기대해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 배당에 인색한 한국 기업
   문제는 기업들이 배당금을 더 줄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한국기업들이 주주에게 너무 인색했다. 2013년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은 1.1%(KOSPI, MSCI 기준)였다. 유럽 3.3%, 대만 3.0%에 비해 턱없이 낮을 뿐만 아니라 세계 평균인 2.5%의 절반에 이르지도 못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이 낮은 것은 지난 한 해의 문제가 아니다. 과거 11년 동안의 선진국과 신흥시장의 배당수익률 추이를 보면, 한국이 2004년을 제외하고는 추세적으로 낮았다. 2003~2013년에 세계 평균이 2.7%였는데, 한국은 1.6%에 지나지 않았다.
    왜 한국의 배당수익률이 이처럼 낮은가? 배당수익률이란 배당금을 주식의 당시 가격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배당수익률이 낮다는 것은 배당금이 작았거나 주가 수준이 높다는 것, 둘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경우 주가수익비율(PER)이 9배 안팎에서 변동한 것을 보면 결코 주가 수준이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들이 배당금을 덜 주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이 다른 나라 기업에 비해 배당금을 덜 주고 있는 이유는 다음 다섯 가지 정도로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한국 경제가 고성장을 하는 가운데 기업은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충분한 내부 유보가 필요했다. 둘째, 대주주가 배당금 형태로 지나치게 많은 돈을 가져간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한국 경제에서 전자 및 정보통신(IT)관련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이들 기업은 빠른 기술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퇴출당할 수도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내부 유보를 높게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조세제도의 비대칭성이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으나 배당금을 받을 때는 세금을 내야 한다. 넷째,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을 30% 정도 보유하고 있는데, 기업이 배당금을 많이 주면 외국인 배만 채워준다는 인식도 사회 저변에 깔려 있다. 
 
□  경제 주변 환경은 높은 배당금 요구
    그러나 한국의 경제환경 변화를 고려하면 낮은 배당금에 합당했던 이유는 이제 타당성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3% 안팎으로 떨어졌고, 기업의 투자 기회도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 2013년 말 현재 한국 기업들이 504조원에 이르는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돈들이 은행에서 잠자고 있기에는 그 기회비용이 너무 크다. 기업이 투자해서 고용을 창출하던지 아니면 가계로 소득이 재분배되어야 한다. 1997년과 2008년 경제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국민총소득(GNI) 중 기업 몫은 증가했으나 개인 몫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예를 들면 1990~97년에 국민총소득 중 72%(연평균)를 개인이 가져갔으나, 2008년부터는 연평균 63%로 줄었다. 반면에 기업 몫은 같은 기간 15%에서 23%로 늘었다. 이 기간 동안 기업이 상대적으로 부자가 되고 가계는 가난해진 것이다.
    주식투자에서 배당투자에 수요도 늘고 있다. 한국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3% 안팎으로 떨어지고 디플레이션 압력이 존재하는 만큼 저금리 시대는 장기적으로 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배당투자에 대한 욕구는 갈수록 증가할 것이다.
    기업이 배당금을 늘리면 외국인만 배부르게 해준다는 생각도 바뀔 필요가 있다. 한국은 2013년에 799억 달러에 이르는 경상수지 흑자를 냈다. 올해 이후에도 그 규모는 줄어들겠지만 대폭의 경상수지 흑자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경상수지 흑자자 난 만큼 금융계정을 통해 그 돈들이 해외로 다시 나간다. 일부는 해외 주식에 투자될 것이다. 한국도 배당금이 높은 나라에 투자해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다.
 
□ 배당금 증가는 소비 증가 초래
    배당금이 늘어 주가가 르면 소비가 늘고 경제성장률이 올라갈 수 있다. 단순화해서 직접적인 소비 증가 효과를 추산해보자. 2013년에 배당금이 13조 5200억 원이었다. 이중 4조원 정도가 외국인에게 나머지 9조 5000억 원이 대주주를 포함한 국내 투자자에게 지급되었을 것이다. 배당세를 제외하면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약 8조원 는 셈이다. 한국의 평균 소비성향 73%를 고려하면 6조원 정도는 소비되고, 그렇게 되면 소비가 0.8%, 경제성장률이 0.4% 정도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주가가 르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부가 늘어 소비지출도 증가할 것이다. 주가가 를 때 경제 전체적으로 소비심리도 개선된다. 
    이처럼 배당금 증가는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회복에 상당 부문 기여할 수 있다. 문제는 기업 스스로 배당금을 크게 늘릴 것 같지는 않다. 국민연금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민연금은 2013년에 이미 상장주식을 7.1%(시가총액 기준)나 가지고 있다. 이 비중은 계속 늘어 2018년에는 9%에서 13%까지 증가할 수 있다. 국민연금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대부분의 우량 기업 대주주가 되는 것이다. 한국 주식시장뿐만 아니라 경제 전반에 걸쳐 국민연금의 역할이 갈수록 더 커지고 있다.
 
<그림 1> 주당 배당금과 주가지수 추이: 배당금 감소, 주가 조정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자료: KRX

 

<그림 2> 2013년 주요국의 배당수익률 비교: 한국 최하위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자료: 블룸버그

 

<표> 주가지수와 배당금의 관계: 양방향으로 인과관계

f88a182aafc2d0b81e52ccde696763d1_1456482
주: 시차는 2를 사용하였음

 

29
  • 기사입력 2014년07월09일 17시35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16시0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