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혼, 이혼, 그리고 김영란법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9월14일 17시22분

작성자

  • 김동률
  • 서강대학교 교수. 매체경영. 전 KDI 연구위원

메타정보

  • 47

본문

 

결혼식에 다녀왔다. 추석명절까지 긴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청첩장이 부쩍 많아졌다. 믿고 싶진 않지만 김영란법 발효 이전에 서두르기 때문이란다. 간소한 결혼식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예전 그대로 호화로운 모습이다.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 외에는 별반 차이가 없다. 결혼식에 다녀 온 날에는 문득 생각해 본다. 결혼의 끝에는 무엇이 있을까. 나는 또 얼마만큼의 행복감으로 가정을 꾸려 왔을까. 

 

나도 결혼식을 했다. 신촌의 한 여자대학 강당에서다. 거리에는 최루탄 냄새가 여전히 매캐하고 그로 인해 강요된 눈물이 멈추지 않았던 우울했던 시절이었다. 그 날 결혼식의 가장 큰 이변은 축가였다. 초대된 소프라노는 칼날 같은 목소리로 “거센 바람이 불어와서 어머님의 눈물이……”으로 시작되는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를 불렀고 “창살 앞에 네가 묶일 때 살아서 만나리라” 로 끝나는 대목에서 많은 하객들은 울먹였다. 그 때는 정말 그랬다. 용기가 없거나 모질지 못한 사람들은 우회적인 방법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타는 목마름을 표현해 냈고 그것들이 모여 지금의 민주화를 이룩해 냈다. 그리고 그날 우리는 그 흔한 동동구리 반지 하나 교환하지 않았다. 아내와 나는 “혼수 무용론”에 절대 공감, 어떤 경우도 일체의 혼수를 주고받지 않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다. 가족들의 반대가 엄청났지만 우여곡절 끝에 가까스로 ‘무혼수 결혼식’에 성공했다. 

 

세월이 많이 흘렀다. 대학에 있다 보니 제자들로부터 종종 주례부탁을 받는다. 그럴 경우 나는 수락에 앞서 조건을 단다. 사과 1박스를 사례의 전부로 할 경우 수락하는 조건이다. 양가 집안에서 관례를 들이대도 이 원칙을 확고하게 지키고 있다. 주례가 있는 날, 나는 대중교통편으로 조용히 가서 양가 부모님들과 인사를 나누고 예식이 끝난 뒤 소리 소문 없이 살짝 빠져 나온다. 가끔 점심 무렵에는 식장을 나와 나 홀로 패스트 푸드로 점심을 때운다. 정신없이 분주한 당사자들께 폐를 끼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주례 또한 어떤 경우든 일 년에 딱 한 번만 한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꽉 채워 일 년에 한번 하는 것만이 나의 정성을 전할 수 있다는 나름의 계산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나에게 주례를 부탁하기 위해 결혼을 미루는 제자도 있다. 

 

그러나 나의 이 같은 정성과는 무관하게 결혼식은 여전히 호화스럽다. 수백 수천 송이의 장미가 식장을 채우고 조금 산다는 집이면 고급 스테이크가 어김없이 등장한다. 대형 스크린에는 보기 민망할 정도의 농도 짙은 사전 촬영한 화보사진들이 하객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실내악 연주는 물론이고 축가에다 경우에 따라 화려한 퍼포먼스까지 등장한다. 세월이 흘러도 전혀 달라지지 않는 결혼식 풍경을 보면 안타깝다. 이 같은 화려한 결혼식과는 대조적으로 헤어지는 부부들도 주변에 하루가 다르게 늘고 있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건 들려오는 이혼소식은 늘 우울하다. 한국사회에도 백년해로라는 고귀한 사자성어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시대가 오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그리고 드디어 이 같은 한국사회의 결혼식 풍경을 일거에 날려버릴 ‘김영란법’이 눈앞에 다가 왔다. 엄청난 논란에도 불구하고 ‘김영란법’은 하루가 다르게 물신주의로 흐르며 천박해져 가는 결혼식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을 것이 분명해 보인다. 화환도 어렵고 축의금 상한선도 딱 정해져 있으니 호화찬란한 결혼식 풍경은 조만간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 분명하다. 만만찮은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결혼식 비용으로 어깨가 짓눌려 있던 이 땅의 수많은 고단한 부모들의 환한 미소가 눈에 보이는 듯하다.   

 

구월이다. 아침 저녁 불어오는 공기에 가을의 냄새가 묻어 있다. 사람들은 올 한 해도 서서히 떠나가고 있음을 느낀다. 바람은 하루가 다르게 싸늘해지고 계절은 점점 목말라 갈 것이다. 그리고 지독히 뜨거웠던 2016년 여름날들이 왠지 몹시 그리워질 것 같다. <ifs POST> 

47
  • 기사입력 2016년09월14일 17시2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