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41> AD647 태종이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다섯 가지 이유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03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23일 11시33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5

본문

경진일(5월 25일)에 태종이 취미전에 올라 시신에게 물었다.  庚辰,上御翠微殿,问侍臣曰:

  

 “옛 제왕들이 중원 천하를 평정했지만                         自古帝王虽平定中夏,

  융적 오랑캐들을 복속시키지 못했는데                            不能服戎、狄。

  짐이 옛 제왕보다 재능이 뒤떨어지면서도 정복에 성공한 것의 朕才不逮古人而成功过之,

  나는 스스로 그 이유를 말하지 않겠으니                     自不谕(understand)其故,

  여러 공들이 각자 솔직한 마음으로 그 이유를 말해보시오     诸公各率意以实言之。”

 

여러 군신들이 모두 말했다.                                   群臣皆称:

 “폐하의 공덕이 천지와 만물 같아서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陛下功德如天地,

                                                            万物不得而名言。”

태종이 말했다.                                               上曰:

 

 “그렇지가 않소.                                                    不然。 

  짐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섯 가지 때문이오.    朕所以能及此者,止由五事耳。

  옛부터 제왕들은 자기보다 나은 자를 질투하였으나          自古帝王多疾胜己者,

  짐은 사람의 장점을 보면                                       朕见人之善,

  마치 내가 그것을 가진 것처럼 생각했고,                          若己有之。

  사람의 능력과 행위는 모든 것을 다 갖추기 어렵기 때문에    人之行能,不能兼备,

  짐은 항상 사람의 단점을 버리고 그 장점을 취했으며,       朕常弃其所短,取其所长

  군주들은 현자를 등용시키면 여러 욕심을 품었고       人主往往进贤则欲置诸怀(desire),

  우둔한 자를 퇴출시키면서 골짜기로 밀었지만                 退不肖则欲推诸

  짐은 현자를 보면 존경하고                                    朕见贤者则敬之,

  불초한 사람을 보면 가련한 마음을 가졌으니                     不肖者则怜之

  현자나 불초한 자 모두 자기의 자리를 가지게 하였소.           贤不肖各得其所。③

  군주는 많은 경우에 정직한 사람을 싫어하며                     人主多恶正直,

  음모로 사람을 죽이거나 드러내고 살육을 감행하지 않은 적이 역대로 없었으나

                                                              阴诛显戮,无代无之

  짐은 제왕이 된 후에                                             朕践祚以来,

  정직한 사람을 조정으로 불러 어깨를 나란히 하였지 正直之士,比肩(side by side)于朝,

  한 사람도 쫓아낸 적이 없었소.                                   未尝黜责一人④。

  예부터 모두들 중화만 존귀하게 여기면서                          自古皆贵中华,

  오랑캐와 융적들을 천하게 생각했지만                               贱夷、狄,

  짐만 유일하게 모두를 하나같이 사랑했으니                       朕独爱之如一,⑤

  그 때문에 여러 부족마을 사람들이 짐을 부모와 같이 생각했소.

                                                            故其种落皆依朕如父母。

  이 다섯 가지가 짐이 오늘의 성공을 이룬 까닭이오.      此五者,朕所以成今日之功也。”         

                                                          [자치통감 권198 AD648년]

<ifsPOST>

 

5
  • 기사입력 2024년05월03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23일 11시3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