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금융 부문의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핀테크 활용 방안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3월18일 15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19일 11시54분

작성자

  • 서정호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메타정보

  • 0

본문

그간 우리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고, 금융당국도 기업의 저탄소 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금융지원, 공시체계 선진화 등을 추진하고 있음. 그린핀테크는 기후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과 양질의 데이터를 금융 부문에 공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분야임. 이를 위해 정부는 금융배출량 정보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그린핀테크를 반영하며, 녹색금융 공공 프로젝트 발굴에 주력해야 할 것임. 금융회사들도 거래 중소기업에 대한 컨설팅 시 그린핀테크를 활용함으로써 기업의 저탄소체계 전환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임. 

 

■ 그간 우리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선언 이후 탄소중립을 위한 중간목표 설정, 탄소중립기본법 제정 및 시행, 산업별 맞춤형 전략 수립 등의 실행방안을 순차적으로 추진해 왔음. 

 

  - 2020년 10월, 우리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선언을 하였고, 2021년 10월에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겠다는 다소 의욕적인 중장기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발표한 바 있음. 

   * 탄소중립 또는 넷-제로(net-zero)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같게 만들어 순(純, net) 온실가스 배출량이 영(zero)이 되도록 하는 상태를 말함. 

  - 또한, 2021년 9월 국회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 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 법’)」을 제정하였고(2022년 3월 시행), 2023년 3월 정부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 · 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을 발표하여 부문별로 맞춤형 추진 전략을 제시하기도 했음. 

 

■ 금융당국도 2050 탄소중립 목표의 실현을 위해 온실가스 고배출 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 계획을 집행하고 있으며, 민간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전환금융(transition finance)’1)의 확대 등을 통해 거래기업들이 원활하게 친환경 · 저탄소 체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 

 

  - 이와 관련하여 2024년 3월 금융위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 방안」, 환경부는 「저탄소 체계로의 전환 가속화를 위한 녹색투자 확대방안」을 발표한 바 있음. 

  - 세부과제 이행을 위해 금융위 · 환경부는 「녹색채권 가이드라인(2020.12)」, 금융위원회 · 환경부 · 금융감독원은 「녹색여신 관리지침(2024.12)」을 제정하여 발표하였음. 

 

■ 특히, 한국판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확정과 공시기준 도입 로드맵(2026년 이후 시행 예정) 공표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규제환경에 적응(의무공시 이행)하기 위한 국내 기업과 금융회사들의 탄소중립화 노력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 

 

fae38b8c6b8ae2253fa5b97e8c9b9250_1742265■ 이러한 정부의 탄소중립 노력과는 대조적으로, 금융 분야에서 기후리스크 관련 규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그린핀테크(green fintech)’는 아직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음. 

 

  - 그린핀테크는 ‘환경적 측면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금융기술’(financial technology to promot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로 정의할 수 있는데, 녹색금융, 디지털 기술 그리고 기후 · 환경 과학이 만나는 접점 또는 융합분야라고도 볼 수 있음.2) 

  - 그린핀테크는 기후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과 양질의 데이터를 금융 부문에 공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분야라 할 수 있음. 

  - 글로벌 컨설팅회사인 KPMG 3)4)에 따르면 2023년과 2024년 상반기 전세계 핀테크 투자가 전년대비 위축된 가운데서도 탄소서비스 등 ESG 핀테크에 대한 투자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향후 그린핀테크는 장기 투자 대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음. 

  - 국내의 경우 탄소회계(carbon accounting)* 및 녹색투자 플랫폼 분야에서 소수의 핀테크 기업들이 존재하나, 디지털 정보 기반의 기후리스크 대응능력 평가, 기후리스크 관련 인슈어테크 등의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핀테크를 찾아보기는 어려움. 

   * 탄소회계는 조직 또는 국가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 · 추적 ·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함. 

 

■ 그린핀테크가 금융 생태계에 적극 편입되어 시장에서 기후리스크 대응을 위한 혁신적 아이디어들이 활발히 개진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당국의 노력이 필요함. 

 

■ 첫째, 당국은 금융회사가 금융배출량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도록 사전에 유인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많은 기업들이 자사의 탄소배출량을 직접 산출 · 보고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 2024년 12월 금융위원회는 금융회사의 금융배출량(financed emissions)* 산출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권 금융배출량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고 발표하였음.

    * 금융배출량은 포트폴리오 내 투자 및 대출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서 Scope 3에 해당함. 

  - 이에 따라 현재 한국신용정보원(KICS)은 관련 데이터를 집적하고 표준 금융배출량 산정 가이 드라인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데이터의 한계 등으로 인해 ‘활동량(activity)’5)을 기반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간접 추정하는 방식 위주로 접근하고 있음. 

  - 그러나, PCAF6)는 기업이 직접 산출 · 보고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높은 품질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렇게 산출된 데이터의 비중이 금융배출량 데이터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함. 

  - 중소기업 · 소상공인들이 자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직접 산출 · 보고할 경우 체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수단을 갖게 되며, 은행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보다 투명하게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보여줄 수 있어 전환금융 활성화에도 기여하게 됨. 

  - 이에 따라 당국은 금융배출량 정보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금융권 금융배출량 플랫폼’ 구축 시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 둘째,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그린핀테크를 반영하는 방안이 효과적임. 


  -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2021년 12월 녹색 경제활동을 정의하는 지침서로써 명확한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자 제정되었으며, 녹색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다만, 그린핀테크 기업은 디지털 금융 기술을 활용하여 녹색 프로젝트 및 녹색기술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등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발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 도 이들이 녹색분류체계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불분명함. 

  - 이에 따라, 녹색분류체계 지침서에 이들을 예시로 반영하거나, 관련 부처들이 협의하여 사전 유권해석 등의 조치를 시행한다면 이들에 대한 투자나 금융연관업종 지정이 용이할 것임. 

 

■ 셋째, 정부 주도의 녹색금융 프로젝트들을 지속적으로 발굴 · 추진함으로써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을 위한 생태계를 강화하고 그린핀테크의 초기 성장을 견인할 필요가 있음. 

 

  - 싱가포르 통화청(MAS)은 기업들이 ESG 관련 정보의 수집 및 공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집중화된 플랫폼(Greenprint Platform)을 구축하였고, 동 플랫폼상에 ‘기업(금융회사 포함)- 그린핀테크’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도 운영하고 있음. 

  - 홍콩 금융청(HKMA)은 토큰증권(security token)을 활용해 68억 홍콩달러 상당의 녹색채권을 두 차례에 걸쳐 발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Digital Asset, InterOpera, Allinfra 등의 핀테크 업체들이 참여한 바도 있음(‘Project Evergreen’). 

   * 이에 앞서 BIS 혁신 허브(Innovation Hub)와 홍콩 금융청은 녹색금융의 효율성 · 투명성 ·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Project Genesis’)을 진행하였는데, 이 플랫폼은 블록체인과 IoT 기술을 활용해 채권의 발행 · 결제 · 이자지급 · 원금상환 등 전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고, 투자로 인해 생성된 청정에너지의 양과 이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됨. 

  - 이와 같은 녹색금융 공공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필요시 동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그린핀테 크들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한다면, 그린핀테크 육성 차원에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 그 밖에도, 은행 등 금융회사들도 그린핀테크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거래 중소기업의 저탄소체계 전환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임. 

 

  - 거래 중소기업 대상 컨설팅을 수행할 때 저탄소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수립 지원에 그 치지않고 그린핀테크 기업들을 참여시킨다면 보다 근본적인 관리 수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임. <KIF> 

-----------------------------------------------------------------------------------------------------------------------------------------------------

1) 기업이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능을 의미함. 

2) CGFI(2024), “Green Fintech 2.0: Next Generation Climate and Environmental Analytics to Accelerate Green Finance” 12 

3) KPMG(2024.3), “Pulse of Fintech H2 2023” 

4) KPMG(2024.8), “Pulse of Fintech H1 2024” 

5) 예를 들어, 차주 또는 투자 대상 기업의 천연가스 사용 시간, 철강 생산량, 매출액 등이 있음. 

6) PCAF, Financed Emissions: The Global Green House Gas Accounting and Reporting Standards, 2022 참조 

 

<ifsPOST> 

 ※ 이 자료는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34권 05호](2025.3.14.) ‘금융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5년03월18일 15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3월19일 11시5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