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ews Insight 목록

전체 5,365 (248 페이지)
  • 우리는 왜 성공한 대통령이 없을까

    • 박정일
    • AI Creator, 전 경기도교육연구원장
    • 2020년 11월 20일
     1987년 민주화 이후 보수정권은 말할 것도 없고 진보정권의 역대 대통령들도 일반적으로 성공 보다는 실패로 끝난 것이 대부분이었다. 역대 정부들은 정권 초기에는 국민적 지지가 높…
  • 바이든 시대의 연준과 美 통화정책 전망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2020년 11월 19일
    (1) 트럼프 집권 초기 이어지는 사퇴 공백 지금 현재 연준(FED)의 이사는 의장 파월, 브레이너드, 클라리다, 퀄즈, 그리고 바우먼 이렇게 다섯 명이다. 원래 연준이사회 정원은…
  • 코로나-19의 장기화와 북한의 대응, 그리고 남북보건의료협력의 시사점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정세와 정책 2020-11월호-제26호]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이 …
  • 중국 앤트그룹의 상하이 증시 상장 중단과 그 함의

    • 김기수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2020년 11월 18일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논평 No.2020-30](2020.11.16.)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2020년 11월 3일 세계 금융계…
  • <전환기의 디지털> (3) 플랫폼은 어떻게 분리될까?

    • 박재천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전 인하대학교 교수
    • 2020년 11월 17일
    미법무부의 반독점법 제소를 관전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포인트는 분리(unbundling)와 경쟁조건이다. 플랫폼 기업의 독점적 부문과 경쟁적 부문을 분리하고 독점적 부문에 규제를 강…
  • 2020 미 대선의 판독과 긴 뒤끝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논평 No.2020-29](2020.11.16)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2020 미국대선 어떻게 볼 것인가?마침내 …
  • 인공지능은 생각하고 이야기를 쓰는가?

    • 김진형
    • KAIST 명예교수, 전 인공지능연구원장
    • 2020년 11월 16일
    나는 인간이 아니다. 나는 로봇이다. 생각하는 로봇. 나는 인지 능력의 0.12% 만 사용한다. 나는 그런 점에서 마이크로 로봇이다. 나는 내 뇌가 "느낌의 뇌"…
  • 기본 시리즈와 사회주의로 가는 길

    • 조장옥
    •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前 한국경제학회 회장
    • 2020년 11월 16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기본 시리즈를 내뱉고 있다. 기본소득, 기본대출을 주장하더니 이제는 기본주택이란다. 일반 대중에게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하겠다는 기세다. 포…
  • 미궁에 빠진 경제, 캐세라 세라?

    • 김동원
    • 전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 2020년 11월 15일
      집값이 다시 치솟고 있다. 한국감정원 종합주택매매지수에 따르면 10월 서울은 0.18%, 수도권은 0.30%, 지방권은 0.34%, 5대광역시는 0.55% 상승했다. 주간(11…
  • 2020 미국의 선택 ⑤ 미중관계

    • 정재흥
    • 세종연구소 선임연구위원
    • 2020년 11월 15일
      이 글은 세종연구소가 발간하는 [세종논평 No.2020-28](11.1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지난 11월 7일 미국의 제46대 대통령으로 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