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건청 시인의 문학산책 <40>소리에 대하여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4월01일 16시30분
  • 최종수정 2023년02월24일 13시07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솔바람 소리를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골짜기를 넘어온 바람이 다른 골짜기를 휘넘을 때 솔잎 사이사이에서 나는 소리가 솔바람 소리일 것이다. 대나무 숲을 지나는 바람이 대나무 잎을 흔들 때 나는 대바람 소리도 경이로운 느낌을 준다. 그래서 나는 솔바람 소리만이 아니라 대바람 소리도 좋아한다.

 

어릴 적 겨울밤 문풍지 우는 신비로운 소리를 가물가물 잠 속에 빠져들며 듣던 시절이 그립다. 밤 한 시나 두 시쯤 무서운 꿈 때문에 깨어 일어나 바깥으로 귀를 모두고 숨을 죽이면 문풍지가 우-웅 우-웅 우는 것이었다. 그런 밤을 지내고 창문을 열면 천지가 하얗게 변해 있었다. 눈은 간밤의 바람 소리를 따라 문밖에까지 찾아와 소복하게 쌓이는 것이었다. 

어릴 적 우리는 그래서 미닫이를 열고 소리치며 밖으로 달려 나가곤 했던 것이다. 그리고 간밤의 문풍지 소리가 눈을 불러오는 우편배달부일 것이라고도 생각하곤 했었다.

 

솔바람 소리도 그렇고 대바람 소리도 그렇다. 그리고 문풍지 소리도, 자연이 우리에게 건네주는 음악 같은 것이라 생각하곤 했었다.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든 소리가 아닌, 그야말로 자연이 스스로의 울림을 통해 만들어낸 청명한 음악 같은 것이었다.

그것들이 자연이 울려 내는 소리인 까닭에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게 마련이었고, 자연 그대로의 의미까지를 담고 있게 마련이었다. 그때 아이들은 따로 음악 교과서를 지니지 않아도 되었고 음악 선생님이 필요하지도 않았다. 그래도 아이들은 하늘을 노래할 줄 알았고 별을 노래할 줄 알았다. 그때의 어린이들은 저무는 황혼의 빛깔이 아름다움인 줄 알았고 산을 바라보며 대화를 나누는 법도 알았다. 그들은 자연의 오묘한 소리를 이해할 줄 알았고 자연과 대화를 나누는 법도 알았던 것이었다. 

 

자연이 내는 소리들은 하나같이 지순한 의미를 지닌 것이었기 때문에 그것이 지닌 의미를 경계심으로 접할 필요가 없었다. 자연은 우리를 속이지도 골탕 먹이지도 않는 것이어 모든 소리를 순정으로 접할 수 있었다. 그야말로 소리의 천국이요 소리의 햇살이었던 것이다. 그 속에서 행복하였고 그 속에서 풍족하였다. 그 속에서 유유자적하면서 삶의 지혜를 배우고 그 속에서 삶을 영위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소리의 세계를 잃어버리게 된 것은 무슨 연유에서인가. 왜 우리는 이 청명한 소리의 세계가 아니라 시끄러운 소음의 세계로 떨어져 버리게 된 것일까. 아무리 주변을 살펴봐도 조화로운 소리, 허심탄회하고 절대무욕을 보여주는 소리는 없는 것 같다.

 

우리의 귀는 질주하는 자동차의 소음소리, 호루라기 소리, 고함소리에 찌들어 있다. 시도 때도 없이 왕왕거리는 라디오 소리, 텔레비전 소리…이런 것들이 우리의 귀를 멀게 하고 가슴을 멀게 만든다.

 

우리는 지금 방대한 소리의 공해 속에 던져져 있다.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소리의 무잡스러움이여. 작곡가가 오선지에 적어놓은 악보를 따라 울려내는 악기 소리도 가을 밤 풀섶의 풀벌레들이 울려내는 소리의 오묘함에 도달하기 어렵다. 가을밤을 가득가득 채우면서 우는 벌레들의 오묘한 교향에 어찌 비견할 수 있을 것인가.

 

그렇다면 우리의 귀를 즐겁게 하고 아름다움을 보여주던 솔바람 소리, 대바람 소리나 문풍지 소리는 모두 어디로 사라져갔단 말인가. 바람은 아직도 변함없이 불고 소나무도 대나무도 변함이 없다. 창호지로 멋을 낸 한식집을 구경하기 힘든 것은 사실이니 문풍지 소리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소나무는 그 자리에서 솔바람 소리를 울려내고 있을 것이고 대나무 역시 대바람 소리를 내고 있을 것이 아니겠는가 말이다.

 

그러고 보면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된 것은 자연의 탓이 아니요, 인간의 탓이 아닌가 한다. 사람의 귀가 무디어지고, 사람의 가슴이 무디어졌기 때문에 지순한 자연의 소리와 그 아름다움을 잃어버리게 된 것일게다. 

 

이제 아름다운 소리는 아름다운 소리를 주의 깊게 살펴 들으려는 마음을 지닌 사람만이 겨우 들을 수 있는 시대가 되어버린 것인가. 아름다운 가슴을 지닌 사람, 가장 지순한 눈망울을 지닌 사람이라야 아름다움의 실체와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앙드레 지드의 소설 ‘전원고향악’에서 눈먼 소녀가 소리의 아름다움을 본질에서부터 발견하기 시작한 것은 그가 지닌 순진무구한 심성 때문이며, 그가 순진무구한 심성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눈이 닫혀있었다는 사실에서 연유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눈이 멀어버린 소녀는 혼돈의 세상을 볼수 없게 된 대신 마음의 눈으로 보면서 세상 본질과 소통하는 마음의 눈을 뜨게 되었던 것이었다. 

 

불후의 심포니 합창교향곡을 작곡했을 때 베토벤은 거의 완전히 청력을 상실하고 있었다고 한다.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귀의 능력을 완전히 잃어버린 상태에서 베토벤은 가장 위대하고 오묘하면서도 장엄함까지 융합된 이 위대한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앙드레 지드가 그의 소설 속에서 눈을 잃어버림으로써 순수본질의 궁극을 발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면, 베토벤은 귀를 잃어버림으로써 가장 위대한 소리의 교향곡을 창조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나는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참으로 아름다운 소리의 핵심, 소리의 본질을 가장 순수한 마음으로 만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가장 순수한 소리의 아름다움을 만날 수 있는 사람은 삶의 영욕에서 찌들지 않고 가장 고운 마음, 가장 순수한 정신을 지닌 사람일 것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너무 많이 듣고, 너무 많이 보고, 너무 많이 말을 하면서 순수함의 세계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아름다움의 세계로부터도 멀어져가고 있는 것 아닌가?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가장 아름다운 정신과 마음을 지닌 사람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보다 많은 침묵을 마음속에 거느리면서 정신과 마음을 비워가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맑은 소리, 고운 소리를 듣고 싶다.

 

<ifsPOST>

1
  • 기사입력 2023년04월01일 16시30분
  • 최종수정 2023년02월24일 13시0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