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각국 온난화 가스 삭감 계획, ‘파리 협정’에 훨씬 미달”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UN 기후변화대응기구(FCCC;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가 25일 발표한 보고서 “온실 가스 공보(Greenhouse Gas Bulletin)”에 따르면, 현 단계에서 각국이 2030년까지 온난화 가스(이산화탄소; CO2) 배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며 추진하고 있는 계획으로는 온실 가스 배출량이 2010년 대비 1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기상기구(WMO)도 같은 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작년에 전세계 온실 가스 농도는 Covid-19 사태로 인한 지역 봉쇄 조치로 일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10년 평균보다 빠른 증가율로, 기록적 수준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표된 유엔 FCCC 평가보고서는, 기후 변화 국제 협약인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에 따라 각국이 제출한 ‘2030년까지 온난화 가스 배출 삭감 계획’을 집계한 것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는 31일 스코틀랜드 글라스고(Glasgow)에서 개막될 ‘COP26’ 총회에서 각국 지도자들 및 과학자들이 온난화 가스 배출 목표를 현행보다 훨씬 높여서 재설정하는 방향으로 논의할 바탕을 제공하게 된다.
《참고》 * 『파리 협약(Paris Agreement)』;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전세계 약 200개국이 모여 인류 최초로 지구 온난화 원인인 ‘온실 가스’ 배출 삭감을 목표로 설정하는 단일 협약에 합의한 국제 조약으로, 2016년 11월 4일 부로 발효됨 * ‘파리 협약’의 주요 합의 내용; ① 지구 기온 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수준에서 2.0도C 이하로 억제, ② 2050~2100년에 인간의 온실 가스 배출을 지구상 초목, 토양, 해양이 자연 흡수 가능한 수준(‘Net Zero’)으로 억제, ③ 각국은 자체 배출 목표를 설정, 매 5년마다 목표를 상향 조정할 것, ④ 부유국은 빈곤국이 재생 가능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후 금융(climate finance)’을 제공, 등 * ‘COP26’(제26차UN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 ‘파리 협정’에 참여한 당사국들이 모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각국의 계획 목표를 제시하며 공동 대응 방안을 협의(Conference Of Parties). 이번 글라스고(Glasgow) 총회는 26번째로 각국 지도자들을 위시한 관계자 2만5천명이 모여 협의를 진행하고, 마지막에는 전세계 기후 변화 대응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선언문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UN 전문기관인 세계기상기구(WMO)와 그 산하기관인 UN 환경계획(UNEP)에 의해 조직된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로서, 주로, 기후 변화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유엔 기후변화기본협약(UNFCCC)의 실행에 대한 평가보고서를 발행하는 역할 수행 |
■ UN 보고서 “2030년 온난화 가스 배출량, 2010년보다 16% 증가”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에서는 기본적으로 지구 기온 상승폭을 18세기 ‘산업혁명’ 이전 수준에서 2.0도C 미만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하되, 가능하면 1.5도C 이하로 억제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런 목표를 설정한 것은 현재대로라면 금세기 말에는 지구 기온이 2.7도C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 기초한 것이다.
한편,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은, 지구 기온 상승폭을 2.0도C 미만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30년 시점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2010년 대비 25% 삭감해야 하고, 1.5도C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동 배출량을 45% 삭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현 단계에서 ‘파리 협정’에서 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기대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 보고서는, ‘파리 협정’에 서명한 전세계 192개국이 추진 중인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 계획을 집계한 것이고, 이번에 발표한 것은 새로 목표를 제출하거나, 갱신한 143개국의 계획을 집계한 결과다. UN 관리들에 따르면, 지금 더욱 우려되는 것은 지금까지 각국이 제출한 온실 가스 배출 삭감 약속을 집계한 결과, 2030년 배출량은 2010년 대비 16% 증가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런 추세로는, 조속히 전환을 하지 않으면 금세기 말까지 지구 온도가 2.7도C 상승할 것으로 추산되는 것이다.
IPCC 사무국에 따르면, 미국, 유럽 등을 포함한 선진국들은 종전 삭감 계획을 크게 상향 조정한 새로운 목표를 제출하거나 갱신한 반면, 중국, 인도 등은 종전 계획 목표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현재로서는 중국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정점을 찍는다는 계획을 기본 시나리오로 하고 있고, 인도는 GDP 당 배출량을 2005년 대비 33%~35% 삭감할 의향을 시사하고 있다. 에스피노사(Patricia Espinosa) 사무국장은 관련 성명에서, 아직 신규 목표를 제출하지 않은 나라들은 조속히 새로운 계획을 제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참고로, 2018년 IEA 데이터를 기초로 日經(Nikkei)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주요국 에너지 생산에 따른 CO2 배출량 비중은, 배출량 총계 335억톤 가운데, 비중이 높은 순서로, 중국 28.4%, 미국 14.7%, 인도 6.9%, 러시아 4.7%, 기타 G20 국가들 6.5%, 일본 3.2%, 독일 2.1%, 한국 1.8%, 인도네시아 1.6% 등이다. G7 국가들의 비중은 23.6%를 차지하고 있고, G20 국가들 비중은 80.5%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국제에너지협회(IEA)에 따르면, 중국은 지금 계획대로 간다면 2030년 배출량이 2020년 수준과 거의 변함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 온난화 가스 배출량의 60% 정도를 개도국들이 차지하는 상황에서, 주요 온난화 가스 배출국인 중국 및 인도가 협조하지 않으면 ‘파리 협정’ 목표는 달성할 수가 없다. 이런 어려운 상황 하에서, 31일부터 스코틀랜드 글라스고(Glasgow)에서 ‘COP26(제26차 UN기후변화협약당사국회의)’ 총회가 개최된다. 이 기회에, 선진국들은 중국, 인도 등 신흥국들에게 온난화 가스 배출 삭감 목표를 상향 조정하도록 압박하는 것이다.
■ “『파리 협정』 목표에 훨씬 미달”, COP26 총회 앞두고 우려 고조
이번 ‘COP26’ 총회에서 의장을 맡을 샤마(Alok Sharma)씨는 성명에서 각국은 보다 과감한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각국의 현 계획 상 목표 수준은 ‘진전은 있으나 충분한 것은 못된다’ 고 평가하면서, 더욱 과감한 목표 설정을 촉구했다. 특히, 이번 글라스고(Glasgow) COP26 회담에서는 온난화 가스 배출량이 많은 석탄 화력 발전을 축소할 것이 주요 의제의 하나로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여, EU 미셀(Charles Michel) 의장은 지난 15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전화 협의를 가지고, ‘COP26’ 회담을 앞두고 더욱 과감한 자세를 가질 것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진다. EU 고위 관리에 따르면, 미셀(Michel) 의장은 시(習) 주석에게 2030년 목표를 더욱 강화할 것과, 206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라는 기존 목표를 앞당겨 달성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중국은 총 발전(發電)의 60%를 석탄을 사용한 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고, 인도는 70%를 의존하고 있다.
로이터(Reuters) 통신은 이번에 공표된 UN 보고서는 세계 각국 정부가 향후 배출 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나, 인류에 지속적으로 재앙을 불러올 기상 이변을 막아내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 보고서는 며칠 후 열릴 ‘COP26’에서 현재 각국이 취하고 있는 행동들과 ‘파리 협정’의 ‘1.5도C’ 목표 달성에 필요한 행동 간 격차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통신은, ‘기후 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 UNFCCC(UN Framework Convention Climate Change)’ 에스피노사(Espinosa) 사무총장의 “기온 상승 억제 목표를 초과하는 경우, 전세계가 불안정해지고 끝없는 고통에 시달리게 될 것이고, 특히, 대기 중에 온실 가스 배출 억제를 소홀히 하는 나라들은 더욱 큰 재앙에 직면할 것” 이라는 발언을 인용해, 각국의 보다 과감한 행동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지금 과학자들이 행동해야 한다고 말하는 수준의 근처에도 오지 않았다” 고 경고했다.
UN FCCC는 지난 한 달 동안에 많은 ‘파리 협정’ 서명국들이 자국의 새로운 기후 약속을 제출했으나, 제출한 대부분 국가들은 전세계 배출량의 아주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라들인 반면, 사우디아라비아 등 상대적으로 대량 배출국들은 향후 10년 동안 조금도 달라지지 않을 자세라고 밝혔다. 온실 가스 배출량이 2위, 3위인 EU, 미국은 향후 10년 동안 새로운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따라서, 1위 배출국인 중국 및 인도는 더욱 급격한 감축 목표 설정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동 통신은, 오는 31일 개막되는 COP26 총회에서 각국 지도자들은 ‘파리 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 각국이 취해야 할 행동과 환경 오염 가스 대량 배출 국가들의 충분한 약속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상 과학자들은 지구 기온 상승을 1.5도C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온실 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50년까지 ‘제로(zero)’로 억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BBC “일부 국가들, 배출 목표 권고 낮추기 위해 로비 활동”
이런 와중에, 영국 BBC 방송은 최근, 유출된 UN 자료들을 인용해서,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호주 등 일부 국가들은 화석(化石) 연료 사용을 조속히 철폐할 필요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UN IPCC 과학자들에게 요청서를 제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일부 부유국들은 빈곤국들에 ‘그린(green)’ 기술 이전을 위해 경제적 부담을 떠안는 것에 의문을 가지고 있다며, 이런 ‘로비’ 활동은 오는 11월 개최되는 글라스고(Glasgow) COP26 총회 결과에 회의(懷疑)를 불러오고 있다고 전했다.
BBC는, 일부 국가들이 이번 글라스고(Glasgow) COP26 총회에서 기후 변화 억제 및 ‘파리 협정’의 지구 온난화 억제 목표치 ‘1.5도C 이하’ 달성을 위해 UN이 권고할지도 모르는 ‘더욱 과감한 행동’을 배척하기 위한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런 의견서 제출을 통한 로비 활동은 각국 정부, 기업 등 이해관계 그룹들이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적 증거를 취합하고 있는 과학자들을 상대로 진행되고 있고, 현재까지 32,000건이 제출됐다. 이들 과학자들이 작성하는 ‘평가보고서’는 COP26 총회에서 각국이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취할 행동들을 논의할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들 국가들이 제출한 의견들을 주제별로 분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석 연료 사용과 관련해서, 호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인도 등 주로 화석 연료를 대량으로 생산하거나 소비하고 있는 나라들이 제출하는 것으로, 이번 보고서에서 화석 연료 사용 감축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긴급하게, 가속적으로’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문구를 빼도록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에,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포착해서 지하에 영구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 개발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는 입장도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육류(肉類) 소비 감축과 관련해서, IPCC 과학자들이 마련한 평가보고서 초안에 실린 내용 중에 온실 가스 배출이 많은 서양식 식단을 식물성 식품 위주로 전환하면 이와 관련된 온실 가스 배출을 50%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육류 및 사료를 생산하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은, 이러한 과학자들의 평가에 대해 ‘부정확한 것’ 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셋째; 빈곤국들에 대한 재정 지원과 관련해서, 스위스 등은 의견서 제출을 통해 평가보고서 초안에 개도국들은 온실 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부유국들의 재정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수정하도록 요구하는 견해를 제출하고 있다. 이와 관련, 2009년 코펜하겐(Copenhagen) 총회에서 선진국들이 2020년까지 개도국들에게 연간 1,000억달러씩 지원한다고 합의한 바 있으나, 아직 실현되지 않고 있다.
넷째; 원전(原電) 전환 문제에 대해, 동유럽 국가들을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이번 평가보고서에 UN이 설정한 기후 변화 대응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원자력 발전이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인도는 동 평가보고서 초안의 거의 모든 장(章)에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편견(bias)이 들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나아가, 일부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원전 기술은 정치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는 ‘확립된 기술’ 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WMO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어(No time to lose)” 강력 호소
스위스 제네바(Geneva)에 본부가 있는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탈라스(Petteri Taalas) 의장은, 최근 발행한 온실 가스 관련 회보 ‘Greenhouse Gas Bulletin’에서, 글라스고(Glasgow) COP26 총회를 앞두고, 기후 변화 협의에 관한 ‘놀라운 과학적 메시지(stark, scientific message)’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온실 가스 농도가 현재 속도대로 증가한다면 지구 온도는 금세기 말까지 ‘파리 협정’ 상의 목표인 “산업혁명 이전 수준 대비 1.5도C~2.0도C 상승” 수준을 훨씬 넘어설 것이고, “우리는 지금 궤도를 훨씬 벗어났다” 고 주장했다.
그는 2020년 현재, 인간 활동이 자연적 지구 환경에 불균형을 초래하기 시작했던 1750년대 산업혁명 이전 수준에 비해, 지구상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농도는 149%, 메탄(methane)가스는 262%, 질소산화물(nitrous oxide)은 123%에 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WMO는 지금 코로나 사태에 따른 경제 침체로 온난화 가스 배출이 일시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음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게다가, 이산화탄소 수명이 길어서, ‘Net Zero’가 달성된 뒤에도 대기 중에 수 십년은 더 남아있게 되고, 기온 상승 및 극한적 기상 이변은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탈라스(Taalas) 의장은 가장 우려할 상황 악화의 극명한 사례는, 종전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소위 ‘탄소 싱크’로 불렸던 아마존(Amazon) 지역 우림 지역이 사라지고 있고, 오히려 이산화탄소 배출 원천이 되어가고 있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바로 인간의 환경 파괴로 인한 기후 변화에 따라 습도가 낮아지고 강우량이 적어지고 있어 숲이 파괴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WMO 회보는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절반이 대기 중에 남고, 나머지 절반은 해양 및 지구 생태계에 의해 흡수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구나 해양의 배출 가스 흡수 능력은 장래의 기온 상승을 막아내는 데 효율적이지 않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따라서, 이번에 열리는 COP26 총회에서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앞당기는 보다 적극적인 방안에 합의하고 즉각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WMO 관리는 “인류는 온실 가스 배출 삭감 약속을 행동으로 옮겨야 하고, 산업, 에너지, 교통 수단 등 모든 생활 방법을 재검토할 시점” 이라고 호소했다.
특히, 이산화탄소는 가장 중대한 온난화 가스라고 전제하고,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13.2 ppm(parts per million)으로, 특히, 2020년 동안에는 Covid-19 사태에 따른 지역 봉쇄로 화석 연료 사용이 줄어 이산화탄소 배출이 5.6%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10년 간 평균을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전세계는 지난 2015년에 이미 우리 일상 생활과 웰빙, 지구 상태, 후손들의 장래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주는 수준인 400 ppm 수준을 상회했다고 강조했다.
WMO 전문가들의 추산으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은 대부분이 석유, 석탄, 가스 등 화석 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에 따른 배출은 지구 온난화의 2/3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은 인류는 지금 경제적으로 허락하는 최대한의, 그리고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변화를 실천할 때라고 역설했다. 탈라스(Taalas) 의장은 “이제 (인류에게는 보다 과감한 조치를)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There is no time to lose)”며 절박한 상황을 호소했다.
■ “최대 관건은 ‘화석 연료 종식’ 여부, 인류는 ‘심각한 중독’ 상태”
한편, 블룸버그 통신은 최근 기후 변화 관련 분석 보도에서, 각국 지도자들이 글라스고(Glasgow) COP26 총회에 임하는 최대 관심 사안은 ‘파리 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 가장 더러운 연료인 화석(化石) 연료의 종식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간, 세계 각국은 화석 연료 사용 억제 및 감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고, 일부 상당한 효과를 보아 2015년 이후 신규 발전 시설 중 70%가 줄었으나, “인류는 아직도 이 ‘죽음의 중독(deadly addiction)’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고 지적했다.
중국 시진핑 주석은 신규 석탄 사용 발전소를 짓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고, 독일도 향후 10년 내에 석탄 사용을 끝낼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 외에 40여개국이 새로운 석탄을 사용하는 발전 중단을 약속했다. 그럼에도, 인류는 아직 석탄 사용에 깊이 의존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석탄을 사용하는 수단이 전세계 발전 용량에서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신규 석탄 발전 시설 건설도 이어지고 있다. 온실 가스 배출도 2022년에 절정을 보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IEA)
이를 감안해서, 관련 기구(Carbon Brief)는 ‘파리 협정’ 목표인 ‘지구 온난화 1.5도C’ 달성을 위해서는 석탄, 석유, 가스 사용에서 오는 온난화 가스 배출을 현행보다 두 배 가속해서 감축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9년~2030년 기간 중 석탄 사용에 따른 온실 가스 배출을 79% 감축해야 한다는 시산이다. 그럼에도, 최근 석탄 가격 폭등으로 채굴자들의 생산 의욕을 부추길 위험도 커진다.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중국, 인도를 포함한 동부 지역 국가들의 석탄 사용 증가는 미국, EU를 포함한 서부 지역 국가들의 사용 감축 량을 압도하고 있다. 석탄을 사용한 에너지 개발로 산업혁명을 일으킨 본거지 영국은 작년에 67일 간 연료 사용을 중단했고, 스페인도 2020년 한 해 동안에 15개 석탄 발전 시설 중 7개를 폐쇄했다. 유럽 국가들은 2030년까지 석탄 발전 시설의 절반을 폐쇄할 계획이다. 반면, 아시아 국가들은 현재 600개 석탄 사용 발전 시설을 계획 중이고, 중국이 건설 계획 중인 석탄 발전 시설만도 독일의 현존 석탄 발전 시설의 6배가 넘는다.
한편, 석탄 사용을 줄이고 탈(脫)탄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체할 에너지 공급원으로 재생(再生)가능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를 늘려, 화석 연료 감소분을 충당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화석 연료 사용만을 급격히 줄이면 에너지 위기를 불러올 위험성도 크다. 지금 중국 전역에서 전력난(難)이 이어지는 것은 극명한 사례다. 미국 캘리포니아州는 연내 폐쇄하려던 화력발전소를 2023년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2045년까지 탈(脫)탄소 실현을 목표로 폐쇄할 계획이었으나, 태양광 발전이 떨어지는 저녁 시간 전기 공급 문제로 연장을 반복하는 실정이다.
영국 BP社 시산에 따르면, 2015년 ‘파리 협정’에서 설정한 “지구 온난화를 산업혁명 이전에서 1.5도C로 억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온난화 가스 배출을 실질 제로(Net Zero)로 해야 하나, 이를 위해서는 전세계 에너지 구성에서 재생 에너지 비율을 현 15%에서 80% 가까이로 끌어올려야 한다. 그러나, 재생 에너지 확충을 위한 투자는 태부족 상태인 것이다. 세계 최고 권위 에너지 연구기관인 노르웨이 Rystad Energy社는 ‘Net Zero(이산화탄소)’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10년간 투자 소요액은 약 16조4,000억 달러로, 과거 10년간 투자액의 4배에 이른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과거 10년 간 화석 연료 투자 금액을 상회한다.
그럼에도, 화석 연료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급감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앞서 소개한 영국 BP社는 현 추세대로 유전 개발을 단념한다면 석유 생산량은 연율 4% 페이스로 감소해서 현재 하루 1억 배럴 수준에서 2050년에는 2,500만 배럴 수준으로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문제는 에너지 사용 구조 전환 기간 중 에너지 부족 상황을 어떻게 메울 것인가 하는 것이다. 특히, 2030~40년대에는 최대 하루 1,800만 배럴로 감소해 수요의 1/4도 채우지 못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비록 각국이 각고의 노력으로 2050년에 ‘Net Zero’를 달성한다고 해도, 석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개발 투자는 계속할 필요가 있다는 계산이 된다.
이와 관련해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화석 연료 및 저(低)탄소 연료” 양방의 공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에너지 안전 보장을 위해 불가결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현 시기는 역사적인 에너지 전환기에 해당하는 단계이고, 이러한 전환기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지 않으면 전력 및 에너지 공급 위기가 빈발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현실적인 전망이 대세다.
■ 맥킨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COP26에서 명심할 7 가지 추세”
한편,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McKinsey & Company)는 최근 논설에서 오는 31일부터 2주 간 개최될 글라스고(Glasgow) COP26 총회에 즈음해서, 전세계의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발전을 위해 유념해야 할 ‘7 가지 핵심 추세들’을 제시했다. 동 社는 이번 총회 기간 중 ‘탄소 중립(Net Zero)’ 전략을 위시해서, 그린 비즈니스 구축, 지속가능한 투자 전략 등에 관련한 세션들을 주관할 예정으로 있다.
① 그린 비용의 하락(falling green costs); 최근 각국의 기술 개발 진전으로, 풍력, 태양광, 수력 등 비화석(非化石) 에너지원의 이용 비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이러한 에너지원의 활용도도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점
② 탄소 가치 평가(carbon valuation); 탄소 배출 시장을 통해 각국 기업들이 비지니스 포트폴리오 수정, 온난화 가스 배출 감축, 새로운 비즈니스 진입 등, 기업 활동에 있어서 탈(脫) 탄소 개념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추세
③ 기후 금융(climate finance); 많은 국가 혹은 기업 차원에서, ‘Net-Zero’ 목표 혹은 다른 과학적으로 설정된 목표 달성을 위해 야심 찬 기후 플랜을 시작하거나 이런 플랜에 대한 공헌을 감안해서 금융을 결정할 것으로 기대
④ 자연 보전(nature conservation); 최근, 많은 기후 변화와 관련한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이 점차적으로 기후 및 생물 다양성 위기를 실감하기 시작하고 있어, 이러한 과제들에 공동으로 대처할 필요성을 수용하는 추세
⑤ 탈(脫)탄소화에 따른 난제들(Decarbonizing hard-to-abate sectors); 현 시점에서, ‘Net-Zero’ 목표 달성 등, 수많은 기후 변화 과제들 중 단 한 가지 과제만을 해결할 수가 없는 점을 감안, 이에 대한 포괄적 해결 방도 모색
⑥ 독일의 전환 사례(Germany’s transition); 지난 여름 유럽 최대 경제국이자 최대 수출국인 독일이 2045년까지 기후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새로 제정한 ‘기후보호법(Climate Protection Act)’ 시범 사례에 대한 참고 및 논의
⑦ 기후 적응 문제(climate adaptation); 각국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후 변화에 따른 물리적 리스크가 점증하는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이런 리스크를 여하히 관리하느냐 하는 과제에 대한 논의
맥킨지(McKinsey)는, 이번 글라스고(Glasgow) COP26 회담에서 이러한 다양한 과제 및 리스크 요인들을 유념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보다 넓게는 인류가 생존하는 지구촌 전반에 미치는 잠재적 충격에 대해 공동 대응할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지금 인류가 직면한 Covid-19로 인한 엄청난 재앙, 그리고 날로 증가하는 물리적 기후 재앙 체험 등으로, 기후 적응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주고 있는 점은 역설적으로 ‘희망적인’ 움직임이라고 지적한다.
이제, 각국 정부, 기업 및 개별 주체들은, 갈수록 심각한 현실 문제로 다가오는 기후 변화에 대한 입장을 ‘먼 훗날이 아니라, 당장 닥치는 당면 과제’ 라는 현실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번 COP26 총회에 임하는 각국 지도자들, 기업 및 활동가들은 물론, 모든 지구촌 구성원들은 이제 기후 변화 대응은 양보하거나 미룰 수도 없는, 누구나 능동적으로 해법을 모색해야 할 인류 공통의 과제로 삼아 장기적 안목에서 보조를 맞추면서 실질적으로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이 부득이 석탄 사용 발전(發電)을 억제한 뒤에 겪고 있는 치명적인 전력난에서 보듯이, 한 나라의 입장에서는, 혹시 욕심을 부려 공동으로 합의되는 보조(步調)를 월등히 앞서려고 하면 감당하기 어려운 과도한 부담을 떠안게 될 것임은 명심할 일이다. 그렇다고, 혹시, 지나치게 뒤쳐져 머뭇거리다 보면 국가 경쟁력의 퇴락을 불러와 인류의 숙명적 공동 노력에 기여 보비할 기회를 잃고 글로벌 대오에서 탈락될 위험도 있는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한 나라의 지도자는 명석한 판단과 현명한 행동만이 국익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할 중차대한 시점이라고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