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상업용부동산(CRE) 시장 환경 변화와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11월25일 17시01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25일 16시18분

작성자

  • 신용상
  •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글로벌 상업용부동산(CRE)시장 급격한 조정국면에 진입하면서 국내 기관의 관련 부동산 해외투자도 미회수(손실)위험에 직면하고 있음. 특히 국내 해외 부동산투자는 시장침체의 폭 큰 미국 및 유럽지역의 오피스의 투자 비중 높은 상황어서 향후 손실위험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다만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을 갖추고 있는 대형 증권사와 보험사 위주로 관련 투자가 루어졌고, 들 금융기관들의 자기자본 대비 투자 비중 높지 않아 대형 부실나 시장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코로나 팬데믹 후 글로벌 상업용부동산(commercial real estate; 하 CRE)1) 시장은 오피스시장을 중심으로 커다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


- 최근 McKinsey Global Institute(2023.7)2)는 글로벌 차원의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후 세계 중요 핵심도시(super star city)를 중심으로 오피스 점유, 주거공간 수요, 소비행태 등에서 구조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함3).

* 미국 및 유럽 초거대도시를 중심으로 ① 팬데믹 후 하브리드 근무 비중 증가와 같은 근무형태의 구조변화로 인한 전통적 업무공간인 사무실(office)에 대한 수요 감소, ② 도심의 사무실 인근 주거보다 교외의 더 큰 주택에 대한 선호 확대, ③ 온라인 쇼핑의 증대, ④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고품질 공간에 대한 선호 증가로 도시내 B급 공간에서 A급 공간으로의 수요 동(flight-to-quality) 등임. 

 

러한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그간의 급속한 가격상승에 대한 고평가 인식, 긴축기조 강화에 따른 자금조달비용 상승, 성장률 둔화 등 거시금융 환경 불확실성 등을 반영하여 큰 폭의 가격조정국면에 직면하고 있으며, 사무실을 중심으로 급격한 거래량 감소와 공실률 상승을 경험하면서 관련 리스크도 본격적으로 현재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미국 부동산시장 정보업체 Green Street 조사 기준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의 CRE 가격은 2023년 5월말 현재 고점었던 2022년 7월말 대비 각각 약 △18% 및 △21% 정도 급락

* (CRE 거래량) 동 기간 중 미국 △56%, 유럽 △63% 각각 감소

* (CRE 공실률, ’23.3월말 기준) 미국 오피스 17.8% 임대용 공동주택 6.4%, 유럽 CRE 전체 8% 수준 

-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 및 유럽지역 CRE 시장의 리스크를 글로벌 금융시장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지목하며 금융불안의 다음 트리거(trigger)가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

* 미국 BOA가 실시한 시장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2023.4월말 기준)에 따르면, 향후 글로벌 신용벤트 발생 위험요인으로 미국 ‧ 유럽 CRE 시장, 미국의 그림자금융, 미국채 신용등급 강등 등의 순으로 지목 

8954d7aba9813ecf9084556e08ebf1ba_1700893 국내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후 해외 CRE 투자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특히 최근 침체 폭 확대되고 있는 미국 및 유럽지역 오피스 부문에 대한 투자집중도가 높아 들 지역 CRE 시장 상황에 따라 증권 및 보험업권의 관련 투자 손실 본격화될 가능성 있음.

 

- 국내기관의 해외 부동산펀드 설정액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인 2013년말 4.9조원에서 2023년 9월말 현재 78.3조원으로 약 10년 만에 16배 정도 급증함.

- 금융감독원 및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국내 해외 부동산 투자는 2022년말 기준으로 지역별로는 미국 ‧ 유럽지역(미국 58%, 유럽 23%), 투자업종별로는 오피스(기타상업용 포함, 증권사 52%, 유럽 60%) 비중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4)

8954d7aba9813ecf9084556e08ebf1ba_1700893 ■ 글로벌 CRE 시장의 환경 변화와 최근 투자 회수지연 사례들을 고려하면, 향후 국내 기관투자자들 직면한 해외 부동산투자 관련 리스크는 ① 가격하락률 큰 특정 지역, 특정 유형의 자산에 대한 높은 투자 비중으로 인한 집중위험, ② 메자닌 ‧ 지분 투자 등 높은 중후순위 비중으로 인한 미회수(손실) 위험, ③ 환경규제 강화 및 우량자산선호(flight-to-quality)로 인해 수요 위축 예상되는 B급 자산 투자 비중 높은 점, ④ 투자만기 대비 짧은 잔여 임차기간으로 인한 공실위험 등으로 요약됨.

 

- 최근 해외 CRE 투자 관련 회수지연 사례의 경우, 펀드 수익률 확보 차원에서 당시 대부분의 투자가 가장 후순위인 지분(equity) 형태로 루어졌으며, 현지 은행에서 선순위 담보대출로 추가 자금을 조달하여 오피스 등 CRE 물건을 매입하는 구조인 것으로 조사됨.

- 또한 관련 펀드 모집 시 건당 투자규모 제약으로 인해 중규모 딜(1,500~4,000억원) 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 바, 는 당시 안정적인 시장 상황 하에서 매력적인 수익률을 제공하였던 대도시 외곽의 B급 오피스에 적정한 가격 수준었음.

- 매입 당시 해외 투자물건의 임차형태를 보면, 잔여임차계약기간 대부분 7~12년 정도로 안정적으로 구성되었으나, 임차인에게 임차만기 2~3년 전에 6~12개월 임대료 페널티를 내고 사전통보하면 중도해지가 가능한 옵션(break option) 있어, 일부 임차인들 재택근무 증가에 따른 유연한 기업구조를 갖고자 하는 차원에서 다수 중도해지옵션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짐. 

- 또한 재무약정(covenant) 상 선순위 담보대출 Default LTV5) 수준 낮게 형성(60~70%)되어 있어 투자물건의 가격하락으로 LTV가 5~10%만 하락해도 중후순위 투자자들 선순위 대출원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상환하거나 임대료 전액을 대출원금 상환을 위해 선순위 대주에게 지급해야 하는 구조가 다수인 것으로 조사됨.

8954d7aba9813ecf9084556e08ebf1ba_1700894

■ 향후 고금리 수준 장기화될 가능성 높아지면서 2024년 후에도 단기 리파낸싱 관련 어려움등으로 투자금 미회수 위험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 해외 CRE 투자의 경우 투자지역, 투자물건(오피스, 호텔, 물류 등), 투자형태(지분형/대출형/임대형), 변제순위(선순위/후순위), 재무약정(covenant) 등에 따라 투자위험의 노출 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투자물건별로 정확한 투자정보와 리스크 파악 선행될 필요

- 부동산 투자의 국경간 거래 확산으로 CRE 시장의 글로벌 동조화(synchronization)가 강화되고 있어, 관련 시장 동향 파악과 국내 기관투자자 투자물건에 대한 정보 집중 및 모니터링 강화 등 선제적 대응 필요

 

■ 다만 관련 투자가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위험 분산 잘 되어 있는 대형 증권사 및 보험사 위주로 투자가 루어졌고, 들 금융기관들의 자기자본 대비 투자 비중 높지 않아 대형 부실나 시장 전반의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8954d7aba9813ecf9084556e08ebf1ba_1700894 <KIF>​

-----------------------------------------------------------------

1) 상업용부동산(CRE)은 사업목적에 따른 유형별로 오피스(office), 임대용 공동주택(multifamily), 소매(retail, 주로 상가), 숙박(주로 hotel 등), 산업(industry, 주로 창고·병원 등)으로 구분함.

2) McKinsey Global Institute(2023), “Empty spaces and hybrid places: The pandemic’s lasting impact on real estate” 참고

3) McKinsey는 러한 구조변화와 인구 구조변화 추세를 반영한 중간 시나리오와 심각 시나리오를 각각 설정하여 2019~2030년 기간 중 글로벌 초거대도시의 오피스 수요가 도시별로 최대 △20%까지 급감하고 CRE 가치가 26~42%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함. 도시별 오피스 수요 감소율은 IT 및 금융 기업 집중된 샌프란시스코가 △20%로 수요 감소율 가장 크고 뉴욕과 뮌헨 각각 △16%, 상하 △14%, 런던 △11%,도쿄 △9% 등의 수요 감소율을 전망함.

4) 최근 해외 CRE 투자금 회수 지연 사례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우 부다페스트, 더블린, 파리 랑데당스 지구, 바르샤바 등 유럽 대도시와 뉴욕 맨하튼 , 샌프란시스코, 오스틴, 피닉스 등 미국 대도시로서 최근 공실률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발생하였는바, 최근 하브리드 근무 비중 크게 높아진 IT 기업 비중 높은 도시인 것 주요 특징임

5) 대출 LTV 갭, 현지 선순위 담보대출 시점의 LTV와 재무약정(covenant) 상 디폴트 LTV 격차가 크지 않아, 투자물건 가격하락으로 디폴트 요건 발생시 지분(euqity) 투자자들은 일정 기간(일반적으로 10영업일) 내에 LTV가 정해진 수준까지 낮아질 수 있도록 대출원금의 일부를 상환하거나 임대료 일부 또는 전부가 지분투자자가 아닌 선순위 대주인 현지은행에 원금 상환목적으로 지급되어야 함. 임대료 지급에도 불구하고 LTV 갭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선순위 대주인 현지은행에게 지분 투자자의 의사와 상관 없 투자물건을 매각할 권리가 부여되는 경우도 가능함.

 

<ifsPOST> 

  글은 한국금융연구원(KIF) 발간한 [금융브리프 32권 22호] (2023.11.24.) ‘포커스’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편집자>​​

 

1
  • 기사입력 2023년11월25일 17시01분
  • 최종수정 2023년11월25일 16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