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태광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 5개
- 게시물
- 116개
1/12 페이지 열람 중
칼럼리스트 게시판 내 결과
-
전 생명공학 연구원장
새창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효소학 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효소학 석사|||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학사
오태광(admin) 2016-12-01 14:52:11
연구위원 소개 게시판 내 결과
-
제11대 생명공학연구원장
새창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효소학박사
오태광(admin) 2023-08-30 10:56:13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7> 신경(Neuron)
새창
생물은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가 모이면 조직이 되고, 조직이 모이면 위, 간, 췌장 등과 같은 기관을 만들어지고, 기능이 있는 기관이 모이면 기관계를 이루고, 결국 기관계의 집합이 인간을 비롯한 동물, 식물과 같은 생물 개체가 된다. 인간은 특정 기능 수행을 함께하는 해부학적 집합체인 생체 기관계(Organ system)로 구성되는데, 현재로는 골격계(Skeletal system), 근육계(Muscular system), 생식계(Reproductive system), 호흡계(Respiratory system), 순환계(Circula…
오태광(tae123) 2025-03-25 16:45: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6> 스마트폰에 의한 스트레스(Smartphone Stress)
새창
스티브 잡스(Steven Paul Jobs)가 2007년 최초로 아이폰을 공개한 후, 스마트폰 사용은 급증하여 전 세계 사용자가 2011년 7.46억 명으로 시작하여, 2017년 44.28억 명, 2020년 58.08억 명(세계 이동통신사업자 협회(GSMA), 2022)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현재는 세계인구의 약 67%가 스마트폰을 사용(스톡앱스(StockApps))하고 있다. 기존 태블릿이나 휴대용 PC를 사용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이나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비율이 3.8%인데 비해, 스마트폰 접속은 현재 79%를 차지하고 있다.엄청난…
오태광(tae123) 2025-03-11 17:1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5> 디지털 스트레스(Digital Stress)
새창
현대인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TV 등의 디지털 하드웨어로 온라인상에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들고, 소식을 공유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활용 시대에 살고 있다. 어쩌면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는 백과사전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으로 연결된 디지털 정보는 24시간 단 1초도 쉬지 않고 자기가 원하는 것은 물론, 전혀 상관도 없는 분야까지 마음대로 접촉할 수 있다. 무작위의 과도한 정보의 홍수(洪水) 시대가 열리면서 접촉…
오태광(tae123) 2025-02-25 17:1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4> 스트레스(Stress)
새창
스트레스(Stress)는 한국어로는 “긴장” 또는 “짜증”이라고 표현하는데, 라틴어인 “Stringer”에서 유래되어 “팽팽하게 죄다”라는 의미이다. 외부환경 변화인 스트레스 요인(Stressor)이란 압력을 받으면, 긴장, 흥분, 각성, 불안, 우울, 초조, 심리적 고통 등과 같은 정신적 반응과 땀 흘림, 숨 가쁨, 식욕 저하, 떨림 등과 같은 신체적 반응을 일어나는 현상이다. 심리적이나 생물학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뇌에서는 급격한 변화를 경계하고자 신경과 호르몬으로 대항하여 일어나는 심신(心身)이 변화…
오태광(tae123) 2025-02-11 17:1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3> 호르몬(Hormone)
새창
호르몬(Hormone)은 “자극한다”란 그리스어인 Hormao에서 유래되었고, 내분비 기관에서 생산되어 혈액을 타고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신진대사, 생식, 수면, 면역, 임신/수유, 모성/부성, 남성/여성의 성적특징 등을 발현하고 조절한다. 또한, 인간이 가지고 있는 내분비계(Endocrine system)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인 호르몬은 신경계와 함께 생체를 안전하게 내외부 환경변화를 최소화하는 항상성(恒常性, Homeostasis)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분비계는 호르몬이란 화학물질을 혈액을 통해서 특정 호르몬 수용체가 있…
오태광(tae123) 2025-01-28 17:1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2> 행복한 사랑 호르몬 (Happy love Hormone)
새창
호르몬은 인체의 신진대사, 생식, 수면, 면역기능, 임신과 수유, 모성애와 부성애, 남성과 여성의 성적 발현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기분까지 조절한다. 사랑, 행복, 기쁨, 성취감과 같은 긍정적인 기분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스트레스(Stress),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조현증(Schizophrenia), 긴장(Tension), 성급함 등도 조절하여 사람이 살아가는 모든 행위와 감정을 조절하고 있다. 인체 호르몬의 숫자는 100가지 이상이 잘 알려져 있고, 이중, 50여 가지가 인체 내에서 주로…
오태광(tae123) 2025-01-16 15:21: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1> 인체 치료용 앤트로봇 (Anthrobots)
새창
인체 내부 장기를 탐험하는 로봇은 1987년에 개봉한 SF 영화 “이너스페이스(InnerSpace)”에서는 사람이 탑승한 잠수정을 세포 크기로 축소하여 인체 내부를 탐험하는 줄거리인데, 이런 이야기는 공상과학 영화나 소설에서는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영화에서 설정한 사람과 잠수정을 함께 아주 작은 세포 크기로 축소하는 기술은 아직, 현재로는 전혀 시도조차 하지 않고, 미래에도 전혀 시도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나노(10억분의 1m) 크기의 로봇을 아주 작은 기계를 만들거나, 생체소재를 조합하여 만드는 방법이 …
오태광(tae123) 2024-12-24 16:00:00 -
오태광의 바이오 산책 <90> 선(善)과 악(惡) 2개 얼굴을 가진 신약 개발 인공지능
새창
컴퓨터는 빠른 수학 계산능력으로 수없이 많은 상황으로부터 가장 적절한 경우의 수를 결정하는 시행착오(Trials and Errors)를 인간보다 훨씬 짧은 시간에 적합한 이상적인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한 수학적 문제 해결 방식만으로 아주 빅데이터로 한꺼번에 다양한 논리로 판단하기에는 컴퓨터도 한계점이 많다. 과학기술 발달은 컴퓨터가 기억할 수 있는 용량이 극대화되었고, 다양한 논리에 대한 엄청난 메모리(Memory) 용량과 아주 빠른 계산이 가능하다. 다양한 빅데이터를 기억/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오태광(tae123) 2024-12-10 16: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