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집 2023 주요 산업 전망> (6) 석유화학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1월17일 10시40분

작성자

  • 조용원
  • 산업연구원 소재·산업환경실 연구위원

메타정보

  • 2

본문

1. 2022년 석유화학산업 주요 이슈

 

  2022년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이슈는 생산능력의 대폭 확대와 역대 최고 수준의 수출실적 달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상반기 국산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은 역대 최고의 실적인 3백억 달러를 달성한 후, 하반기부터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상반기에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이 완화되면서 경기가 회복된 주요 수출국 내 전방산업의 수요가 증가했고 동시에 국내 생산시설 신증설에 따른 공급능력도 확대되어 수출규모가 증가했다. 

 

반면 하반기에는 합성수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시장 내 공급 과잉 문제가 대두되었고, 달러화 강세로 시장 내 수요자들이 구매시점을 연기하면서 제품 단가가 하락하며 수출액 감소로 이어졌다. 수출액 감소 폭에 비해 합성수지와 합성고무 제품의 수출량은 소폭 감소했지만 중국 내 생산설비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국산 기초유분 수출량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2022년 상반기 국내 석유화학제품 생산량도 생산시설 신증설로 인한 공급역량 확충과 제품 스프레드 확대 효과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2분기부터 나프타 가격이 상승하며 제품 스프레드가 손익분기점을 하회하며 석유화학사들이 생산시설 가동률을 하향 조절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하반기 국내 생산은 감소세로 전환하였다.

 

2. 2023년 국내외 여건 변화와 전망

 

가. 국내 여건 변화

 

  2023년에는 국내 주요 수요산업의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소비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며 내수는 소폭 개선될 전망이다.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이 일부 해제되면서 확대된 소비는 국내 석유화학제품 수요 증가로 이어지겠지만, 반도체를 비롯한 수요산업의 감산에 영향을 받아 내수 증가 폭은 크지 않으리라고 전망된다. 2022년 하반기 이후 반도체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되고 금융시장 내 불안정성이 증가하며 국내 건설경기도 악화됨에 따라 관련 석유화학 중간재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2022년까지 국내 석유화학 생산시설 신증설이 완료되어 공급능력은 크게 증가했지만, 제품 스프레드 축소에 따른 가동률 하락으로 생산 증가 폭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동년 하반기부터 국제유가 인상으로 주요 석유화학제품의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모습이다. 특히 4분기부터는 에틸렌 제품 스프레드가 생산의 손익분기점인 톤당 300달러를 밑돌았다. 이로 인해 국내 NCC 업체들은 정기보수 기간을 연장하거나 가동률을 낮춤으로써 공급 규모를 조절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나. 해외 여건 변화

 

  2023년 세계 석유화학시장의 수요는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이 개선되고 있는 반면,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이 증대되며 감소할 우려가 있다. 2022년 하반기부터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은 진정되고 있지만 주요국 정부의 긴축 재정 정책이 추진되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에너지 가격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비용상승에 의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에 통화 긴축 정책에 따라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화학시장 내 수요가 위축되는 모습이다. 한편 2021년까지 코로나19 관련 비대면, 헬스케어, ICT 관련 화학 중간재 수요가 확대된 이후 관련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효과로 인한 최근 수요 감소효과는 확대되어 보일 수 있다. 

 

  석유화학제품 가격의 하락세는 동아시아 시장 내 공급 과잉과 수요 감소로 인해 2023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2022년 말까지 한국, 중국 및 아세안 지역 내 석유화학 생산시설이 신증설되면서 공급 규모가 확대되었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중동 및 미국산 제품의 동아시아향 유입량도 증가하며 공급 과잉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시장 내 수요자들의 구매시점을 연기하는 등 수요도 감소하면서 제품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더불어 국제유가가 상향 안정화되면서 원료인 나프타 가격이 인상되었기 때문에 석유화학제품 스프레드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다. 2023년 전망

 

  2023년 수출량은 소폭 감소하는 반면 큰 폭의 수출 단가 하락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4.2% 줄어들 전망이다. 석유화학 제품 스프레드 축소의 영향이 상반기까지 지속되며 공급량이 감소하고 주요 수출국 전방산업의 업황이 부진해 수출량은 전년 대비 4.2% 감소할 전망이다. 그러나 하반기부터 수요자들의 구매 관망세가 일부 해소되고, 정기보수를 마친 국내 생산시설 가동률도 평년 수준을 유지하며 수출량은 전년 대비 2.4% 증가할 전망이다. 2023년 국산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액 감소는 역대 최고 실적을 거두었던 2022년의 기저효과에 영향을 받은 것이며, 동년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더믹 이전 보다도 높은 수준으로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2022년부터 지속된 국내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석유화학제품 내수 감소세는 2023년 상반기까지도 이어질 전망이다.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반도체와 금융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는 건설산업발 내수 감소가 뚜렷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제성장률이 2% 초반대를 유지하며 석유화학제품 내수도 2023년 하반기부터 소폭 증가(0.6%)하는데 힘입어 2023년 내수는 전년 대비 4.2% 감소할 전망이다.

 

  2023년 국내 석유화학제품 공급역량은 2022년까지 완료된 국내 유화사들과 정유사들의 생산시설 신증설로 대폭 확대될 것이다. 다만 2022년 하반기부터 축소된 주요 석유화학제품 스프레드 수준이 2023년 상반기까지 유지되며 국내 생산설비 가동률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2023년 상반기 국내 생산량은 전년 대비 4.4% 감소할 전망이다. 그러나 하반기부터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화되면서 동아시아 시장 내 과잉 공급이 일부 해소되면서 국내 생산은 전년 대비 증가세(전년 대비 1.5%)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산 석유화학제품 수입은 물량과 단가 측면에서 모두 전년 대비 하락하지만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는 소폭 상승할 전망이다. 국내 전방산업 수요 둔화와 국내 생산 증가의 영향으로 해외산 석유화학제품 수입수요는 전년 대비 감소하여 물량 기준 수입량은 전년 대비 20% 감소할 전망이다. 그러나 2023년부터 중국 석유화학산업의 생산이 정상화되면 생산비 문제로 중국산 수입의존도가 높은 일부 범용제품의 수입량은 증가할 것이다.

<ifsPOST>​ 

2
  • 기사입력 2023년01월17일 10시40분

댓글목록

토토사이트님의 댓글

토토사이트

I came here after searching for to spend my time more efficiently after work. The content is not burdensome and the writing is easy to understand. Thank you so much for being able to spend meaningful time after work. https://totomar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