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치통감이 보여 주는 지도자‧충신‧간신의 귀감들 [16] 진악陈岳(당 학자)의 이연 비판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11월10일 17시01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4

본문

당 고조 이연이 춤추는 호인 안질노에게 산기시랑이라는 중책을 내렸다. 

                                                         上以舞胡安叱奴为散骑侍郎。

예부상서 이강이 간언을 올렸습니다.                            礼部尚书李纲谏曰:

      “ 예부터 악공은 선비와 같이 하지 않으니                  古者乐工不与士齿

        비록 자야나 사양과 같이 현명하더라도                  虽贤如子野、师襄,

        모두 종신토록 직업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皆终身继世不易其业。

        직 북제 말기에 조묘달을 왕으로 책봉하고            唯齐末封曹妙达为王,

        안마구를 개부로 임명한 적이 있는데                       安马驹为开府,

        국가 지도자가 은나라가 망한 거울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有国家者以为殷鉴

        지금 국가가 새로 세워졌으니                              今天下新定,

        의로운 사람으로 공신을 세우고                             建义功臣,

        상을 내리는 것이 편파되지 않아야 하는데                   行赏未遍,

        훌륭한 석학들이 아직 초야에 정체되어있습니다.        高才硕学,犹滞草莱;

        그런데 먼저 춤추는 호인을 발탁하여 5품을 주시어      而先擢舞胡为五品,

        옥소리를 내고 관대를 끌면서 궁궐을 달려대니      使鸣玉曳组,趋翔廊(낭)庙,

        후세에 모범을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非所以规模后世也。”

 

이연이 따르지 않으며 말했다.                                      上不从,曰:

     “ 내 명령이 이미 내려졌으니                                  吾业已授之,

       다시 돌릴 수가 없노라                                       不可追也。”斋   

 

(당말 학자) 진악이 이렇게 평론했다.                             陈岳(당말 학자)论曰:

 

      천명을 받은 군주는 이름을 드러내어 명령을 내리는 것이    受命之主,发号施令,

      자손들에게 법이 되는 것이다.                                   为子孙法;

      하나라로 이치에 합당하지 않으면                               一不中理,

      곧바로 여개(잘못의 단초)가 되는 것이다.                  则为厉阶(잘못의 단초)

      당 고조(이연)이 말하기를                                       今高祖曰:

       “내 명령이 이미 내려졌으니 다시 돌릴 수가 없노라”라 했는데 业已授之,不可追

        정말로 그 것이 옳은 것이면 돌릴 필요가 없지만          苟授之而是,则已;

        내란 명령이 잘못된 것이면                                    授之而非,

        왜 못 고친단 말인가.                                   胡(WHY)不可追欤!

        군자의 도리란                                                君人之道,

        부득불 “명령이 이미 내려졌으니”라는 말을 경계삼아야 할 것이다.“ 

                                                         不得不以 “业已授之” 为诫哉!

               

                                                                  [자치통감 권186]

<ifsPOST>​ 

4
  • 기사입력 2023년11월10일 17시01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