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치공학과 정치경영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8월28일 20시20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7일 20시06분

작성자

메타정보

  • 38

본문

정치공학과 정치경영

 

 정치공학(政治工學, 영어: political engineering, political technology)은 정치의 구조를 공학적으로 다루는 방법론이라는 뜻으로, 본래 구소련에서 사용되던 단어이다. 이는 권력을 유지하고 국민을 통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하는 정치적 수단을 의미한다. 그러나 정치공학이라는 학문이 공식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통계학적인 방법을 써서 정치에 이용하는 등의 행위를 망라하여 정치공학이라는 학문으로 탄생시키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지만 아직 체계화되어 하나의 독립된 학문명을 가지게 되었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미 기존에 정치학이라는 학문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치 방법론의 체계화는 특별히 정치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만들어내기보다는 정치학의 틀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치공학은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 대선을 전후하여 정치권에서 자주 쓰이기 시작한 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유권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되지는 않는 형식적인 것(예를 들면 공통점이 없는 두 당의 합종연횡이라던가 선거제도 변경 등)을 정치인들의 이익을 위해 행하는 행위'라는 부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예를 들어 '정치공학적 단일화'라고 하면 정책적인 공통점이 없는 두 정치인이 단지 선거에 이기기 위해 단일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정치공학이 정치를 수단화하는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개념을 가지고 있다면 이제 이 정치공학을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방법론으로 변화시켜 명실공히 공학적으로 정치를 활용하여 정치의 품질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최근 어느 신문에 등장한 사설을 보자.

“전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메르스 사태’가 어느 정도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국회법 거부권 사태’로 인해 또 다시 정국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국회법 개정안은 위헌이라며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하고 나선 박근혜 대통령, 대통령의 뜻을 존중한다며 개정안을 재의에 부치지 않겠다고 몸을 낮춘 새누리당, 국회를 무시하고 정쟁을 부추기는 대국민 선전포고라며 규탄하고 나선 새정치민주연합, 헌법에 따라 재의 요구를 본회의에 부치겠다는 국회의장, 당·청의 사퇴압박 속에서 대통령에게 죄송하다며 고개 숙인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 국회법 거부권 사태를 둘러싼 복잡다단한 정치공학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정치공학적 표현을 써서 마치 정치가 공학적 차원을 잘못 활용하여 정치문화를 오염시키는 것처럼 생각하는 자체가 문제가 있지만 여태까지 그러한 차원에서 정치공학을 생각해 왔다면 이제 이 정치공학의 품질을 한 단계 높여 명실공히 긍정적, 효과적 정치공학문화를 창조할 수는 없을까? 이에 필자는 정치공학이 아닌 정치경영이란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828202020o0jmx0c670.png
 

원래 공학과 경영의 차이는 공학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순한 물리적, 기계적 방법론을 주로 활용하지만 경영은 목적 달성을 위한 문화적, 정신적, 종합적 접근방법을 사용한다.  예컨대 어떤 제품의 품질을 10% 높이기 위한 목적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공학적 방법, 즉 품질공학에서는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바, 이를테면 다구치방법론 등을 활용한다. 그렇게 되면 그야말로 부분적, 기계적 최적효율성을 달성하는 결과는 가져 오지만 환경변화 또는 상황변화에 따른 조직의 전체적 최적화는 달성하지 못할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경영학적 접근, 즉 품질경영을 활용하게 되면 품질 향상을 위한 문화적, 인체정신적, 효과적 접근체계를 모색하게 되고 특히 공학적 전술이 아닌 경영학적 전략을 활용하게 되어 전체최적화가 가능하게 되고 품질 10% 제고 뿐 아니라 전체 조직문화를 한단계 높이는 적극적 효과달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의 정치 또는 정치문화의 품질이 하위수준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여하히 정치품질을 제고시킬 수 있을까?  여기에 바로 정치품질을 높이기 위한 정치경영학적 접근방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예컨대 정치가 본인이 꿈꾸는 어떤 이상적 사회상이 있고, 그것을 실현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론으로서 정치공학을 활용할 수 있고, 그리고 목표라는게 단순한 '당선', '성공', '출세', '권력'에 불과하다면 그것을 위한 정치공학은 그야말로 흔히 말하는 '공학'에 머물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정치인이라면 정치공학을 능수능란하게 펼치기에 앞서, 국민들에게 자신이 추구하는 사상적 방향성과 이념, 그리고 이상적 사회상에 대해서 설명해야 하고 이후 자신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치공학을 전개해야 한다. 여기에 바로 정치공학이 아닌 정치경영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른바 "탈이념"이라는 가능하지도, 존재하지도 않는 개념 속에서 정치적 이상향을 숨기고 단순히 국민들의 표를 얻기 위해 정치공학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소위 "꾼"이 사용하는 것이 정치공학이라면 표 획득 이전에 정치문화가 살아 숨쉬고 그 속에서 국민의 참된 복지를 찾아 가는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바로 정치경영 영역에 속한다 할 것이다. know-how,  know-what 보다 know-why를 먼저 생각하는 정치문화, 정치전략을 위한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정치경영을 차제에 적극적으로 추천해 보고자 한다. 

  

2015828202030x37u234013.png
 정치경영을 적용하게 되면 먼저 조직(국가일 수도 있다)의 미션과 비전을 제시하고 이와 연계하는 분명한 목적을 설정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장점, 단점, 기회, 위기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이에 맞는 전략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찾아 보아야 하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건전한 정치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소통전략이다. 효과적인 소통이야말로 조직 구성원의 마음을 한데 모으고 또 목적 달성을 한마음으로 이끌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소통이 가장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 떠오르고 있음은 작금이야말로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소통의 필요성이 더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비전과 목적을 공유하고 특히 조직 리더십의 문화적 측면을 한데 모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역시 좋은 소통이다. 이를 무시하여 자칫 목적은 물론 문화마저 그르치는 오류를 우리는 흔히 목격하곤 한다. 정치에서는 특히 소통이 중요하며 소통의 문화를 정치전략과 함께 펼쳐갈 때 진정한 글로벌 최적화가 창조될 것이다. 냉정한 정치공학의 원조격으로 불리는 마키아벨리조차도, 그가 지향했던 공화주의 정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소통철학을 소중히 했다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38
  • 기사입력 2015년08월28일 20시20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7일 20시0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