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 환율은 어떻게 될까 ?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7년01월11일 18시02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44

본문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의 세계경제를 한 마디로 축약한다면 그것은 ‘충격적 불확실성’일 것이다. 오바마 정부 8년의 핵심정책이었던 「오바마 케어」를 일거에 뒤집는 것은 물론 기업의 투자활동에 대하여 거의 협박에 가까운 엄포를 마다하지 않는 행태가 충격적이라는 것이고 앞으로 또 어떤 극단적인 ‘미국주의(Buy from America, Work in America)’ 정책을 요구할지 모른다는 것이 불확실성이다.

 

 

<1> 미국 금리 상승과 달러화 강세 : 엔/달러 130엔 이상도 가능 

 

트럼프 당선이후 금융시장에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미국 금리의 인상과 달러화 강세다. 잘 알려진 바대로 2017년과 그 이후 FOMC는 매년 3-4 차례 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렇게 되면 기준금리는 현재 0.5%-0.75%에서 2019년 말이면 2.75%-3.75% 수준까지 올라간다는 말이다. 이런 예측에 따라 시장에서는 당장 미국 달러가치가 급격히 올라갔다. 달러인덱스(달러의 평균환율)는 2016년 11월 98에서 103으로 뛰었다. 

 

그렇다면 금리가 상승하면 달러화가치는 항상 상승할까? 적어도 1976년 이후 여섯 차례의 미국기준금리 인상 기록을 보면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미국금리가 올랐는데도 오히려 엔화에 대한 달러가치가 떨어진 적이 네 번으로 반대의 경우 두 번보다 더 많았다. 따라서 ‘미국금리 상승=달러가치 상승’로 기계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금리 이외에도 미국달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만 한다. 

 

c79db877d8a6a213e73aaa9e0859cab1_1484125
 

금리 이외의 변수로 달러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미국경제다. 2001년 IT버블의 붕괴나 2007년 미국부동산 버블이 터진 경우 미국 달러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진 것이 좋은 예이다. 트럼프 정부는 공공 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경기부양을 벼르고 있다. 미국 경제성장률 예상치도 전에 없이 높은 편이다.(IMF전망 : 2016년 1.6%->2017년 2.2%). 미국금리 인상과 미국경제 활황이 이어진다면 달러화 또한 강세로 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달러 인덱스의 경우 연간 2-3% 내외의 강세가 예상되나 일본 엔화의 경우에는 그 이상으로 달러에 대해 약세가 될 가능성이 높다. 2017년 미국금리가 예상한대로 세 번에 걸쳐 0.75%p 상승한다면 달러 당 엔화 환율이 130엔을 초과하더라도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다.  

 

 

<2> 2017년 원/달러 환율 전망 : 엔화와 원화의 동조성 속에 달러 당 1250원

 

기본적으로 원 달러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나 보완적으로 외환정책 당국이 개입하면서 미세조정이 된다. 즉, 기본적으로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원 달러 환율이 결정된다는 말이다. 그 중에서도 경상수지와 일본 엔화환율의 움직임이 중요하다.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되면 달러화 공급이 늘어나서 원화 강세가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외화공급)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만큼 자본계정에서의 자본유출(외화수요)가 일어나면 원/달러 환율은 변동이 없을 수도 있다. 실제로 2013년 이후 지난 3년 간 무려 2700억 달러의 누적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달러 당 1000원대에서 1200원대로 오히려 약세가 된 것도 자본유출과 무관하지 않다. 경상수지 흑자라는 사실 하나만으로 원화환율을 강세로 예상하는 것이 옳지 않음을 보여준다. 원/달러 환율의 움직임은 일본 엔화 환율과 밀접한 연동 하에서 변동된다. 엔화가 강세이면 원화도 강세이고 반대로 엔화가 약세이면 원화도 약세인 추세가 뚜렷하다. 

 

물론 환율정책 당국이 적극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한다면 원-엔 동조성은 깨진다. 실제적으로 2005년과 2008년 및 2013년에 환율당국의 정책적 개입으로 원-엔 동조성이 크게 벗어난 적이 있었다. 2005년 당시 엔화는 약세였으나 노무현 정부는 의도적 원화강세정책을 폈고 2013년에도 엔화는 약세였으나 박근혜 정부 하에서 원화는 강세로 유지되었다. 2008년의 경우에는 엔화가 강세였으나 MB정부는 의도적 원화약세 정책으로 동조화가 깨졌었다. 물론 정책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에 대해 미국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도 사실은 편파적인 것이어서 ‘의도적인 절하’에만 목소리를 높일 뿐 ‘의도적인 절상’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재나 압박을 가하지 않고 있다. 

 

하여간 기본적으로 엔화가 달러에 대해 약세이라면 엔화와의 동조성에 따라 원화도 약세일 것은 분명하다. 다만 시장에서의 과도한 원화절하에 대해 환율조작국이라는 누명을 쓰지 않기 위해 정책당국이 안정화개입을 한다면 원화절하의 속도는 크게 축소될 것이다. 예컨대 엔화가 달러에 대해 10% 절하(130엔)된다면 원화는 달러에 대해 5% 정도 절하(1250원) 되는 선에서 절충될 것이다.

      

 

<3> 외환위기의 가능성 ?

    

세간에서는 1997년이나 2008년과 같은 외환위기의 재발 가능성에 대해 크게 우려를 하고 있다. 경제가 장기적으로 침체하는 가운데 수출이 2년 연속 감소했고 가계부채가 폭증하는데다가 정치마저 탄핵정국으로 혼란에 빠져 총체적 위기감이 점증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동남아 외환위기(1997년 위기촉발)나 부동산버블붕괴(2008년 위기촉발)과 같은 외부적인 촉발요인이 없는 한 적어도 1997년이나 2008년과 같은 위기는 거의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 첫째로 수출 감소 추세는 일단 진정되었다. 수출이 다시 증가할 것인지는 두고 봐야하겠지만 더 이상의 감소는 당분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가계부채는 한계가정 중심의 국지적 위기는 불러 올지 몰라도 금융시스템 전반의 위기로는 확대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국지적 채무불이행은 한국은행의 발권력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가 있다. 외환보유액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금융기관의 제2선 외환보유액과 민간보유 외환을 감안하면 급격한 외화유출로 인한 외환위기는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봐야 한다. 위태로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한국이라는 세계 10위 권 경제가 전복되지는 않을 것이란 말이다. 당국의 너무 안이한 자화자찬도 문제이지만 과도한 위기 조장도 아무에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 

44
  • 기사입력 2017년01월11일 18시0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