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에서 바라본 세계

국가의 미래를 향한 첫 걸음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늘에서 와이파이가 내린다면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7년11월17일 16시25분
  • 최종수정 2017년11월17일 16시27분

작성자

메타정보

  • 40

본문

괴짜(Loon) 프로젝트, 프로젝트 룬

“하늘에서 돈이나 뚝 떨어졌으면” 하는 한탄부터 “하늘에서 남자들이 비처럼 내려와”라는 노래가사까지. 영화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에서도 비슷한 상상으로 햄버거 소나기와 아이스크림 눈과 같은 동화적 장면을 그려냈다. 이처럼 우리는 하늘이 원하는 것을 선물해주는 만능 상자이기를 소망해왔다. 

 

때로 무선인터넷이 잘 연결되지 않는 공간에 있을 때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겠다. 

 

하늘에서 와이파이가 내리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괴짜 같은 발상을 실현하기 위해 공유기 풍선을 띠운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구글의 프로젝트 룬(Loon)이다.

 

구글은 왜 괴짜를 자처했나. 

 공유기가 된 15M 대형 풍선이 대류를 타고 곳곳에 인터넷을 보급한다는 것이 주요 아이디어. 구글은 “프로젝트 룬을 통해 전세계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처음에는 괴상한 프로젝트라고 여겨졌지만, 지금은 비행테스트도 성공했고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에 무선 면허 승인까지 받았다. 

 

구글은 괴짜(loon, 룬)라는 이름을 달면서까지 다소 파격적인 실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정말 인터넷을 보급받지 못한 지구의 1/3에게 인터넷을 보급하려는 게 주 목적일까? 물론 정보불평등 해소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여길 수 있겠지만 구글 역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구글이 풍선을 띠운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6471aff31c7e5933aad56c85b1d0c611_1510901
 


광고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인터넷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 지금은 더 이상 확대되고 있지 않다. 때문에 새로운 시장은 아직 인터넷을 보급받지 못한 제3세계국에 있다. 프로젝트 룬 을 통해서 제 3세계국 사람들에게 인터넷을 제공하면 구글은 더 많은 광고 시청자를 확보하게 된다. 특히 새로 인터넷을 접할 사람들이 구글에 친화적일수록 구글은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데이터를 많이 구축한 구글은 광고사업을 보다 정교하게 만들 수 있다. 광고시장에서 구글의 몸집은 점점 비대해지는 것이다. 설령, 프로젝트 룬이 실패하더라도 이 실험은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니다. 구글은 정보불평등을 해결한 영웅 혹은 ‘열린 세상’을 만들어나가는 개척자 이미지를 공고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침략의 평행이론

20세기 제국이 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식민지의 교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식민지에 철도를 놓을 때 ‘문명’과 ‘근대화’라는 명분이 붙었다. ‘시장 확보’ 혹은 ‘값 싼 원료 공급지 획득’이라는 제국의 진짜 목적을 숨기기 위해서였다.  

 

 두 번째 조건은 통신망 설치이다. 통신망은 제국이 식민지를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함과 동시에 제국 간의 역학관계를 결정짓는 국력이기도 했다. 유선 통신망을 확보한 영국이 가장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한 점과 무선 통신망을 확보한 미국이 초강대국의 지위를 얻게 된 것은 통신망의 위력을 보여준다. 

 

 프로젝트 룬은 제국주의의 침략과 유사점이 많다. 불평등 해소, 근대화라는 이름으로 인터넷을 보급하며 시장을 확보한다는 점은 제국주의의 명분과 동일하다. 인터넷 사용자의 정보를 확보하려는 노력은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과 같다. 제국주의 국가에서 구글 제국으로 주체만 바뀌었을 뿐이다. 즉, 땅을 가로지르는 횡단적 침략에서 이제는 하늘의 통신망을 누가 선점하느냐가 관건이 되었다. 

 

 프로젝트 룬이 상용화되면 제 3세계국은 구글 기업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구글에 대항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보와 관련해서 분쟁이 생길 여지는 다분하다. 우리나라도 구글어스에 군사정보표시를 거부하여 구글과 마찰이 있었다. 프로젝트 룬이 상용화될 때 제3세계국은 구글의 요구를 무작정 수용해야 하는 입장이 된다. 마치 식민지가 제국의 무리한 요구에 저항할 수 없었던 것처럼. 

 

풍선이 가져올 풍선 효과

구글은 프로젝트 룬을 통해서 제3세계국 사람들이 교육, 의료,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거라 선전한다. 물론, 인터넷 보급으로 제3세계국 사람들이 문명의 혜택을 얻게 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현대 사회의 필수재인 인터넷을 한 기업이 독점하게 되는 구조는 비정상적인 시장질서를 만들게 된다. 초국적 미디어기업이 협상테이블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 이상 제 3세계국은 종속적 위치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풍선을 누르면 누른 부분은 들어가지만 결국 다른 부분이 튀어나온다. 이처럼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자 다른 문제가 불거지는 것을 ‘풍선효과’라고 한다. 정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wifi 풍선을 띄우는 낭만적인 발상이 제3세계국을 종속시키는 풍선효과를 가져올까 두렵다. ​ 

40
  • 기사입력 2017년11월17일 16시25분
  • 최종수정 2017년11월17일 16시2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