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별기고] 이 시대 성탄의 의미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4년12월24일 12시5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19시09분

작성자

  • 차동엽
  • 인천가톨릭대학교 교수‧미래사목연구소 소장

메타정보

  • 25

본문

이시대성탄의 의미
청탁의 취지에 걸 맞는 글의 성격을 먼저 가늠해 본다. ‘의미’라는 말 자체가 적어도 객관적 내지 보편적 논거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얘기인 셈이니. 충족 요건이 헐렁하지는 않은 듯싶다. 그러기에 글이 다소 학술적인 느낌을 풍길 수도 있겠다. 하지만 술술 읽히기를 바라는 기대만 접는다면, ‘이 시대 성탄의 의미’가 비그리스도인에게도 흥미롭고 유익한 사유(思惟)거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강생(降生)의 대단원에서 본 성탄의 의미 
  무엇이 되었건 그것의 궁극적 의미는 결말에서 온전히 드러난다. 성탄의 의미 역시 마찬가지다. 성탄(聖誕)의 의미가 가장 명료하게 드러난 것은 강생(降生)의 대단원인 십자가상 죽음에서였다. 어떻게 그러한가. 그리스도교의 사정에 밝지 않은 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풀어 말하자면 이렇다. 
  성탄은 다른 말로 강생이라고도 부른다. 성탄이 탄생의 찰나에 초점을 맞춘 용어라고 한다면, 강생은 그것을 기점으로 해서 전개된 예수님의 일생을 가리킨다고 하겠다. 강생은 문자적으로 하느님께서 인간의 육신을 취하여 신적 지위에서 인간적 ‘삶의 자리’로 내려오심을 가리킨다. 그 근본 취지는 인간의 처지, 곧 인간의 한계와 가능성에 ‘눈높이’를 맞춰 동참․연대하려 하심에 있다.   
  이런 맥락에서 강생의 극치는 십자가 죽음이라고 볼 수 있다. 십자가상에서 사형수로서의 억울한 죽음은 인간 존재의 저점(邸店)을 상징한다. 거기서 외친 외마다 절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태 27,46)에서, 우리는 인간에 의해 자행된 불의의 끝을 만날 뿐 아니라 신으로부터 버림받은 자의 절망을 대면하게 된다.
  이처럼 하느님께서 몸소 육신을 입으시고 인간의 저점까지 내려오심은 인간을 온갖 형태의 굴레로부터 구원하시기 위하여 당신 사랑의 저인망으로 밑바닥을 훑기 위함이었다. 곧 가장 낮은 곳에서 비인간적 운명을 살고 있는 인간들을 단 한 명의 예외도 없이 구제하시려는 신적 자비의 발로였다. 이것이 바로 성탄의 궁극적 의미라 하겠다. 
  사도 바오로는 필리피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글에서 이 메시아적 사명을 완수한 그리스도 예수께 다음과 같이 아름다운 예찬을 헌정했다.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들과 같이 되셨습니다. 이렇게 여느 사람처럼 나타나 당신 자신을 낮추시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십자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도 그분을 드높이 올리시고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그분께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예수님의 이름 앞에 하늘과 땅 위와 땅 아래에 있는 자들이 다 무릎을 꿇고 예수 그리스도는 주님이시라고 모두 고백하며 하느님 아버지께 영광을 드리게 하셨습니다”(필리 2,6-11).

 

201412241256554x237x9orx.png
 

2

 

201412241258125z348z0qta.png
 

  둘째, 성탄의 소식은 ‘비보’가 될 수도 있다. 
  성탄의 소식이 마냥 희소식인 것만은 아니었다. 예수님 탄생 당시 헤로데 대왕을 위시한 예루살렘 기득권자들에게는 탄생 소식이 일종의 비보(悲報)였다. 그들은 그 소식을 듣고 밀려오는 불안감으로 속이 뒤숭숭해졌다. 
  “이 말을 듣고 헤로데 임금을 비롯하여 온 예루살렘이 깜짝 놀랐다”(마태 2,3).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는 이들, 타성과 부조리에 기생(寄生)하는 이들에게, 예수님의 탄생은 뭔가 불길한 개혁의 바람을 몰고 올 태풍의 눈으로만 보였을 터! 그것이 탐탁하게 여겨졌을 리 없다.
  오늘 우리 사회가 청산해야 할 최대의 난제인 적폐(積弊)! 어느 범주, 어떤 유형에 속하건, 그 중심에 있는 이들과 그와 그물망으로 엮인 공범들에게도, 성탄은 사실상 ‘비보’라는 준엄한 이치를 과연 그들은 알까? 그들 가운데 그리스도인의 명찰을 버젓이 달고 다니는 이들이 적지 않으니 이 또한 비보가 아닐 수 없다. 
 
  셋째, 성탄의 소식을 낭보(朗報)로 누리려면 “하느님 마음에 드는 이들”의 삶이 요구된다. 
  성탄의 기쁜 소식은 천사 가브리엘을 통해 가장 먼저 목동들에게 전해졌다. 그 때 하늘에서 울려 퍼진 천사들의 찬미노래 속에서 우리는 성탄의 세 번째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그분 마음에 드는 사람들에게 평화!”(루카 2,14)
  여기서 평화는 구원 받은 이의 내적 상태를 가리킨다. 이를 누릴 주인공은 “하느님 마음에 드는 이들”이다. 이는 열린 개념이다. 어느 특정인들을 가리키는 확정적 개념이 아니라는 말이다. 곧 누구든지 “하느님 마음에 드는 이들”의 범주에 속할 요건을 충족시키는 삶의 태도를 견지하면 그 자격을 지니게 된다. 과거에 그러지 못했다 해도 ‘회개’함으로써 그 주역이 될 수 있다. 
  그렇다면, 하느님 마음에 드는 이들이 되는 조건은 무엇일까? 여러 방식의 답변이 가능할 것이다. 그 보편적인 모범답안을 우리 양심은 안다. 굳이 성경의 용어를 빌리지 않더라도, 동양의 지혜는 그 요건을 훌륭히 간파했다. 자고로 이를 사단(四端)이라 불러왔다. 시비지심(是非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측은지심(惻隱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이들 네 가지는 하늘이 인간의 마음에 심어주신 4가지 바탕이다. 이 바탕을 더럽히거나 훼손하거나 방치하지 않고, 날로 새롭게 함양하며 발휘하려 노력하는 이들에게, 성탄의 기쁨은 강물 같은 평화로 흘러들지 않겠는가.   

 

 

25
  • 기사입력 2014년12월24일 12시5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6일 19시0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