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01월22일 22시10분

작성자

메타정보

  • 37

첨부파일

본문

 


[요약] 

 

- 통계청은 소득수준만으로 중산층을 정의하는 반면, 국민들은 소득수준뿐만 아니라 자산수준, 여유로운 생활과 삶의 질, 사회적 기여와 시민의식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중산층을 정의

 

 · 국민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중산층의 모습 : 매달 515만원을 벌어 341만원을 쓰고, 35평짜리 주택을 포함 6.6억원 상당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매달 12만원 상당의 외식을 네 차례 즐기면서도 사회적 약자를 위해 소득의 2.5%를 기부후원하고 무료로 봉사활동을 하는 것

 

   ※ 현실의 모습 : 매달 416만원을 벌어 252만원을 쓰고, 27평짜리 주택을 포함 3.8억원 상당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달 6만원 상당의 외식을 세 차례 즐기고 사회적 약자를 위해 소득의 1.1%를 기부후원하며, 1년에 3.1회 무료봉사를 하는 것

 

- 정책적 시사점

 

 · 소득향상 및 자산형성을 지원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 빠듯한 생활비 속에서도 여유로운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사교육비 및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고, 가족․동호인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ㆍ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봉사 활동과 기부후원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사회적 약자와 타인을 위한 봉사가 곧 자신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시민의식을 배양해야 한다. 

 · 국민의 생각과 일치하도록 중산층을 새롭게 정의하고 정부정책에 반영하되, 특히 스스로를 중산층이라 생각하는 체감중산층 확대에 노력해야 한다.
20151222224027015s7jms.jpg

201512222245t25r022892.jpg

20151222225059348906t9.jpg
 

 

[comment]
 
- 미래에셋 은퇴연구소는 ‘4050 중산층 가계수지의 明과 暗’(2013.8.6.)에서 4050 중산층은 은퇴 이후에 근로 ․ 사업소득이 급감하면 저소득층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의할 필요성 언급
 
 · 2000년부터 2012년까지 4050 중산층 가구의 월소득과 저축금액은 각각 77%, 134% 늘어나 표면적으로 가계수지가 개선된 것으로 보이나, ① 1인당 소비지출상승률이 소득증가율을 능가하고 ② 부채보유 가구의 원리금 부담이 3 배 증가하였으며 ③ 가구의 17%가 전체 원리금의 80%를 부담하는 부채의 집중이 일어나는 등 가계수지를 압박하는 위험요소 또한 가지고 있음
 
 · 4050 중산층 가구가 은퇴 후 빈곤층으로 하락하지 않기 위해선 삶의 다운사이징과 소비구조 개선을 통해 ‘부채의 장벽’과 ‘소비의 장벽’을 넘어서야 함
 
   ※ ‘부채의 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부채보유가구의 디레버리징 (deleveraging)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소비구조의 개선이 필수임.
   ※ ‘소비의 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무조건 줄이고자 하기보다는 소비와 관련한 태도 변화를 통한 삶의 다운사이징이 필요함 

 

2015122224204w237x9orx.jpg
20151222242782671h3ybh.jpg 

 

- 한국개발연구원은 ‘중산층 현황의 다면적 분석과 중산층 확대 전략에의 시사점‘(2013.4.25.)에서 중산층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이나 개선책에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책의 목표와 수단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중산층의 몰락’이라는 진단이 어떤 측면에서 뒷받침되고, 이 중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필요성 제기
 
 · 중산층에 대한 다양한 정의
 
   ※중위 60%를 중산층으로 간주하면서 이들의 소득점유율을 중산층 경제력 지표로 사용하는 방식은 전체 경제에서 중간계층에 귀속되는 경제력의 추이를 관찰하는 데 유용
   ※ 중위소득의 50~150% 범위에 속하는 사람을 중산층으로 정의한 후 이들 인구 비중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중산층 그룹의 확대나 축소 여부를 관찰하기에 유용
   ※ ‘항상소득의 대리변수로서의 소비’를 기준으로 한 경우 단기소득의 일시적 변동을 상쇄하면서 항상소득(permanent income)에 보다 잘 반응하는 소비지출을 이용해 중산층의 경제력 비중이나 인구 비중을 관찰할 수 있음
 
 · 중산층의 축소는 중산층의 다양한 개념 중 소득분포의 분산성(diffusion) 증가에 국한된 관찰로서, OECD 국가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으며,글로벌화와 기술진보 속에서 숙련에 따른 보상의 격차가 커지는 것에 기인한다고 인식됨
 
 · 소득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상층부의 능력을 끌어내리지 않으면서 격차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중․하층부의 숙련을 증진시키는 시스템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 이와함께 경제 전반의 기술기반을 고도화하여 소득분포 전체를 상향 이동시키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함
 
   ※ 중산층 확대정책과 빈곤정책, 고학력 여성인력의 고용률 제고는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경제 전체의 생산성 제고라는 정책 목표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종합적 시각의 정책 조합이 필요 

 

2015122225371690466hkq.jpg
- 국토교통부는 ‘기업형 주택임대사업 육성을 통한 중산층 주거혁신 방안‘ (2015.1.13.)에서 중산층을 대상으로 하는 민간 임대주택은 재고도 부족하지만, 각종 규제로 인해 품질도 떨어져 중산층이 거주를 기피하고 있어, 서민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재고를 지속 확충하되, 민간의 활력을 활용한 임대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마련

 

 · 현재 대부분의 중산층은 2년 단위 전월세 계약시마다 과도한 보증금 상승, 비자발적 퇴거위험 등에 노출되고 있으나, 기업형 임대주택은 본인이 희망할 경우 최소한 8년 동안 거주 가능하며, 보증금도 연 5%* 이내 상승으로 안정적으로 관리

 

 · 현재 임차인들은 주택보수나 물품교체 등을 집주인과 비공식적으로 협의해야 하고, 깡통전세 등 위험에 상시노출되고 있으나, 입주, 거주, 퇴거 全단계에서 집주인과 갈등 없이 전문적인 주거서비스를 제공 받게 되고, 보증금 리스크도 최소화

 

 · 현재 저금리 등으로 임대인들은 전세를 줄이는 반면, 임차인들은 주거비 절감을 위해 전세를 희망하여 전세값이 지속 상승하고 있으나, 중대형 건설업체가 품질 좋은 임대주택을 공급할 경우 고액전세 거주자들의 주거이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전세압력이 분산될 것으로 기대

 

 · 현재 과도한 규제, 부족한 지원 등으로 중대형 건설업체의 임대시장 참여가 저조하고, 주택임대관리업 등 연관산업 발전도 미흡하나, 수익성 개선으로 중대형 건설업체가 대규모로 임대주택을 공급해 나갈 수 있어, 이를 통해 주택임대관리업의 대형화를 유도하고, 지역 내 소규모 인테리어, 수리업체 등에게 안정적 시장 제공 

 

201512222618p0kmx0c780.jp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중산층의 주관적 귀속의식 및 복지인식’ (2012.8.17.) 에서 중산층은 소득과 재산에 대한 불평등 정도를 심각하게 인식하는 한편, 이를 해소하기 위한 소득격차 감소는 정부책임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며, 향후 지향하는 한국사회는 ‘중간층이 대다수이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극소수인 사회’로서 ‘세금부담이 높고, 복지수준이 높은 사회’를 지향하는 것으로 조사

 

 · 소득계층을 구분하여 주관적 귀속의식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귀속의식은 모든 소득계층에서 실제 소득계층과 불일치한 현상을 보였으며, 고소득층과 중산층은 실제 소득계층에 비해 주관적 귀속의식이 크게 낮았고, 저소득층의 경우는 3분의 1이 중산층으로 인식함

 

   ※ 중산층의 경우, 중층에 대한 귀속의식이 과반수를 약간 상회하였으나, 하층에 대한 귀속의식도 32%의 분포를 보여서 주관적 귀속의식이 낮게 나타남

 

 · 복지정책실행 체감도를 9개 서비스영역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파악한 결과, 중산층의 정책실행 체감도는 2.6~3.4점으로 나타났고, 이는 4년 전의 체감도(2.9~3.8점)보다 높아서 모든 서비스영역에서 체감도가 향상되었음을 의미하나, 빈곤예방·감소, 실업대응 및 교육서비스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함

 

   ※ 중산층특성별로 정책실행 체감도는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농촌지역거주자, 20대와 65세 이상 연령층, 중학교 이하 학력소지자 등은 전체보다 정책체감이 높은 편이었고, 도시지역거주자, 중장년층, 고등학교 이상 학력소지자, 소득이 높은 경우는 전체와 동일하거나 낮은 체감수준을 보임

 

 · ‘세금대비 복지수혜’에 대한 인식을 소득계층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중산층은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 인식보다 7.4배 높아서 복지체감도가 타 소득계층에 비해 가장 저조하고 세금 부담감이 높음을 시사

 

 · 소득계층별로 한국사회의 복지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소득계층별로‘가난한 사람이 많은 사회’와 ‘중간층이 거의 없는 사회’라는 인식이 높았고, 미래 한국사회는‘중간층이 대다수이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극소수인 사회’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향후 복지사회는‘세금부담이 높고 복지수준이 높은 사회’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512222730j81h688468.jpg
201512222736bmwyj5o125.jpg
 

 

37
  • 기사입력 2015년01월22일 22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