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해 2040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박근혜정부에서 발표한 5대 국정목표 중 가장 우선해야할 과제를 2040에게 질문한 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조경제’가 3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형 고용/복지(28.9%)’, ‘안전과 통합의 사회(19.3%)’,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13.8%)’, ‘행복한 통일 시대의 기반 구축(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전관 비교한 지표에서는
일자리 창출 정책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일자리간 차별 시정’이 31.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고용 형태 등 노동 시장의 유연성 제고(20.8%)’, ‘공교육 및 직업교육 내실화(10.2%)’, ‘고용지원 서비스 강화(10.2%)’ 등의 순으로,
공정 사회 확립을 위한 정책에서는 ‘공교육 혁신과 사교육비 완화(20.4%)’, ‘정부, 기업, 사회의 투명성 제고(20.3%)’, ‘비정규직 문제의 해결(18.7%)’, ‘재벌기업에 대한 규제(16.1%)’ 순으로,
저출산·고령화 완화 및 대응 정책에서는 ‘보육부담 완화 등을 통한 출산율 제고(47.4%)’, ‘여성/고령 인력 경제활동 참여제고(20.2%)’, ‘연금 등 노후소득 보장체계 구축(16.6%)’ 순으로,
일과 삶의 양립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에서는 ‘보육지원 제도를 고용 친화적으로 개편(26.2%)’,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24.3%)’, ‘유연 근로제도의 확산(23.3%)’ 순으로,
국가 성장 잠재력 확충 정책에서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26.3%)’, ‘산업경쟁력 강화 등 지속 성장 기반 구축’(23.4%)’, ‘대/중소 기업관계 구조개선(14.1%)’, ‘기초 원천연구 역량 강화(14.0%)’ 순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에서는 ‘대·중소기업간 공정거래 질서 확립(31.7%)’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중소기업 지원의 효율화(16.4%)’, ‘규제 완화 등 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13.0%)’, ‘다양한 고용형태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12.9%)’ 순으로,
사회적 통합 강화를 위한 정책에서는 ‘누진세제 강화 등 소득격차 완화(26.4%)’, ‘공정경쟁을 통한 계층간 이동성 제고(24.2%)’, ‘여성·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보호(15.9%)’, ‘세대 간 갈등 해소(14.1%)’ 순으로,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에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이 41.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기초과학 기술 분야 등 연구개발투자 확대(23.2%)’, ‘창의적 인재 활용을 위한 고용 구조 개선(18.0%)’ 순으로 나타났다.
- 기사입력 2013년04월14일 09시58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20시3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